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라이트봇을 활용한 컴퓨팅 사고력에서 지식 정보의 진단 방안에 관한 연구
A Study on the Diagnosis Method of Knowledge Information in Computational Thinking using LightBot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1 no.8, 2020년, pp.33 - 38  

이영석 (강남대학교 KNU참인재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현대 사회는 다양한 분야의 문제를 컴퓨터와 접목하여 새로운 방향으로 생각하고 문제를 해결할 필요가 있다. 이렇게 자신만의 아이디어로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다양한 문제를 추상화하고 자동화하는 것을 컴퓨팅 사고라고 한다. 본 논문에서는 프로그래밍 교육 상황에서 다양한 문제를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문제해결 방식을 찾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컴퓨팅 사고 기반의 지식 정보를 어떻게 진단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학습자를 진단하기 위해 사전 검사와 라이트봇을 수행하고, 그 결과의 상관관계를 파악하여 학습자의 지식 상태를 체크한 뒤, 문제 해결 학습 기법에 따라 강의를 진행한 평가 결과와 라이트봇 수행 결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제안하는 기법에 따라 학습한 학습자들의 집단 평균 성적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학습효과가 유의미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논문에서 제안하는 문제해결을 위한 컴퓨팅 사고력 기반의 지식 정보를 도출하고 향상시키는 기법을 소프트웨어 교육에 적용한다면 학생들의 흥미와 관심을 유도하여, 학습 효과가 높아질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odern society needs to think in new directions and solve problems by grafting problems from diverse fields with computers. Abstraction and automation of various problems using computing technology with your own ideas is called computational thinking. In this paper, we analyze how to diagnose and im...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를 위해,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해 다양한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다양한 문제해결 방식을 찾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컴퓨팅 사고 기반의 지식 정보를 어떻게 진단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 형태가 어떻게 지식 정보를 진단하고 향상 정도에 관한 상관관계와 효과성을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면서 컴퓨팅 사고를 학습하기 위해서, 컴퓨팅 사고의 지식구조를 측정하고 표현하는 방법에 관한 방안을 찾고자 한다. 이를 위해, 문제 해결 학습을 위해 다양한 문제 상황을 제시하고 다양한 문제해결 방식을 찾도록 하는 과정을 통해 컴퓨팅 사고 기반의 지식 정보를 어떻게 진단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지를 분석하고자 한다.
  • 따라서, 사람의 인식과 문제해결 과정의 지식 정보는 학습자들이 문제 공간(지식의 범위), 관계의 거리(근접성), 아이디어 사이의 연관성(어휘 연관) 및 문제 표현이 인식된 최종 상태(조건부 지식)에서 선택하기로 생각하고 문제해결의 개념지도를 학생의 지식구조 형태로 구성하여 관련 지식의 진단과 평가를 하고자 한다[20].
  • 본 논문에서는 Python을 바탕으로 프로그래밍 교육을 문제 해결 학습 형태로 제시하여, 문제 상황을 스스로 해결해 나가도록 하였다. 그 결과, 학생들의 지식 정보와 학업 성적과 함께 학생들이 수행한 문제 해결 학습 과정과 학업 성적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여 의미 있는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서 학습해야하는 것은 무엇인가? 컴퓨팅 사고 기반의 소프트웨어 교육을 통해 학생들은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여 자신의 생각과 아이디어를 표현하는 방법을 학습할 수 있다[7]. 컴퓨팅 기술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컴퓨터의 동작 원리와 같은 기본 개념과 함께 교육용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해야 한다[8].
지식 발견과 추론을 하기 위해선 무엇을 해야하는가? 지식 발견과 추론은 복잡한 문제의 조건을 진단하고 적합한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한 기법이다. 지식 발견을 위해 인간이 생각하는 방법과 유사한 형태로 지식을 표현하고, 표현된 지식을 정형화하여 다양한 조건에 맞는 추론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20, 22].
지식 발견과 추론은 무엇인가? 지식 발견과 추론은 복잡한 문제의 조건을 진단하고 적합한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한 기법이다. 지식 발견을 위해 인간이 생각하는 방법과 유사한 형태로 지식을 표현하고, 표현된 지식을 정형화하여 다양한 조건에 맞는 추론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20, 22].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S. H. Kim. (2015). Analysis of Non-Computer Majors' Difficulties in Computational Thinking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8(3), 49-57. 

  2. KERIS. (2016). Research report KR 2016-4, http://lib.keris.or.kr/search/detail/CATLAB000000012086. 

  3. Y. Lee. (2018). Analyzing the effect of software education applying problem-solving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95-100. DOI : 10.14400/JDC.2018.16.3.095 

  4. J. J. Lee & S. W. Kim. (2019). Analysis of Informatics Curriculum and Teaching Cases for Digital Literacy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2(5), 11-25. DOI : 10.32431/kace.2019.22.5.002 

  5. G. Chen, J. Shen, L. Barth-Cohen, S. Jiang, X. Huang, & M. Eltouhky. (2017). Assessing Elementary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in Everyday Reasoning and Robotics Programming. Computer and Education, 109, 162-175. DOI : 10.1016/j.compedu.2017.03.001 

  6. K. Kim & H. Kim. (2014). A Case Study on Necessity of Computer Programming for Interdisciplinary Education.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2(11), 339-348. 

  7. Y. Lee. (2018). Python-based Software Education Model for Non-Computer Major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3), 73-78. DOI : 10.15207/JKCS.2018.9.3.073 

  8. S. Jun. (2017). Design and Effect of Development-Oriented Model for Developing Computing Thinking in SW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aition of Information Ecucation, 21(6), 619-627. DOI : 10.14352/jkaie.2017.21.6.619 

  9. Atmatzidou, S. & Demetriadis, S. (2016). Advancing students' computational thinking skills through educational robotics: A study on age and gender relevant differences. Robotics and Autonomous Systems, 75, 661-670. DOI : 10.1016/j.robot.2015.10.008 

  10. Y. Sung. (2017). Development of SW Education Model based on HVC Learning Strategy for Improving Computational Thinking. Journal of The Korean Assocaition of Information Ecucation, 21(5), 583-593. 

  11. J. K. Shim & D. Y. Kwon. (2019), Development of an Educational Tangible Coding Tools for Algorithmic Thinking Focused on Programming Activitie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2(6), 77-90. DOI : 10.32431/kace.2019.22.6.002 

  12. O. H. Kang. (2020).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Structure and Learning Objectives of High School Informatics Textbooks.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3(3), 9-15. DOI : 10.32431/kace.2020.23.3.002 

  13. E. J. Kim. (2019). A Study on Difficulty Equalization Algorithm for Multiple Choice Problem in Programming Language Learning System.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2(3), 55-65. DOI : 10.32431/kace.2019.22.3.005 

  14. Y. Lee & J. Cho. (2019).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oftware Education Based on Problem-solving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2), 49-54. DOI : 10.22156/CS4SMB.2019.9.2.049 

  15. M. Lee & S. Kim. (2019). Study on the Development of a General-Purpose Computational Thinking Scale for Programming Education on Problem Solv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2(5), 66-77. DOI : 10.32431/kace.2019.22.5.006 

  16. S. Kim, Y. J. Kim, A. Jo & M. Lee. (2019). Development of a Tool for Computational Thinking Assessment in Problem-Solving Programming Education: Paper Type Inspection and Self-Report Questionnaire.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2(3), 89-99. DOI : 10.32431/kace.2019.22.3.008 

  17. B. Kim, Y. Jeon, J. Kim & T. Kim. (2016).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Real Life Problem Solving Lesson Contents Based on Computational Thinking for Informatics Integrated-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Creativity. Korea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32(1), 159-186. DOI : 10.14333/KJTE.2016.32.1.159 

  18. J. Y. Ki. (2018). A Study on UX Design Process Lecture Based on Modified PBL(Problem-Based Learning).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 117-131. DOI : 10.15207/JKCS.2018.9.1.117 

  19. J. H. Ku. (2017). Designing an App Inventor Curriculum for Computational Thinking based Non-majors Software Education.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1), 61-66. DOI : 10.22156/CS4SMB.2017.7.1.061 

  20. Y. Lee & J. Cho. (2020). Knowledge representation for computational thinking using knowledge discovery comput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Management, 21(1), 15-28. DOI : 10.1007/s10799-019-00299-9 

  21. Agustinaningsih, W. (2020, July). Personalized Learning Modeling for the Control of Student Creativity in Physics Learning Media. I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Learning Innovation 2019 (ICLI 2019) (pp. 88-95). Atlantis Press. DOI : 10.2991/assehr.k.200711.016 

  22. Meghji, A. F., Mahoto, N. A., Unar, M. A. & Shaikh, M. A. (2020). The Role of Knowledge Management and Data Mining in Improving Educational Practices and the Learning Infrastructure. Mehran University Research Journal of Engineering and Technology, 39(2), 310-323. DOI : 10.22581/muet1982.2002.08 

  23. Danny Yaroslavski. (2018). Lightbot, http://Lightbot.com/.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