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관람자 내러티브를 활용한 인터랙티브 텍스트 콜라주 창작 연구
A Study on the Creation of Interactive Text Collage using Viewer Narratives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8 no.4, 2022년, pp.297 - 302  

임수연 (경북대학교 미술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디지털 공간에 익숙한 동시대 관람자들은 자기표현 욕구를 드러내며 의사표현 도구로 음성, 텍스트와 제스처를 많이 이용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발화한 관람자의 내러티브를 관람자의 모습을 이용하여 콜라주 형식으로 표현하고, 관람자의 움직임에 의한 스토리를 재생산하고 확장하는 인터랙티브 아트의 창작이다. 제안된 인터랙티브 아트는 관람자로부터 획득한 음성, 영상 정보를 텍스트 콜라주로 시각화하고, 제스처 정보와 자연스러운 사용자 인터페이스(Natural 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쉽고 간편하게 실시간으로 상호작용하며 개인화된 감정을 표현할 수 있도록 한다. 관람자로부터 획득한 세 가지 정보는 서로 연결되어 관람자의 현재 일시적 감정을 표출한다. 텍스트의 경직된 내러티브는 관람자의 초상 이미지와 제스처를 통하여 약간의 자유도를 가지게 되고, 동시에 현실과 밀착된 스토리의 구조를 생산하고 확장해간다. 이렇게 창조된 작품 공간은 실시간으로 관람자의 내러티브를 반영하고 갱신되며 창작되는 체험 공간이며, 자신의 반영이다. 또한 관람자의 능동적인 개입과 행위를 통해 적극적인 감상 행위를 유도해낸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ntemporary viewers familiar with the digital space show their desire for self-expression and use voice, text and gestures as tools for express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reate interactive art that expresses the narrative uttered by the viewer in the form of a collage using the viewer's f...

주제어

표/그림 (5)

참고문헌 (13)

  1. M. Sakr, V. Connelly and M. Wild, "Narrative in young children's digital art-making," Journal of early childhood literacy, Vol. 16, Issue 3, pp. 289-310, 2016. DOI: https://doi.org/10.1177/1468798415577873 

  2. E. Joh, "A Study on the Modern Art Museum Space Applying the Digital Narrative," Vol. 21, No.2, pp. 135-142, 2018. 

  3. C. Jin, J. Yang and K. Kim, "The Interactive Recomposition based Digital storytelling in Interactive Animation," The Korean Journal of Art and Media, Vol. 12, No. 2, pp. 111-121, 2013. DOI: https://doi.org/10.36726/cammp.2013.12.2.111 

  4. A. Alsumait, and Z. Al-Musawi, "Creative and innovative e-learning using interactive storytelling," International Journal of Pervasive Computing and Communications, Vol. 9, No. 3, 2013. DOI: https://doi.org/10.1108/IJPCC-07-2013-0016 

  5. K. Girija, M. Janell and C. Katrina, "Outcomes of collage art-based and narrative self-expression among home hospice caregivers," International Journal of Art Therapy, Vol. 25, No. 2, pp. 52-63, 2020. DOI: https://doi.org/10.1080/17454832.2020.1752756 

  6. Y. Felice, "Collage: An Arts-Based Method for Analysis, Representation, and Social Justice," Journal of leisure research, Vol. 48, Issue 4, pp. 338-346, 2016. DOI: https://doi.org/10.18666/JLR2016-V48-I4-6922 

  7. S. Kim, "Study on collage techniques applied to contemporary fashion," Fashion, Industry and Education, Vol. 20, No. 2, pp. 129-143, 2012. DOI: http://dx.doi.org/10.29049/rjcc.2012.20.2.129 

  8. Y. Kim and H. Kin, "The Effects of Self-Portrait Expression Class Using Collage Technique on Communication Skills of High School Students," Journal of Product Research, Vol. 37, No. 2, pp. 165-178, 2019. DOI: https://doi.org/10.36345/kacst.2019.37.2.018 

  9. D. Shin, "A Study on the promotion method of marital communication through the collage," Master's thesis, Daegu University, 2009. 

  10. M. Kim, "A Study on the Effects of Art Therapy using Collage on Improvement of Mental Health and Self-esteem of Adolescents," Master's thesis, Chosun University, 2011. 

  11. S. Lim, "A Study on the Creation of Digital Self-portrait with Intertextuality,"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Vol. 8, No. 1, pp. 424-434, 2022. DOI: http://dx.doi.org/10.17703/JCCT.2022.8.1.427 

  12. Kakao API, https://speech-api.kakao.com/ 

  13. S. Lim, "Implementation of Self-expression Tool with Interactive Hangeul,"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net, Broadcasting and Communication, Vol. 10, No. 4, pp. 43-49, 2018. 11. 2288-4920. DOI: http://dx.doi.org/10.7236/IJIBC.2018.10.4.43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