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연산자 | 기능 | 검색시 예 |
---|---|---|
() | 우선순위가 가장 높은 연산자 | 예1) (나노 (기계 | machine)) |
공백 | 두 개의 검색어(식)을 모두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나노 기계) 예2) 나노 장영실 |
| | 두 개의 검색어(식) 중 하나 이상 포함하고 있는 문서 검색 | 예1) (줄기세포 | 면역) 예2) 줄기세포 | 장영실 |
! | NOT 이후에 있는 검색어가 포함된 문서는 제외 | 예1) (황금 !백금) 예2) !image |
* | 검색어의 *란에 0개 이상의 임의의 문자가 포함된 문서 검색 | 예) semi* |
"" | 따옴표 내의 구문과 완전히 일치하는 문서만 검색 | 예) "Transform and Quantization" |
다음과 같은 기능을 한번의 로그인으로 사용 할 수 있습니다.
NTIS 바로가기논문에서 용어와 풀이말을 자동 추출한 결과로,
시범 서비스 중입니다.
인공지능이 4차 산업혁명 시대의 핵심 기술로 주목받는 가운데, 인공지능에 대한 기본적인 소양을 길러주기 위한 교육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학생을 위한 프로젝트 기반의 AI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하고 그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참여한 학생들은 3인 1조로 편성되어 2박 3일 일정의 프로젝트 학습을 수행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자신이 원하는 문제를 선택하고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해 이를 해결하는 구체적인 산출물을 제작하였다. AI 프로젝트 수업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활동 전후 학습자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와 효능감의 변화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AI 프로젝트 수업 이후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와 효능감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의 긍정적인 변화가 확인되었다. 이러한 변화는 인지된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수준이 높을수록, 프로젝트 학습에 대한 흥미 수준이 높을수록 더욱 뚜렷하게 나타났다.
While artificial intelligence (AI) is attracting attention as a core technology in the era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needs for artificial intelligence education to cultivate AI literacy is emerging. In this regard, we developed and applied a project-based AI education program for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its effects. Participants were assigned into teams with three members, and each team engaged in a project-based AI education program for two nights and three days. In the project, they selected an real-world problem they wanted and devised an AI-enabled artifact to solve i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was investigated with the changes in attitude and efficacy of learner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I project learning positively changed both attitudes and efficacy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a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level. This change was more pronounced as the level of perceived programming skills increased, and the level of interest in the project learning increased.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연구문제 2와 관련하여, 학습자들이 인식한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수준에 따라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 변화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먼저, 자신의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수준이 높다고 인식한 학습자 집단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의 모든 영역인 흥미(t=2.
연구문제 3과 관련하여, 학습자가 AI 프로젝트 학습에 대해 느낀 흥미 정도에 따라 프로젝트 학습 사전 · 사후에 측정된 학습자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 변화가 어떠한지 살펴보았다.
이러한 노력의 일환으로 본 연구에서는 2박 3일 일정의 프로젝트 학습 기반 AI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55명의 초 · 중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적용한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와 효능감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2박 3일간의 AI 프로젝트 수업에 자발적으로 참여한 55명의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자신이 관심이 있는 생활 주변의 문제를 선택하고 AI 기술을 이용해 이를 해결하는 최종 결과물을 산출하도록 하였다.
이처럼 세계적으로 K-12 학생들을 위한 보편적인 인공지능 교육의 필요성이 강조되는 가운데, 본 연구에서는 초·중등 학생을 위한 프로젝트 학습을 개발·적용하고, 이후 교육적 효과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2) 학습자의 인식된 프로그래밍 언어 활용 수준에 따라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 및 효능감 변화에 차이가 있는가?
3) 학습자의 인공지능 프로젝트 흥미 수준에 따라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 및 효능감 변화에 차이가 있는가?
핵심어 | 질문 |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
---|---|---|
프로젝트 학습 | 프로젝트 학습이란 무엇인가? |
학습자가 실제적 문제해결 과정을 경험하도록 그들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며 이를 직접 실행해가도록 하는 방식의 교수ㆍ학습 방법
프로젝트 학습(project-based learning)은 학습자가 실제적 문제해결 과정을 경험하도록 그들 스스로 문제를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계획을 수립하며 이를 직접 실행해가도록 하는 방식의 교수ㆍ학습 방법이다[23]. 프로젝트 학습에서 학습자들은 학습의 주도권을 갖고 학습의 구체적인 내용과 방향, 깊이를 능동적으로 선택하며[4], 최종적으로 그들이 선택한 문제를 해결하는 구체적이고 가시적인 산출물을 만들어낸다는 특징이 있다[2] |
인공지능 | 인공지능이란 용어는 언제 처음 사용되었는가? |
1956년 열린 다트머스 회의 (Dartmouth conference)에서 존 매카시(John McCarthy)에 처음 사용
인공지능이란 용어는 1956년 열린 다트머스 회의 (Dartmouth conference)에서 존 매카시(John McCarthy)에 처음 사용되었다. 이후 인공지능 기술은 두 차례의 암흑기를 겪으며 발전과 침체를 거듭하다, 최근 향상된 컴퓨터 계산 능력, 사물인터넷(IoT) 기술 등에 의한 데이터 크기의 기하급수적 증가, 합성곱 신경망(CNN)이나 적대적 생성 신경망(GAN)과 같은 새로운 기계 학습(machine learning) 알고리즘 개발 등의 요인에 의해 급속도로 성장하였다. |
프로젝트 학습 과정 | 프로젝트 학습 과정의 각 단계는 어떻게 이루어지는가? |
준비 단계는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제반 사항을 갖추는 단계로,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프로젝트를 함께 수행할 팀을 구성하고 학습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며 필요한 자료를 탐색한다. 다음으로 전개 단계에서 학생들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탐색하며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이때 학생들은 지속적인 협력과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아이디어를 직접 구현하고 보완하며 최종적인 결과물을 만들어가게 된다. 마지막 마무리 단계에서는 최종 결과물을 요약·발표하며 각 팀의 결과물을 공유한다. 이때 학생들은 서로의 결과물을 평가하고 자신의 결과물을 성찰하는 시간을 가진다.
프로젝트 학습 과정은 문제해결을 위한 최종 산출물을 정해진 기간 내에 완성하는 것을 중심으로 구성되며, 크게 1) 프로젝트 수행에 필요한 제반 사항을 갖추기 위한 준비 단계, 2) 주제를 정하고 문제해결 과정을 실행하는 전개 단계, 그리고 3) 최종 결과물을 작성하고 발표 및 평가를 하는 마무리 단계로 구분해볼 수 있다[9]. 먼저 준비 단계는 프로젝트 수행을 위한 제반 사항을 갖추는 단계로, 이 단계에서 학생들은 프로젝트를 함께 수행할 팀을 구성하고 학습 주제와 관련된 내용을 이해하며 필요한 자료를 탐색한다. 다음으로 전개 단계에서 학생들은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를 구체적으로 정의하고 이를 해결하는데 필요한 자료를 탐색하며 문제해결을 위한 아이디어를 공유한다. 이때 학생들은 지속적인 협력과 상호작용을 통해 서로의 아이디어를 직접 구현하고 보완하며 최종적인 결과물을 만들어가게 된다. 마지막 마무리 단계에서는 최종 결과물을 요약·발표하며 각 팀의 결과물을 공유한다. 이때 학생들은 서로의 결과물을 평가하고 자신의 결과물을 성찰하는 시간을 가진다. 이러한 프로젝트 학습의 전체 과정은 학습 주제와 맥락의 특성에 따라 짧게는 며칠에서 길게는 몇 달까지 지속될 수 있다. |
원문 PDF 다운로드
원문 URL 링크
원문 PDF 파일 및 링크정보가 존재하지 않을 경우 KISTI DDS 시스템에서 제공하는 원문복사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원문복사서비스 안내 바로 가기)
DOI 인용 스타일
"" 핵심어 질의응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