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신속대응팀의 활성화 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
Factors Influencing the Activation Time of the Rapid Response Team 원문보기

임상간호연구 =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v.26 no.2, 2020년, pp.198 - 206  

한미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강은형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이용숙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장은주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이수정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허윤아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남궁서화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  서서희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e rapid response team is a patient safety system that detects symptoms and signs of deteriorating inpatients and provides intervention and treatment. This study analyze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activation time of the team. Methods: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hat analyzed...

Keyword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국내 논문에서 신속대응팀 출동에 따른 환자 분석, 운영에 따른 결과(원내 심정지 발생률, 중환자실 입실률, 재원기간, 사망률 등), 내, 외과 병동의 신속대응팀 출동 비교, 수술 유무에 따른 신속대응팀 연구 등은 보고되고 있으나[14-17], 신속대응팀의 활성화 시간과 관련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신속대응팀 활성화 시간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분석을 통해 병동에서 악화되는 상황에 대한 인지를 높이고, 효과적인 신속대응팀의 개입으로 환자 안전을 향상시키는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구조 불이행의 원인은 무엇인가? 신속대응팀은 의료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조 불이행 (failure to rescue)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환자 안전 시스템으로 응급 및 중환자 치료가 가능한 의사와 간호사로 구성 되어[1], 임상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환자를 신속하게 평가하여 치료 및 중재함으로써 병원 내 심정지 발생률 및 사망률을 줄이고[1,2], 입원 환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질적 의료를 제공 하기 위한 팀이다[3]. 구조 불이행의 원인은 병동의 모니터링 장비의 부족, 간헐적인 활력징후 측정, 응급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판단하는 기준의 차이, 의사소통 문제, 지연되는 보고체계, 업무량의 증가 등으로 악화되는 환자에 대한 신속한 대응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3,4].
신속대응팀은 무엇인가? 신속대응팀은 의료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구조 불이행 (failure to rescue)을 예방하고 관리하기 위한 환자 안전 시스템으로 응급 및 중환자 치료가 가능한 의사와 간호사로 구성 되어[1], 임상적으로 악화되고 있는 환자를 신속하게 평가하여 치료 및 중재함으로써 병원 내 심정지 발생률 및 사망률을 줄이고[1,2], 입원 환자의 안전을 강화하고 질적 의료를 제공 하기 위한 팀이다[3]. 구조 불이행의 원인은 병동의 모니터링 장비의 부족, 간헐적인 활력징후 측정, 응급상황을 인지하지 못하거나 판단하는 기준의 차이, 의사소통 문제, 지연되는 보고체계, 업무량의 증가 등으로 악화되는 환자에 대한 신속한 대응에 한계가 발생할 수 있다[3,4].
신속대응팀의 활성화 기준은 무엇인가? 신속대응팀의 활성화 기준은 침상에서 환자의 악화 상태를 확인하는 점수 체계인 조기 경고 점수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며, 조기 경고 점수는 수축기 혈압, 맥박수, 호흡수, 체온 및 의식수준(AVPUscale:Alert, Voice, Pain, Unresponsive)의 5가지 변수로 구성되어 있고[22], 소변량, 검사결과 및 환자의 상태에 대해 악화가 우려되는 경우, 검사 결과를 추가하여 사용하고 있다. 호출 기준은 호흡수 8회 이하 또는 25회 이상, 산소 포화도 90.0%이하, 동맥혈 가스 검사에서의 PH 7.3 이하, 산소 분압 55 mmHg 이하, 이산화탄소 분압 50mmHg 이상, lactic acid 2.0mmol/L 이상, 천명 또는 호흡 부속근 사용 시이며, 증상이 동반된 수축기 혈압 85mmHg 이하, 맥박 50회/분 이하 또는 130회/분 이상, 급성 가슴 통증, 소변 양이 4시간동안 50ml 이하로 측정되는 경우이다. 또한 갑작스러운 의식 변화, 불명확한 불안, 초조, 경련 발생뿐만 아니라 환자의 전체적인 악화에 대해 우려되는 경우에 직접 호출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0)

  1. Simmonds T. Best-practice portocols: Implementing a rapid response system of care. Nursing Management. 2005;36(7):41-59. 

  2. White K, Scott IA, Bernard A, McCulloch K, Vaux A, Joyce C, et al. Patient characteristics, interventions and outcomes of 1151 rapid response team activations in a tertiary hospital: A prospective study. Internal Medicine Journal. 2016;46(12):1398-1406. https://doi.org/10.1111/imj.13248 

  3. Thomas K, VanOyen Force M, Rasmussen D, Dodd D, Whildin S. Rapid response team: Challenges, solutions, benefits. Critical Care Nurse. 2007;27(1):20-27. 

  4. Jones DA, DeVita MA, Bellomo R. Rapid-response teams. New England Journal of Medicine. 2011;365(2):139-146. https://doi.org/10.1056/nejmra0910926 

  5. DeVita MA, Hillman K, Bellomo R, Odell M, Jones DA, Winters BD, et al, editors. Textbook of rapid response systems: Concept and implementation. Chem(CH): Springer Nature; 2017. p. 25-30. https://doi.org/10.1007/978-3-319-39391-9 

  6. Subbe CP, Welch JR. Failure to rescue: Using rapid response systems to improve care of the deteriorating patient in hospital. Journal of Patient Safety and Risk Management. 2013;19(1):6-11. https://doi.org/10.1177%2F1356262213486451 

  7. Andersen LW, Kim WY, Chase M, Berg KM, Mortensen SJ, Moskowitz A, et al. The prevalence and significance of abnormal vital signs prior to in-hospital cardiac arrest. Resuscitation. 2016;98:112-117.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5.08.016 

  8. Boerma LM, Reijners EP, Hessels RA, v Hooft MA. Risk factors for unplanned transfer to the intensive care unit after emergency department admission. The American Journal of Emergency Medicine. 2017;35(8):1154-1158. https://doi.org/10.1016/j.ajem.2017.03.019 

  9. Heller AR, Mees ST, lauterwald B, Mees H, Benjamin L, Christian R, et al. Detection of deteriorating patients on surgical wards outside the ICU by an automated MEWS-based early warning system with paging functionality. Annals of Surgery. 2020;271(1):100-105. https://doi.org/10.1097/SLA.0000000000002830 

  10. Lyons PG, Edelson DP, Churpek MM. Rapid response systems. Resuscitation. 2018;128:191-197. https://doi.org/10.1016/j.resuscitation.2018.05.013 

  11. Burrell E, Kapu A, Huggins E, Cole K, Fitzsimmons J, Collins N, et al. Dedicated, proactive, nurse practitioner rapid response team eliminating barriers. The Journal for Nurse Practitioners. 2020;16(1):e17-e20. https://doi.org/10.1016/j.nurpra.2019.07.013 

  12. Barwise A, Thongprayoon C, Gajic O, Jensen J, Herasevich V, Pickering BW. Delayed rapid response team activation is associated with increased hospital mortality, morbidity, and length of stay in a tertiary care institution. Critical Care Medicine. 2016;44(1):54-63. https://doi.org/10.1097/CCM.0000000000001346 

  13. Fernando SM, Readon PM, Bagshaw SM, Scales DC, Murphy K, Shen J, et al. Impact of nighttime rapid response team activation on outcomes of hospitalized patients with acute deterioration. Critical Care. 2018;22:67. https://doi.org/10.1186/s13054-018-2005-1 

  14. Kwak HJ, Yun I, Kim SH, Sohn JW, Shin DH, Yoon HJ, et al. The extended rapid response system: 1-year experience in a university hospital. Journal of Korean Medical Science. 2014;29(3):423-430. https://doi.org/10.3346/jkms.2014.29.3.423 

  15. Kim Y, Lee DS, Min H, Choi YY, Lee EY, Song I, et al. Effectiveness analysis of a part-time rapid response system during operation versus nonoperation. Critical Care Medicine. 2017;45(6):e592-e599. https://doi.org/10.1097/CCM.0000000000002314 

  16. Oh TK, Kim SY, Lee DS, Min HJ, Choi YY, Lee EY, et al. A rapid response system reduces the incidence of in-hospital postoperative cardiopulmonary arrest: A retrospective study. Canadian Journal of Anesthesia. 2018;65(12):1303-1313. https://doi.org/10.1007/s12630-018-1200-5 

  17. Ko BS, Lim TH, Oh JH, Lee YJ, Yun IA, Yang MS, et al. The effectiveness of a focused rapid response team on reducing the incidence of cardiac arrest in the general ward. Medicine. 2020;99(10):e19032. https://doi.org/10.1097/md.0000000000019032 

  18. Brydges N, Mundie T. Rapid Response Team(RRT) in Critical Care. Springer. 2020:87-94. https://doi.org/10.1007/978-3-319-74588-6_9 

  19. Kabrhel C, Rosovsky R, Channick R, Harshbarger S, Chang Y, Rosenfield K. A multidisciplinary pulmonary embolism response team: Initial 30-month experience with a novel approach to delivery of care to patients with submassive and massive pulmonary embolism. Chest. 2016;150(2):384-393. https://doi.org/10.1016/j.chest.2016.03.011 

  20. Ju T, Al-Mashat M, Rivas L, Sarani B. Sepsis rapid response teams. Critical Care Clinics. 2018;34(2):253-258. https://doi.org/10.1016/j.ccc.2017.12.004 

  21. DeVita MA, Braithwaite RS, Mahidhara R, Stuart S, Foraida M, Simmons RL, et al. Use of medical emergency team responses to reduce hospital cardiopulmonary arrests. Quality & Safety in Health Care. 2004;13(4):251-254. https://doi.org/10.1136/qhc.13.4.251 

  22. Subbe CP, Kruger M, Rutherford P, Gemmel L. Validation of a modified Early Warning Score in medical admissions. QJM. 2001;94(10):521-526. https://doi.org/10.1093/qjmed/94.10.521 

  23. Suh JH. Age range of pediatric emergency patients for optimal care in the situation of limited resources, [master's thesis]. Seoul: Ewha Womans University; 2018. p.1-117. 

  24. Reardon PM, Fernando SM, Murphy K, Rosenberg E, Kyeremanteng K. Factors associated with delayed rapid response team activation. Journal of Critical Care. 2018;46:73-78. https://doi.org/10.1016/j.jcrc.2018.04.010 

  25. Gupta S, Green C, Subramaniam A, Zhen LD, Low E, Tiruvoipati R. The impact of delayed rapid response call activation on patient outcomes. Journal of Critical Care. 2017;41:86-90. https://doi.org/10.1016/j.jcrc.2017.05.006 

  26. DeVita MA, Hillman K, Bellomo R. Text book of rapid response system: Concept and implementation. New York(NY): Springer Science+Business Media; 2011. p. 115-116. https://doi.org/10.1007/978-0-387-92853-1 

  27. Douw G, Huisman-de Waal G, van Zanten AR, van der Hoeven JG, Schoonhoven L. Capturing early signs of deterioration: The dutch-early-nurse-worry-indicator-score and its value in the Rapid Response System.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017;26 (17-18):2605-2613. https://doi.org/10.1111/jocn.13648 

  28. Douw G, Schoonhoven L, Holwerda T, Huisman-de Waal G, van Zanten AR, van Achterberg T, et al. Nurses' worry or concern and early recognition of deteriorating patients on general wards in acute care hospitals: A systematic review. Critical Care. 2015;19:230. https://doi.org/10.1186/s13054-015-0950-5 

  29. Braaten JS. Hospital system barriers to rapid response team activation: A cognitive work analysis. American Journal of Nursing. 2015;115(2):22-32. https://doi.org/10.1097/01.naj.0000460672.74447.4a 

  30. Chua WL, See MT, Legido-Quigley H, Jones D, Tee A, Liaw SY. Factors influencing the activation of the rapid response system for clinically deteriorating patients by frontline ward clinicians: A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for Quality in Health Care. 2017;29(8):981-998. https://doi.org/10.1093/intqhc/mzx149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