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포토 내러티브 방법을 이용한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 분석
An Analysis o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Using the Photo-narrative Method 원문보기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earth science education, v.13 no.2, 2020년, pp.134 - 146  

임성만 (전주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에 대해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이해를 구체적으로 알아보기 위해 포토 내러티브의 방법을 이용하였다. 포토 내러티브는 연구참여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것을 사진을 찍어 설명하는 방법을 말한다. 연구참여자는 초등 예비교사 66명이었다. 연구 결과, 첫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을 설명하기 위해 현상, 원리와 같은 과학적 용어뿐만 아니라, 사람, 생활, 일상과 같은 단어를 많이 사용하였다. 둘째,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한 사진에는 생활용품, 자연현상, 첨단기기, 생물 등이 있었다. 셋째, 초등 예비교사들은 과학을 학문과 지식, 탐구, 편리함, 과학의 본성 등으로 설명하고 있었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초등 예비교사들이 과학을 생활과 밀접하고 필요한 학문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게 되었으며, 이번 연구결과가 앞으로 초중등 과학교육의 교육과정 구성 및 교과 내용 편성은 물론 교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 편성에도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have a perception of 'science'. Especially, this study used photo-narrative method to analysis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 of 'science'. Photo-narrative is a way of describing what a study participant wants to say by ta...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더불어 이번 연구는 초등 예비교사들이 이해하고 있는 ‘과학’에 대해 조사하였다.
  • 나아가 예비교사들 또한 과학교수효능감이 낮다는 연구 결과들(김효남과 명전옥, 2009; 윤석진과 박현주, 2012; 임희준, 2013; Finson, 2002)도 보고되고 있어, 학교 현장 교육을 위해 간과할 수 없는 중요한 문제이다. 예비교사들이 갖고 있는 낮은 과학교수효능감의 이유와 그에 대한 긍정적 변화를 위해 이번 연구는 많은 부분에서 그 기초를 다질 수 있는 연구이다. 예비교사들에게 받아들여지는 ‘과학’에 대한 실체를 알아보고 ‘과학’에 대해 긍정적이고 ‘과학교수’를 위해 어떤 계획을 세워야 하는지 많은 부분에서 시사점을 제공해줄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 이러한 포토 내러티브 접근의 연구의 특성을 반영하여 이번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이 ‘과학’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고, 그것을 설명하기 위한 시각적 표현도구가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 둘째, ‘과학’을 설명할 때 어떠한 단어를 많이 사용하고 있는지 그 빈도를 분석하였다. 키워드의 출현 빈도 분석은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적용한 빅 데이터 분석 방법 중 하나로 비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 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하고 가공 및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텍스트에 사용된 단어들은 작성자의 생각을 반영하고 있으므로 텍스트 마이닝 기법은 텍스트 데이터를 대상으로 그 속의 암묵적인 정보를 추출하여 분석하는데 유용하다(조태호, 200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실천적 지식이 필요한 이유는? 교실에서 교사가 상황에 적합하게 자신의 신념과 가치관에 따라 이론적 지식을 재구성하여 수업을 진행 하기 위해서는 ‘실천적 지식’이 필요하다(이선경 등, 2009). 이러한 실천적 지식은 교사가 강의나 책을 통해 배운 과학적 지식뿐만 아니라 이론에 규준이나 가치를 포함하는 일상적 지식, 경험 지식, 사회적 요구 등을 통합하여 형성되는 지식이다(van Driel et al.
포토 내러티브 방법은 어떤 방법인가? 포토 내러티브 방법은 연구 참여자가 직접 촬영한 사진으로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게 하여, 그들의 관점에서 자신이 속한 사회를 표현하게 하는 질적 연구 내 참여적 활동 방법이다(Wang & Burris, 1994). 이와 같은 방법은 그들의 문화와 그들 자신에 영향을 미치는 문제를 높은 통찰력을 이용하여 시각적으로 보여준다.
예비교사들이 형성하고 있는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한 결과는? 한편, 선행 연구에서는 예비교사들의 과학에 대한 인식을 알아보기 위해 예비교사들이 형성하고 있는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를 조사하였다(김동렬, 2015; 김소형등, 2005; 송진웅, 1993; 유은영과 조형숙, 2012; 임성만등, 2008). 이 연구 결과를 보면, 예비교사들은 과학자에 대한 정형화된 이미지를 가지고 있으며, 초등교사에 비해 더 왜곡된 이미지를 보이고 있었다(임성만 등, 2008). 또 많은 예비교사들은 과학과 관련된 직접적인 경험은 물론 매스컴을 통해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유은영과 조형숙, 2012). 특히 많은 예비교사가 가지고 있는 과학자의 이미지는 화학자와 관련된 이미지인 것으로 많은 연구들은 보고 하였다(김소형 등, 2005; 송진웅, 1993; 임성만 등, 2008). 즉 많은 예비교사들이 과학자는 물론 과학에 대한 이미지가 한 쪽으로 편향되어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강경희(2017). 멘토링 참여 경험이 과학교사의 일반교수효능감과 과학교수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7(6), 951-960. 

  2. 김동렬(2015). 초등 예비교사들의 생명영역 탐구 수행 경험이 과학자 이미지와 과학 교수 불안에 미치는 영향. 과학교육연구지, 39(1), 1-14. 

  3. 김소형, 박재일, 정진수, 이혜정, 권용주, 박국태(2005). 과학자에 대한 초등학교 일반 학생과 과학 영재반 학생의 인식 비교 분석. 초등과학교육, 24(1), 1-8. 

  4. 김정화, 조부경(2002). 유치원과 초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과학활동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617-631. 

  5. 김효남(2003).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13(1), 1-8. 

  6. 김효남(2010).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교수효능감 분석. 교육과학연구, 41(1), 97-118. 

  7. 김효남, 명전옥(2009). 예비초등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과 과학 정의적 특성의 상관관계. 교육과학연구, 40(2), 29-50. 

  8. 박성혜(2000).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 교수 방법에 영향을 미치는 과학에 대한 학문적 배경, 과학 교수에 대한 태도, 과학 교수 효능에 대한 신념의 상호 관계성 조사 (1): 양적 연구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0(4), 542-561. 

  9. 박성혜(2001). 초등교사들의 과학교수 자기 효능감과 과학 관련 배경 및 경험에 관한 질적 연구. 한국교사교육, 18(1), 123-150. 

  10. 백성혜, 남초이(2010).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인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 과학철학, 13(1), 83-106. 

  11. 송명섭(2016). 초등 예비교사들의 과학적 탐구에 관한 이해. 과학.수학 교육연구, 39, 179-210. 

  12. 송진웅(1993). 교사의 과학자에 대한 이미지와 존경하는 과학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1), 48-55. 

  13. 유은영, 조형숙(2012). 예비유아교사들의 과학자 이미지분석. 유아교육학논집, 16(2), 399-420. 

  14. 윤석진, 박현주(2012). SSCS 전략을 적용한 교육실습 과정 동안 예비과학교사의 과학교수효능감의 변화 및 교육관련 문제에 대한 인식. 교사교육연구, 51(1), 29-40. 

  15. 윤혜경(2011). 초등 예비교사의 아동의 과학 개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164-180. 

  16. 이경하(2016). 과학자서전에 나타난 예비유아교사와 현직유아교사의 과학에 대한 인식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549-572. 

  17. 이기중(2011). 사진인류학의 연구방법론. 비교문화연구, 17(2), 125-162. 

  18. 이선경, 오필석, 김혜리,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2009). 과학 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 관점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7-57. 

  19. 이은영, 박선영(2014). 은유를 통해 본 예비유아교사의 과학과 과학자에 대한 인식. 유아교육학논집, 18(5), 247-270. 

  20. 이지현(2009). 예비교사의 실천적 지식 함양을 위한 수업프로그램 연구. 교육과학연구, 40(1), 1-33. 

  21. 임성만(2018). 초등예비교사의 과학 에세이 쓰기 활동에서의 과학적 사고력과 감성 분석. 예술인문사회 융합 멀티미디어 논문지, 8(7), 341-350. 

  22. 임성만, 임재근, 최현동, 양일호(2008). 초.중.고 학생과 예비 교사 및 초등 교사가 생각하는 과학자에 대한이미지 분석. 초등과학교육, 27(1), 1-8. 

  23. 임희준(2013). 초등 예비교사와 교사의 교직 전문성과 과학교수 전문성에 대한 인식. 과학교육연구지, 37(3), 538-549. 

  24. 장명덕(2018). 초등예비교사들의 과학학습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1(1), 55-62. 

  25. 장현숙, 이현주(2011). 예비과학교사들의 교사가 되고자하는 동기와 교사상에 나타나는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14-31. 

  26. 조태호(2001). 텍스트 마이닝의 개념과 응용. 지식정보인프라, 5, 76-85. 

  27. Book, M. L., & Mykkanen, J. (2014). Photo-narrative processes with children and young people. International Journal of Child, Youth and Family Studies, 5(4.1), 611-628. 

  28. Carlson, E. D., Engerbretson, J., & Chamberlain, R. M. (2006). Photovoice as a social process of critical consciousness. Qualitative Health Research, 16(6), 836-852. 

  29. Colaizzi, P. E. (1978). Psychological research as the phenomenologist view it existential phenomen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30. Finson, K. D. (2002). Drawing a scientist: What we do and do not know after fifty years of drawing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2(7), 335-345. 

  31. Huberman, A. M., & Miles, M. (1994). Qualitative data analysis.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s. 

  32. Langa, M. (2010) Contested multiple voices of young masculinities amongst adolescent boys in Alexandra Township, South Africa.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Mental Health, 22(1), 1-13. 

  33. Lederman, N. G., Abd-EI-Khalick, F., Bell, R. L., & Schwartz, R. S. (2002). Views of nature of science questionnaire: Toward valid and meaningful assessment of learners' conceptions of nature of scien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9(6), 497-521. 

  34. Lincoln, Y. S., & Guba, E. A. (1985). Naturalistic inquiry. Beverly Hills, CA: Sage. 

  35. Moletsane, R., De Lange, N., Mitchell, C., Stuart, J., Buthelezi, T., & Taylor, M. (2007). Photo-voice as a tool for analysis and activism in response to HIV and AIDS stigmatisation in a rural KwaZulu-Natal school. Journal of Child & Adolescent Mental Health, 19(1), 19-28. 

  36. Niess, M. L., & Scholz, J. (1999). Incorporating subject matter specific teaching strategies into secondary science teacher preparation. In Gess-Newsome, J., & Lederman, N. G.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257-276). Dordrecht, The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 

  37. Noland, C. M. (2006). Auto-photography as research practice: Identity and self- esteem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Practice, 2(1), 1-19. 

  38. Ucar, S. (2012). How do pre-service teachers' view on science, scientists, and science teaching change over time in a science teacher training program.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21, 255-266. 

  39. Van Driel, J. H., Beijaard, D., & Verloop, N. (2001). Professional development and reform in science education: The role of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8(2), 137-158.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