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온라인 평가 도구를 활용한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학습 동기와 사고력 간 인과 관계
Causal relationship between learning motivation and thinking in programming education using online evaluation tool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4 no.4, 2020년, pp.379 - 390  

장원영 (교육부 교육과정정책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최근 코로나19 상황으로 인한 비대면 교육의 확산으로 온라인 교수·학습 및 평가 도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도구의 효과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학습자의 정의적, 인지적 변인 간의 구조적 영향력과 인과 관계에 대한 규명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온라인 저지'를 활용하는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도구의 활용 횟수, 자기효능감, 몰입, 컴퓨팅 사고력, 논리적 사고력으로 구성된 연구 모형과 경쟁 모형을 설정하고, 모형의 적합도와 경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도구의 활용 횟수 → 자기효능감 → 몰입 → 논리적 사고력 → 컴퓨팅 사고력'에 이르는 인과 관계를 규명하였고, 도구의 활용 횟수가 학습 동기를 거쳐 사고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 상에 '자기효능감 → 몰입'의 이중 매개 효과, 또는 '몰입'의 단독 매개 효과를 확인하는 동시에 '몰입 → 자기효능감'의 이중 매개 변인으로는 도구의 활용 횟수가 사고력으로 발현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한편, 동일한 경로 상에 '논리적 사고력 → 컴퓨팅 사고력'의 경로는 규명되었으나, '컴퓨팅 사고력 → 논리적 사고력'의 경로는 규명되지 않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nterest in online teaching·learning and evaluation tools has increased in the context of Covid-19. In order to use tools effectively,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 structural influence and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learner's affective and cognitive variables. In this stud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육에서 온라인 교수‧학습 및 평가 도구의 활용이 자기효능감을 거쳐 몰입에 이르고, 다시 논리적 사고력을 거쳐 최종적으로 컴퓨팅 사고력에 이르는 경로가 존재하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는 해당 도구의 효과성과 영향력을 확인하는 의미도 있지만, 도구의 활용 횟수에서 출발하여 컴퓨팅 사고력에 이르는 경로, 즉 인과 관계를 규명함으로써 인지적 사고력에 이르는 교육용 도구의 활용과 동기적 매개 변인의 영향력을 규명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 본 연구는 프로그래밍 교육을 위한 대표적인 교수‧학습 및 평가 도구로서 일선 학교에서 최근 많이 활용되고 있는 온라인 저지의 활용이 학습 동기와 사고력에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였으며, 자기효능감에서 몰입에 이르는 인과 관계와 논리적 사고력에서 컴퓨팅 사고력에 이르는 인과 관계를 규명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자기효능감은 무엇인가? 자기효능감(Self-efficacy)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요구되는 일련의 행동들을 조직화하고 실행할 수 있는 능력에 대한 개인의 자기 확신을 의미한다[6]. 특히, 학습자가 자신의 학업적 수행 능력에 대해 보이는 기대나 신념을 의미하는 학업적 자기효능감은 학습자의 지식 습득과 수행을 매개하는 중요한 변수로서[1], 학습자가 새로운 상황에서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학습하고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원동력이 되며[7], 학습동기와 학업 성취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8][9][10], 노력의 유지, 장애 상황에서의 학업의 지속, 인지적 활동의 조절, 정서 반응 등을 통하여 학업 성취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친다[11].
논리적 사고의 하위요소는 무엇인가? 논리적 사고력(Logical Thinking, 줄여서 LT)은 사상(event)들 간의 관계와 의미 등이 타당성이 확보되었는지, 모순은 없는지 등을 추리하고 분석하는 능력이다. 논리적 사고의 하위요소는 Piaget 이론에 기반을 둔 표준 논리 검사 요소인 계열화 논리, 비례 논리, 확률 논리, 변인 통제 논리, 조합 논리, 명제 논리 등 총 6가지가 있다[18].
온라인 저지가 평가의 정확성과 객관성을 담보하는 것 외에 가지는 장점은? 이러한 평가 도구로서의 유용성 외에도 온라인 저지는 장원영, 김성식(2014)[3], 김성식, 오소희, 정상수 (2018)[4], 심재권, 채정민(2018)[5]의 연구에서 보고한 것처럼 프로그래밍 성취도, 흥미나 만족, 몰입 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효과적인 프로그래밍 교수‧학습도구로서 유용하다고 보고 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6)

  1. Bandura, A. (1986).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ctice Hall. 

  2. You, J.W.(2011).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social factor, psychological mediators and motivational factor for enhancing learners' engagement. Doctoral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3. Chang, W.Y., Kim, S.S.(2014).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lgorithm Judging System: Analysis of Effects on Programming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7(4), 45-57. 

  4. Kim, S.S., Oh, S.H., Jeong, S.S.(2018).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blem Bank of Problem Solving Programming Using Online Judge System in Data Structure Education.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1(4), 11-20. 

  5. Shim, J,K., Chae, J.M.(2018). Develpment of On-line Judge System based on Bloick Programm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21(4), 1-10. 

  6. Bandura, A. (1997). Self-efficacy: The exercise of control, NY: W. H. Freemana and Company. 

  7. Bandura, A. (1977).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Psychological Review, 84, 191-215. 

  8. Schunk, D.H. (1991). Self-efficacy and academic motivation. Educational Psychologist, 26, 207-231. 

  9. Zimmerman, B.J. (1995). Self-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NY: Cambridge University Press. 

  10. Bandura, A. (1999). A social cognitive theory of personality. In L. Pervin & O. John (Ed.), Handbook of personality (2nd ed., pp. 154-196). New York: Guilford Publications. 

  11. Bak, B.G., Jung, K.S., Kim, S.M., Lee, J.U. (2005).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Complex Scale of Self-Regulated Learning: Focused on Integrating the Subscale of Motivation Regulation. The Korea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19(2), 455-476. 

  12. Csikszentmihalyi, M. (1975). Beyond boredom and anxiety. San Francisco: Jossey Bass. 

  13. Marks, H.M. (2000). Student engagement in instructional activity:Patterns in the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year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37 (1), 153-184. 

  14. Park, J.Y. (2015). An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tudents' Characteristics, Flow, and Learning Effects in a SCRATCH Programming Course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Doctoral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15. Kim, M.Y., Kim, M.J., Park, H.J., Koo, J.A. (2009).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Prior knowledge, Cognitive Load, Flow, and Achievement. Journal of Research in Curriculum Instruction, 13(2), 369-391. 

  16. Park, S.I., Kim, Y.K. (2006). An Inquiry on the Relationships among Learning-Flow Factors, Flow Level, Achievement under On-line Learning Environment.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4(1), 93-115. 

  17. Chae, Y.M., Cho, S.H., Kim, S.S. (2008). The Effect of a Programming WBI Based on the Flow Theoryon Flow Level and Academic Achievement.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12(1), 15-22. 

  18. Lee, J.T., Lee, S.B. (2004). A Study on the Development and Verification of a Logical Thinking Ability Measuring Tool in Computer Programming Learning. The Journal of Korean Association of Computer Education, 7(4), 15-23. 

  19. Ministry of Education (2015). Software Education Operating Guide,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20. ISTE & CSTA. (2011). Operational Definition of Compuatational Thinking for K-12 Eduction. 

  21. Choi, Y.H. (2001). The Relationships Between Children's Attribution Style and Learned Helpessness?Self-Efficacy. Master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22. Sherer, M. & Maddux, J. E. (1982).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 51, 663-671 

  23. Jeong, T.H. (1987). A study on motivation determinants and effects of Out-Of-School learning time investment. Doctoral thesis, Korea University. 

  24. Jackson, S. A., & Marsh, H. W. (1996).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Scale to Measure Optimal Experience: The Flow State Scale. Journal of Sport & Exercise Psychology, 18, 17-35. 

  25. KERIS (2018). 2017 Software Eucation Effectiveness Measurement tool Development Research,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Research Report CR 2017-8. 

  26. Lee, J.H. (2009). Analysis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o learn, metacogniti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learning flow, and school achievement. Doctoral thesi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27. Kim, J.U., Kim, H.E. (2012). The Relationship of Self-efficacy and Stress to Children s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Learner 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2(1), 97-118. 

  28. Park, K.S. (2015). Effect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self-efficacy on student engagement : the mediating effects of subjects interest. Master thesis, Ewha Womans University. 

  29. Han, S.J. (2018). The Effects of PBL-based App Programming Education on the Specialized High School Students' Learning Attitude and Computational Thinking. Doctoral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30. Kim, J.E. (2018). The Effects of Physical Computing-Based Programming Education on Computational Thinking, Learning Flow, and Recognition concerning SW. Master thesis. Ajou University. 

  31. West, S. G., Finch, J. F., & Curran, P. J. (1995). Structual equation models with nonnormal variables: Problems and remedies, In R. H. Hoyle(Ed), Structural equation modelling: Concepts, issues, and applications, Thounsand Oaks, CA:Sage Publications 

  32. Hair, J., Black, W., Babin, B., and Anderson, R. (2010). Multivariate data analysis (7th ed.). Upper Saddle River, NJ, USA: Prentice-Hall, Inc. 

  33. Noh, K.S, (2019). Statistical analysis of papers you know and use properly SPSS & AMOS. Seoul: Hanit Academy 

  34. Bae, B.Y. (2017).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ith Amos 24. Seoul: Book Publishing Cheonglam. 

  35. Malhotra N. K., Dash S. 2011)Malhotra, N. K., & Dash, S. (2011). Marketing Research an Applied Orientation. London: Pearson Publishing. 

  36. Woo, J.P. (2014). Structural equation model concepts and understanding. Seoul: Hannalae.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