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status quo of hospital-based home care utilization in Korea from 2008 to 2017. Methods: Data from a total of 1,396 medical institutions, 350,390 patients, and 3,563 home care nurses were analyzed using claim data from the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 Results: The number of hospital-based home care agencies decreased from 177 in 2008 to 115 in 2014. This number started to increase in 2015 and reached 179 in 2017. The number of hospital-based home care patients declined from 35,056 in 2008 to a low of 26,848 in 2013. This number started to increase in 2014 and reached 67,863 in 2017. Essential hypertension was the most common disease among hospital-based home care patients from 2008 to 2015. The number of hospital-based home care visits declined from about 500,000 in 2008 to a low of 362,000 in 2013. This number started to increase in 2014 and reached 658,000 in 2017.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vigilantly monitor hospital-based home care agencies, patients, and the utilization of services. This may help establish platforms for providing community and home-based nursing services for the super-aged society in Korea.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본 연구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의 전국 의료기관 가정간호 기본방문료 청구자료와 가정전문간호사 인력신고 자료를 바탕으로 가정간호 이용 및 비용 동향을 연도별로 분석하고자 하며, 구체적인 연구 목적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전국 의료기관 가정간호 현황을 파악하기 위해 실시된 이차자료 분석연구이다. 의료기관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가정간호 기본방문료를 기재하여 청구한 명세서 중 2008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요양개시분으로 심사결정 완료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전국 의료기관에서 건강보험심사평가원에 가정간호 기본방문료를 청구한 명세서와 가정전문간호사 인력신고 자료(2008년 1월 1일부터 2017년 12월 31일까지 요양개시분)를 바탕으로 한 이차자료 분석 연구이다.
노인인구의 증가 및 만성질환, 중증질환 증가 등으로 지역사회 통합 돌봄의 일환인 가정간호에 대한 수요는 증가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나 아직까지도 가정간호 서비스에 대한 국민적 인식이 낮고 서비스 제공기관이 증가하지 않고 있는 현황을 고려해 볼 때, 이에 대한 분석과 정책대안 마련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최근 10년 동안의 의료기관 가정간호 실시 현황에 대한 연도별 추이분석을 실시하고 가정간호서비스 이용 현황 파악을 통하여 현재 의료기관 가정간호 제도의 발전방향 및 지역사회 통합 돌봄 등 지역사회기반 국가정책 등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노인의 1인당 연간 진료비 | 노인의 1인당 연간 진료비가 꾸준히 증가하는 원인은? |
전반적인 입원기간 단축으로 인한 재가에서의 의료이용요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건강이 유지되는 경우 노인의 88.6%는 현재 살고 있는 집에서 계속 거주하길 원하고, 거동이 불편해졌을지라도 재가서비스를 받으며 현재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서 계속 살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이 57.6%로 나타나[4] 재가에서 제공되는 의료서비스 욕구는 향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과 국민건강보험공단이 발간한 ‘2017년 건강보험통계연보’에 따르면, 우리나라 노인의 1인당 연간 진료비가 2017년 400만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고 전체 노인진료비도 폭증해 2017년 총 28조원으로 2010년에 비해 2배나 늘어난 것으로 보고되었다[3]. 전반적인 입원기간 단축으로 인한 재가에서의 의료이용요구가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건강이 유지되는 경우 노인의 88.6%는 현재 살고 있는 집에서 계속 거주하길 원하고, 거동이 불편해졌을지라도 재가서비스를 받으며 현재 살고 있는 지역사회에서 계속 살고 싶다고 응답한 비율이 57.6%로 나타나[4] 재가에서 제공되는 의료서비스 욕구는 향후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측된다. |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안) |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안)은 무엇인가? |
2018년 11월 2026년 초고령 사회를 앞두고 노인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는 포용국가를 구현
이에 정부는 2018년 11월 2026년 초고령 사회를 앞두고 노인이 살던 곳에서 건강한 노후를 보낼 수 있는 포용국가를 구현하기 위한 ‘지역사회 통합 돌봄 기본계획(안)’을 발표하였다. 가장 높은 우선순위 대상자는 요양병원에 입원하고 있는 환자 중에서 지역사회 복귀를 희망하는 노인으로 병원에서 입원 치료를 마치고 퇴원을 준비 중인 노인과 지역사회에 거주하고 있으나 사고나 질병, 일상생활의 어려움 등으로 병원 입원이나 시설 입소가 불가피한 노인이다[5]. |
의료기관 가정간호서비스 | 의료기관 가정간호서비스 제도화의 이유는? |
가정에서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포괄적인 건강관리사업의 일환으로 의료비 절감과 의료이용의 편익제고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의료기관 가정간호서비스는 가정에서 건강관리서비스를 제공하는 포괄적인 건강관리사업의 일환으로 의료비 절감과 의료이용의 편익제고 및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해 2인 이상의 가정전문간호사를 배치한 의료기관내에서 실시 가능하도록 2001년부터 의료법에 의해 제도화 되었다[1]. 급속한 인구구조의 변화에 따라 우리나라는 2026년이 되면 국민 5명 중 1명 이상이 노인이 되는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게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으며, 이러한 급속한 고령화 및 만성질환 증가로 사회 경제적 부담이 증가하고 있다[2].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