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ist-CVD법으로 증착된 다결정 산화갈륨 박막의 MOSFET 소자 특성 연구
Characteristics of MOSFET Devices with Polycrystalline-Gallium-Oxide Thin Films Grown by Mist-CVD 원문보기

전기전자재료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electronic material engineers, v.33 no.5, 2020년, pp.427 - 431  

서동현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본부) ,  김용현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본부) ,  신윤지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본부) ,  이명현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본부) ,  정성민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본부) ,  배시영 (한국세라믹기술원 에너지환경본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research, we evaluated the electrical properties of polycrystalline-gallium-oxIde (Ga2O3) thin films grown by mist-CVD. A 500~800 nm-thick Ga2O3 film was used as a channel in a fabricated bottom-gate MOSFET device. The phase stability of the β-phase Ga2O3 layer was enhanced by an anne...

주제어

표/그림 (9)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를 이용하여 산화갈륨 박막의 이동도를 추정했다. 그리고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통해 열처리된 산화갈륨 박막의 특성 변화를 확인하고 XRD를 활용하여 변화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 39 cm2/V⋅s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제작된 소자가 MOSFET 동작 특성에 부합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실제 측정된 드레인 전류 값과 이상적인 드레인 전류 값을 비교했다. 특정 포인트에서 실측된 전류 값은 1 mA로, 이론적인 전류 값(1.
  • 보다 상세한 분석을 위해 XRD를 사용하여 증착된 박막을 분석했다. 그림 4(a)에서 열처리 전 박막의 경우에도 (201)과 (402)면의 베타상 산화갈륨 피크를 확인할 수 있지만, 그림 4(b)에서 열처리 후 (402)면의 피크가 증가함을 볼 수 있다 [15].
  • 본 연구에서는 Mist-CVD법으로 성장한 산화갈륨 박막을 채널로 활용하여 bottom-gate MOSFET을 제작하고 드레인 전류(ID)-게이트 전압(VG) 측정 결과를 토대로 산출된 상호 컨덕턴스(transconductance, gm)를 이용하여 산화갈륨 박막의 이동도를 추정했다. 그리고 주사전자현미경(SEM) 사진을 통해 열처리된 산화갈륨 박막의 특성 변화를 확인하고 XRD를 활용하여 변화한 특성을 분석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Mist-CVD법으로 증착된 산화갈륨 박막을 채널로 사용하여 bottom-gate MOSFET을 제작했다. 증착된 산화갈륨 박막의 열처리 전후의 변화를 SEM과 XRD를 통해 분석하였으며, 이를 통해 열처리 후에 박막의 베타상 특성이 향상됨을 확인했다.
  • 실제 소자의 ID-VG 커브를 측정하기 전에 시뮬레이션 프로그램(PC1D)을 이용하여 제작된 MOSFET 구조의 에너지 밴드 다이어그램을 그려본 후 동작을 예측해 보았다 [16]. 그림 5는 에너지 밴드 시뮬레이션 결과를 나타낸다.
  • 열처리 후 나타나는 박막의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SEM을 이용하여 단면과 표면 이미지를 확인했다. 그림 3(a)는 박막의 두께를 확인하기 위해 분석한 단면 이미지이다.

대상 데이터

  • 소스와 드레인 전극 증착을 위해 전자빔 증착장비(e-beam evaporator)가 사용되었다. 증착된 소스와 드레인 두께는 Ti/Al 각각 20 nm/180 nm이다.
  • 하부 게이트와의 접촉을 위해 Pt 기판을 사용했으며, p++ Si 기판 하부를 HF용액을 사용하여 에칭한 후 Pt 기판과의 접촉 저항을 줄이기 위해 약 20~30 nm 두께의 알루미늄(Al)을 열 진공 증착기(thermal evaporator)를 사용하여 증착하였다.

이론/모형

  • 특히 베타상 산화갈륨은 도핑 공정 없이도 결정구조 상의 oxygen vacancy로 인한 n-type 전도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n-channel 반도체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8-10]. 산화갈륨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HVPE, MBE, MOCVD, RF sputter 등이 널리 쓰이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무 진공 상압에서 수용액을 분무시켜 기판과의 반응으로 박막을 증착시키는 Mist-CVD 방식을 채택하였다 [11-13].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산화갈륨의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 홀 측정 방법을 사용할 경우 단점은? 증착된 산화갈륨의 전기적 특성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홀(Hall) 측정 방법을 사용한다. 홀 측정은 전류가 흐르는 박막에 수직으로 자기장이 형성될 때 발생하는 홀 전압을 측정하여 박막의 이동도 [14], 캐리어 농도, 비저항 등의 여러 전기적 특성을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샘플과 측정 장비 사이의 오믹 접촉(ohmic contact) 정도와 샘플의 크기, 두께, 균일성, 측정 환경의 온도, 자기장 등의 요인에 따라 측정 신뢰도가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박막이 실제 소자에 응용되었을 때 전기적 특성이 변할 수 있다.
산화갈륨은 성장 조건에 따라 어떻게 분류되는가? 9 eV)과 높은 임계전압(약 8 MV/cm)을 갖고 있는 반도체 재료로써 ultra wide band gap (UWBG) 소자의 재료로 사용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1-4]. 산화갈륨은 성장 조건에 따라 알파, 베타, 감마, 델타, 입실론 다섯 가지의 상으로 분류되는데 그중에서도 베타상 산화갈륨은 높은 전도성을 갖고 있으며 고온에서 가장 안정하다 [5]. 이러한 이유로 다른 상의 산화갈륨을 열처리 공정을 통해 베타상 산화갈륨으로 상전이 시킬 수 있다 [6,7].
베타상 산화갈륨을 n-channel 반도체 재료로 사용할 수 있는 이유는? 이러한 이유로 다른 상의 산화갈륨을 열처리 공정을 통해 베타상 산화갈륨으로 상전이 시킬 수 있다 [6,7]. 특히 베타상 산화갈륨은 도핑 공정 없이도 결정구조 상의 oxygen vacancy로 인한 n-type 전도 특성을 갖고 있으므로 n-channel 반도체 재료로 사용할 수 있다 [8-10]. 산화갈륨 박막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HVPE, MBE, MOCVD, RF sputter 등이 널리 쓰이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무 진공 상압에서 수용액을 분무시켜 기판과의 반응으로 박막을 증착시키는 Mist-CVD 방식을 채택하였다 [11-1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7)

  1. S. J. Pearton, J. Yang, P. H. Cary, F. Ren, J. Kim, M. J. Tadjer, and M. A. Mastro, Appl. Phys. Rev., 5, 011301 (2018). [DOI: https://doi.org/10.1063/1.5006941] 

  2. M. H. Wong, K. Goto, H. Murakami, Y. Kumagai, and M. Higashiwaki, IEEE Electron Device Lett., 40, 431 (2019). [DOI: https://doi.org/10.1109/LED.2018.2884542] 

  3. M. Higashiwaki, K. Sasaki, T. Kamimura, M. H. Wong, D. Krishnamurthy, A. Kuramata, T. Masui, and S. Yamakoshi, Appl. Phys. Lett., 103, 123511 (2013). [DOI: https://doi.org/10.1063/1.4821858] 

  4. M. Higashiwaki, K. Sasaki, A. Kuramata, T. Masui, and S. Yamakoshi, Appl. Phys. Lett., 100, 013504 (2012). [DOI: https://doi.org/10.1063/1.3674287] 

  5. K. Akaiwa, K. Kaneko, K. Ichino, and S. Fujita, Jpn. J. Appl. Phys., 55, 1202BA (2016). [DOI: https://doi.org/10.7567/JJAP.55.1202BA] 

  6. Y. An, L. Dai, Y. Wu, B. Wu, Y. Zhao, T. Liu, H. Hao, Z. Li, G. Niu, J. Zhang, Z. Quan, and S. Ding, J. Adv. Dielectr., 9, 1950032 (2019). [DOI: https://doi.org/10.1142/S2010135X19500322] 

  7. N. H. Kim and H. W. Kim, Mater. Sci. Forum, 475, 3377 (2005). [DOI: https://doi.org/10.4028/www.scientific.net/MSF.475-479.3377] 

  8. H. Zhou, M. Si, S. Alghamdi, G. Qiu, L. Yang, and P. D. Ye, IEEE Electron Device Lett., 38, 103 (2017). [DOI: https://doi.org/10.1109/LED.2016.2635579] 

  9. D. Y. Guo, Z. P. Wu, Y. H. An, X. C. Guo, X. L. Chu, C. L. Sun, L. H. Li, P. G. Li, and W. H. Tang, Appl. Phys. Lett., 105, 023507 (2014). [DOI: https://doi.org/10.1063/1.4890524] 

  10. J. B. Varley, J. R. Weber, A. Janotti, and C. G. Van de Walle, Appl. Phys. Lett., 97, 142106 (2010). [DOI: https://doi.org/10.1063/1.3499306] 

  11. K. H. Kim, M. T. Ha, Y. J. Kwon, H. Lee, S. M. Jeong, and S. Y. Bae, ECS J. Solid State Sci. Technol., 8, Q3165 (2019). [DOI: https://doi.org/10.1149/2.0301907jss] 

  12. Y. Cheng, Y. Xu, Z. Li, J. Zhang, D. Chen, Q. Feng, S. Xu, H. Zhou, J. Zhang, Y. Hao, and C. Zhang, J. Alloys Compd., 831, 154776 (2020). [DOI: https://doi.org/10.1016/j.jallcom.2020.154776] 

  13. G. T. Dang, T. Kawaharamura, M. Furuta, and M. W. Allen, IEEE Trans. Electron Devices, 62, 3640 (2015). [DOI: https://doi.org/10.1109/TED.2015.2477438] 

  14. Y. Zhang, F. Alema, A. Mauze, O. S. Koksaldi, R. Miller, A. Osinsky, and J. S. Speck, APL Mater., 7, 022506 (2019). [DOI: https://doi.org/10.1063/1.5058059] 

  15. X. C. Guo, N. H. Hao, D. Y. Guo, Z. P. Wu, Y. H. An, X. L. Chu, L. H. Li, P. G. Li, M. Lei, and W. H. Tang, J. Alloys Compd., 660, 136 (2016). [DOI: https://doi.org/10.1016/j.jallcom.2015.11.145] 

  16. Z. Chen, K. Nishihagi, X. Wang, K. Saito, T. Tanaka, M. Nishio, M. Arita, and Q. Guo, Appl. Phys. Lett., 109, 102106 (2016). [DOI: https://doi.org/10.1063/1.4962538] 

  17. H. Zhou, K. Maize, G. Qiu, A. Shakouri, and P. D. Ye, Appl. Phys. Lett., 111, 092102 (2017). [DOI: https://doi.org/10.1063/1.500073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