$\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정간호학회지 게재 논문 분석: 2010년부터 2019년까지 가정간호분야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from 2010 to 2019: Using the Keyword Home Health Care 원문보기

가정간호학회지, v.27 no.2, 2020년, pp.210 - 218  

전은영 (대전대학교 간호학과) ,  노준희 (우석대학교 간호대학)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using the keyword home health care,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over the past 10 years. Methods: An analysis was conducted of 50 home health care-based studies chosen fr...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구체적인 분석 내용으로는 연구자 특성, 연구대상자, 연구장소, 연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심의 여부 등 연구의 일반적 특성, 연구 유형과 연구설계,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등을 포함한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과 논문의 주요어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 방향성 설정, 분석내용 확인, 분석 코딩 형식 확인 등을 포함하는 내용으로 3번의 토의를 거쳐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0년간 가정간호학 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가정간호학회지의 최근 연구 동향을 파악하며 향후 전문학술지로써 양적, 질적 향상을 도모 하고 발전 전략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가정간호학회에서 발간하는 가정간호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가정간호분야와 관련된 내용과 주요 어를 사용한 논문 50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주요어를 분석함으로써 연구 동향을 확인하고 가정간호학회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최근 10년간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편수는 연간 평균 29편으로 지속적인 양적 성장을 하고 있었으나, 가정간호분야와 관련된 논문은 전체 게재논문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가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또한 근거기반의 연구를 통하여 간호연구 및 실무의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3] 학회지의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간 가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가정간호분야의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가정간호 실무에 적합한 지식체 구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학회지의 질 관리와 함께 가정간호학회지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가정간호가 도입된 목적은 무엇인가? 가정간호는 수요자 중심의 보건의료 공급구조의 변화와 함께 만성질환 및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의료비 절감과 제한된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1]. 수요자 중심의 가정간호는 환자의 가정으로 찾아가는 의료서비스로 의료 이용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환자 요구에 맞는 개인별 맞춤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만족도가 높고 의료의 질 또한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2] 가정간호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건강관리자 중 간호사를 연구대상으로 한 논문이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0%로 가장 많았고 52%가 간호사였는데, 임상간호연구[3]에서도 건강관리자가 가장 많았고 건강관리자 중 간호사를 연구대상으로 한 논문이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이는 2000년 이후 가정간호의 질, 재정과 정보, 서비스와 인적자원 관리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모아지면서 이러한 주제들이 핵심 연구주제로 다뤄짐[5,6]에 따라 주된 건강관리제공자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에서 논문의 주요어는 ‘가정간호’ 다음으로 ‘가정전문간호사’와 ‘방문간호사’가 21.
가정간호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될 것으로 판단되는 이유는? 가정간호는 수요자 중심의 보건의료 공급구조의 변화와 함께 만성질환 및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의료비 절감과 제한된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1]. 수요자 중심의 가정간호는 환자의 가정으로 찾아가는 의료서비스로 의료 이용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환자 요구에 맞는 개인별 맞춤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만족도가 높고 의료의 질 또한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2] 가정간호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Hwang MS, Lee SJ, Lim NY, Lee MK. Job descriptions of hospital based home care nurse practitioners in Korea by DACUM techniqu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1;18(1):48-57. 

  2. Kang SY. Customized nursing care types and process:focusing on home care service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08;14(1):13-25. 

  3. Kim YH, Jeong GH, Kwon IG, Kim KS, Moon SM, Lee JL, et al. Bibliographic analysis of articles published in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from 2009 to 2015.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7;23(1):73-82. https://doi.org/10.22650/JKCNR.2017.23.1.73 

  4. Kim S, Kwon BE. Current situation and perspectives for home care nursing research in Korea.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00;7(1):48-57. 

  5. Ryu HS, Park CS, Kim IA, Kwon YD, Kang SW. Use of home nursing therapy and need of home care equipment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Community Health Nursing. 2008;19(2):157-166. 

  6. Lim JY, Kim JY. Home care nursing: an economic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2013;20(1):141-151. 

  7. Lee TW, Park KO, Seomun GA, Kim M, Hwang JI, Yu S, et al. Analysis of research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for 3 Years (2013-2015): the application of text network analysis. Journal of Korean Nursing Administration Academic Society. 2017;23(1):101-110. http://dx.doi.org/10.11111/jkana.2017.23.1.101 

  8. Sohng KY, Kim JI, Choi DW, Kim AK, Chaung SK, Kim K, et al. Research trends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based on analysis of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from 2001 to 2007.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Nursing. 2008;15(3):262-273. 

  9. Kirekvold M. Integrative nursing research: an important strategy to further the development of nursing. Science and Nursing Practic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1997;25(4):977-984. 

  10. Kim JH, Yoo SB. An analysis of research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JKPMHN) based on knowledge development classifications of nursing: publication articles from 2010 to 2014.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Psychiatric and Mental Health Nursing. 2016;25(1):21-27. http://dx.doi.org/10.12934/jkpmhn.2016.25.1.21 

  11. Cha YR, Kwon JE, Kwon SH, Lee KH, An JY. Trend analysis of research in the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0-2015). Journal of Korean Gerontological Nursing. 2017;19(2):92-100. https://doi.org/10.17079/jkgn.2017.19.2.92 

  12.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Internet]. Seoul; 1993 [cited 2020 August 11]. Available from: http://www.kahhn.or.kr/sub/subMain.jsp?menuseq2010 

  13. Lee HY, Kim MK, Seo WJ, Lee MJ, Heo YR, Kim SH. Trend analysis of theory-based research published in asian oncology nursing. Asian Oncology Nursing. 2019;19(1):1-8. http://doi.org/10.5388/aon.2019.19.1.1 

  14. Lee EO, Lim NY, Park HA, Lee IS, Kim JI, Bae JY, et al. Nursing research and statistical analysis. Paju: Soomoonsa;2009. 790 p. 

  15. Kim WS. Current research trends in hospice-related domestic nursing research theses (1988-2017). Korean Journal of Palliative Care. 2019;22(1):19-29. https://doi.org/10.14475/kjhpc.2019.22.1.19 

  16. Kim MJ, Jeon JH, Ryu EJ. Text network analysis of oncology nursing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asian oncology nursing. Asian Oncology Nursing. 2019;19(4):193-203. https://doi.org/10.5388/aon.2019.19.4.193 

  17. Kim, YH, Moon SM, Kwon IG, Kim KS, Jeong GH, Shin ES, et al. Research trends of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from 2000 to 2017: text network analysis of keyword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019;25(1):80-90. https://doi.org/10.22650/JKCNR.2019.25.1.8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