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research trends, using the keyword home health care, in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over the past 10 years. Methods: An analysis was conducted of 50 home health care-based studies chosen from among the 206 studi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from 2010 to 2019. The analysis focused on research methodology and keyword. Descriptive statistics were used to examine the frequency distribution of research methods and keywords. Results: Study participation was mainly focused on nurses (52.0%). Most of the studies used quantitative methods (96.0%), and 43 studies (86.0%) used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The most commonly used data analyses methods were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alysis of variance, correlation, and regression. Major keywords were home health nursing, elderly care facility, visiting nurse, home care service, home healthcare nurse, home care agencies, long-term care, and home care. Conclu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dentified current trends and interests in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Home Health Care Nursing. This study suggests that future studies include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and maintain appropriate standards of research ethics.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구체적인 분석 내용으로는 연구자 특성, 연구대상자, 연구장소, 연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심의 여부 등 연구의 일반적 특성, 연구 유형과 연구설계, 자료수집 및 분석방법 등을 포함한 연구방법에 대한 분석과 논문의 주요어를 분석하였다. 또한 연구 방향성 설정, 분석내용 확인, 분석 코딩 형식 확인 등을 포함하는 내용으로 3번의 토의를 거쳐 연구의 신뢰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최근 10년간 가정간호학 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가정간호학회지의 최근 연구 동향을 파악하며 향후 전문학술지로써 양적, 질적 향상을 도모 하고 발전 전략을 수립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가정간호학회에서 발간하는 가정간호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가정간호분야와 관련된 내용과 주요 어를 사용한 논문 50편을 대상으로 일반적 특성과 주요어를 분석함으로써 연구 동향을 확인하고 가정간호학회지의 발전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그 결과, 최근 10년간 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편수는 연간 평균 29편으로 지속적인 양적 성장을 하고 있었으나, 가정간호분야와 관련된 논문은 전체 게재논문의 약 25%를 차지하고 있어 상대적으로 부족함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최근 10년간 가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을 분석하여 연구동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또한 근거기반의 연구를 통하여 간호연구 및 실무의 질적 향상을 가져올 수 있기 때문에[3] 학회지의 최신 연구 동향을 분석하는 것은 중요하다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난 10년간 가정간호학회지에 게재된 논문 중 가정간호분야의 논문을 중심으로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가정간호 실무에 적합한 지식체 구축을 위한 연구를 수행함으로써 학회지의 질 관리와 함께 가정간호학회지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가정간호 | 가정간호가 도입된 목적은 무엇인가? |
가정간호는 수요자 중심의 보건의료 공급구조의 변화와 함께 만성질환 및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의료비 절감과 제한된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가정간호는 수요자 중심의 보건의료 공급구조의 변화와 함께 만성질환 및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의료비 절감과 제한된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1]. 수요자 중심의 가정간호는 환자의 가정으로 찾아가는 의료서비스로 의료 이용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환자 요구에 맞는 개인별 맞춤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만족도가 높고 의료의 질 또한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2] 가정간호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
건강관리자 중 간호사를 연구대상으로 한 논문이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 | 건강관리자 중 간호사를 연구대상으로 한 논문이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난 이유는 무엇인가? |
이는 2000년 이후 가정간호의 질, 재정과 정보, 서비스와 인적자원 관리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모아지면서 이러한 주제들이 핵심 연구주제로 다뤄짐[5,6]에 따라 주된 건강관리제공자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0%로 가장 많았고 52%가 간호사였는데, 임상간호연구[3]에서도 건강관리자가 가장 많았고 건강관리자 중 간호사를 연구대상으로 한 논문이 상당히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결과와 유사하다. 이는 2000년 이후 가정간호의 질, 재정과 정보, 서비스와 인적자원 관리에 대한 연구에 관심이 모아지면서 이러한 주제들이 핵심 연구주제로 다뤄짐[5,6]에 따라 주된 건강관리제공자인 간호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에서 논문의 주요어는 ‘가정간호’ 다음으로 ‘가정전문간호사’와 ‘방문간호사’가 21. |
가정간호 | 가정간호에 대한 수요가 더욱 증가될 것으로 판단되는 이유는? |
수요자 중심의 가정간호는 환자의 가정으로 찾아가는 의료서비스로 의료 이용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환자 요구에 맞는 개인별 맞춤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만족도가 높고 의료의 질 또한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2] 가정간호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가정간호는 수요자 중심의 보건의료 공급구조의 변화와 함께 만성질환 및 노인인구 증가로 인한 의료비 절감과 제한된 의료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을 위한 목적으로 도입되었다[1]. 수요자 중심의 가정간호는 환자의 가정으로 찾아가는 의료서비스로 의료 이용의 편의성뿐만 아니라 환자 요구에 맞는 개인별 맞춤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대상자의 만족도가 높고 의료의 질 또한 높은 것으로 평가되고 있어[2] 가정간호에 대한 수요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