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임 기반 메타버스의 사용자 흥미 요인 연구 : <동물의 숲> 사용자 커뮤니티의 토픽 분석을 중심으로
A Study on Interest Factors of Game-based Metaverse : focused on the topic analysis of user communit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1 no.10, 2021년, pp.1 - 9  

안진경 (강남대학교 글로벌문화학부) ,  곽찬희 (강남대학교 ICT공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팬더믹의 영향으로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으나, 지속성 있는 메타버스 운영을 위한 흥미 요인에 대한 이해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사용자 커뮤니티 담화를 분석하여 메타버스 서비스의 흥미 요인을 밝히고자 한다. 이를 위해 게임 기반 메타버스의 대표 사례인 <모여봐요 동물의 숲>의 사용자 커뮤니티 담화를 수집해, Latent Dirichlet Allocation (LDA)를 활용해 토픽모델링을 실시했다. 추출된 토픽은 크래프팅과 성장을 위한 허들, 현실 연계 콘텐츠의 정보, 채집 활동과 수집 기록, 소셜라이징, 사용자 생성 콘텐츠와 자기표현, 시즈널 이벤트의 수행도, 캐릭터 상호작용과 슬롯 제한으로 나타났다. 게임 기반 메타버스의 흥미 요인은 성장과 확인 가능한 지표, 다양한 층위의 상호작용, 자기표현과 자유도, 현실세계와의 연결로 정리되고, 이를 통해 시간 기반 콘텐츠 운영, 운과 확률의 활용, 제약의 활용이라는 게임 기반 메타버스의 콘텐츠 기획 방향성을 도출했다. 본 연구는 실증적 담화 데이터를 활용해 흥미 요인을 도출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Although interest in the metaverse increases due to the pandemic, the understanding of the metaverse interest factor, which is an essential element for the sustainability of any metaverse platform, is lacking. This study aims to reveal the interest factors of metaverse services by analyzing user com...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27)

  1. C. G. Lyou & J. K. Ahn. (2007). A Study on digital storytelling of virtual world: focused on the comparison between and MMORPG. Journal of Game Industry & Culture, 2007(1), 30-47. 

  2. C. H. Kwon. (2021). Smart City-based Metaverse a Study on the Solution of Urban Problems. Journal of the Chosun Natural Science, 14(1), 21-26. 

  3. J. H. Park et al. (2021). Seokguram Digital Contents Prospects for the Proposal of Artificial Intelligence Extended Reality.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Media and Arts (Contents Plus), 19(4), 47-62. 

  4. K. E. Lee & D. R. Jang. (2021). A Study On Engagement Branded Gamification For The Metaverse Space-Focusing On The Case Of Global Brands.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9(2), 277-290. DOI : 10.18852/bdak.2021.19.2.277 

  5. S. M. Woo & D. R. Jang. (2021). A Study on Metaverse Brand Communication in Trans-media Environment. A Journal of Brand Design Association of Korea, 19(2), 29-48. DOI : 10.18852/bdak.2021.19.2.29 

  6. J. H. Jeon. (2021). A study on the Principle of Metaverse Composition with a focus on Roblox, Korean Association for Visual Culture, 38, 257-279. DOI : 10.21299/jovc.2021.38.10 

  7. H. W. Han. (2008). A study on typology of virtual world and its development in Metaverse. Journal of Digital Contens Society, 9(2), 317-323. 

  8. D. E. Lee. (2008). Study on place-specific storytelling of virtual world, Master's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9. H. J. Kwon. (2009). Designing Metaverse space for sound and vision: The benefits of co-creation frameworks for multiuser communication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HCI 2009, 1995-1100. 

  10. S. H. Kim & D. Y. Lee. (2012). Practical Issues emerging from the instructional design of 3D virtual environments -Focusing on Quest Atlantis and Second Life-.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Methodology Studies, 24(1), 149-169. 

  11. S. J. Park. (2021. 5. 6). Nintento, the best performance last year due to pandemic, Yeon-hap News (Online). https://www.yna.co.kr/view/AKR20210506163700073 

  12. ASF. (2007). Metaverse Roadmap Overview (Online). http://www.metaverseroadmap.org/overview/ 

  13. J. Radoff. (2021. Apr 7). The Metaverse Value-chain. Building the Metaverse. (Online). https://medium.com/building-the-metaverse/the-metaverse-value-chain-afcf9e09e3a7 

  14. H. J. Yun. (2008). A study on the goal-oriented narrative structure in the virtual world,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14(0), 189-197. DOI : 10.17927/tkjems.2012.24.1.149 

  15. Y. S. Hwang et al. (2019). Comparison of user evaluation factors for indie and commercial games. Proceedings of 2019 KMIS Conference, 355-359. 

  16. M. Y. Wi et al. (2018). A study on the Elements of Interest for VR Game Users Using Text Mining and Text Network Analysis - Focused on STEAM User Review Data.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18(6), 69-82. DOI : 10.7583/JKGS.2018.18.6.69 

  17. W. H. Kim & E. H. Park. (2021). Exploring Game Consumers' Perception in Online Game Community using Text Mining Approach: The Case of Reddit. Journal of Consumption Culture, 24(1), 73-83. DOI : 10.17053/jcc.2021.24.1.004 

  18. T. S. Kim. (2019). Elements and Topics of Mobile Games Extracted from Mining User Online Reviews and Online Ratings. Journal of Product Research, 37(5), 67-76. DOI : 10.36345/kacst.2019.37.5.007 

  19. I. K. Kim & S. S. Cha. (2020). The Dynamics of Online word-of-mouth and Marketing Performance : Exploring Mobile Game Application Reviews.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2), 36-48. DOI : 10.5392/JKCA.2020.20.12.036 

  20. K. W. Jung & J. W. Kim. 018). A Study on the Effects of Online Word-of-Mouth on Game Consumers Based on Sentimental Analysi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3), 145-156. DOI : 10.14400/JDC.2018.16.3.145 

  21. J. G. Shin. (2020). Analysis regarding Complaints of Courier Consumers and Workers in the Parcel Delivery Service by using Topic Model.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10(2), 39-48., DOI : 10.22156/CS4SMB.2020.10.02.039 

  22. H. Kim & Y. S. Jeong. (2019). Social Issue Analysis Based on Sentiment of Twitter User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1), 81-91. DOI : 10.22156/CS4SMB.2019.9.11.081 

  23. J. Chang, J. Boyd-Graber, S. Gerrish, C. Wang & D. M. Blei. (2009). Reading tea leaves: How humans interpret topic models. In Advances in neural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s NIPS. 288-296. 

  24. D. Newman, J. H. Lau, K. Grieser & T. Baldwin. (2010). Automatic evaluation of topic coherence. In Human Language Technologies: The 2010 Annual Conference of the North American Chapter of the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Association for Computational Linguistics, 100-108. 

  25. J. Juul. (2005). Half-real: Video games between real rules and fictional words. MIT Press. 

  26. R. Caillois. (2018). Man, play and games. (trans by S. R. Lee). Moonye Publishing. 

  27. B. Suits. (2005). The Grasshopper: Games, Life and Utopia, Broadview press.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