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정보격차의 패러다임 전환과 지적 정보격차
Paradigm Shift of Digital Divide and Intellectual Digital Divide 원문보기

한국도서관 정보학회지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v.51 no.1, 2020년, pp.91 - 114  

이승민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문헌정보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ICT 환경의 정착 및 넷 미디어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해 정보접근성에 기반한 양적 정보격차는 정보활용 중심의 질적 정보격차의 형성으로 진화해 왔으며, 인터넷 상에 엄청난 양의 정보가 존재하는 현재의 정보환경에서는 기존의 양적, 질적 정보격차와는 다른 보다 심화된 지적 정보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환경의 진화에 따른 정보격차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지적 정보격차의 형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또한 지적 정보격차는 기존의 양적, 질적 정보격차와 명확하게 구분되는 것이 아니라 기존의 정보격차의 요인들을 기반으로 정보에 대한 지적 능력의 차이로 인해 발생함을 실증하였다. 특히 정보격차의 핵심 요인으로 인식되어 온 교육수준과 경제적 수준은 여전히 양적, 질적 정보격차를 형성하고 있으며, 지적 정보격차의 형성에 있어서도 주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ue to the settlement of the ICT environment and the widespread dissemination of Net media, the quantitative digital divide based on access to information has evolved into the formation of a qualitative digital divide. In the current information environment where enormous amounts of information exis...

주제어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어떤 환경에서는 기존의 양적, 질적 정보격차와는 다른 보다 심화된 지적 정보격차가 발생하고 있는가? ICT 환경의 정착 및 넷 미디어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해 정보접근성에 기반한 양적 정보격차는 정보활용 중심의 질적 정보격차의 형성으로 진화해 왔으며, 인터넷 상에 엄청난 양의 정보가 존재하는 현재의 정보환경에서는 기존의 양적, 질적 정보격차와는 다른 보다 심화된 지적 정보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환경의 진화에 따른 정보격차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지적 정보격차의 형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정보접근성에 기반한 양적 정보격차가 정보활용 중심의 질적 정보격차의 형성으로 진화해 온 이유는? ICT 환경의 정착 및 넷 미디어의 광범위한 보급으로 인해 정보접근성에 기반한 양적 정보격차는 정보활용 중심의 질적 정보격차의 형성으로 진화해 왔으며, 인터넷 상에 엄청난 양의 정보가 존재하는 현재의 정보환경에서는 기존의 양적, 질적 정보격차와는 다른 보다 심화된 지적 정보격차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보환경의 진화에 따른 정보격차의 변화 양상을 확인하고, 지적 정보격차의 형성을 실증적으로 확인하였다.
어떠한 격차는 정보기기 보유에 있어서의 불평등뿐만 아니라 정보기술을 충분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 사이의 격차까지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는가? 하지만 이러한 환경의 진화는 사람들의 정보활동에 있어서의 긍정적인 측면과 함께 사회 전반에 걸친 부정적인 문제들 또한 유발하고 있다. 특히 사회구성원들 사이의 경제적, 사회적 차이는 ICT의 활용 및 인터넷 접속을 위한 기기의 보유와 이용 측면에서 격차를 발생시키는데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격차는 정보기기 보유에 있어서의 불평등뿐만 아니라 정보기술을 충분하게 활용하지 못하는 사람 사이의 격차까지도 포함하는 광범위한 개념으로 진화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in, Young. 2011. "The Use of the Internet and Digital Divide: Focusing on Access, Utilization, and Participation." Journal of Communication Research, 48(1): 150-187. 

  2. Lee, Seungmin. 2012. "Analysis of the Effects of Smart Devices on Digital Divide in Americ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3(2): 29-52. 

  3. Choi, Doojin and Jihee Kim. 2004. "Paradigm Shift in Digital Divide and Productive Information Utilization Plan." Digital Divide Issue Report, 1(2): 1-41. 

  4. Berry, Richard. 2011. Older People and the Internet: Towards a System Map of Digital Exclusion. London: International Longevity Centre-UK. 

  5. Correa, Teresa. 2010. "The Participation Divide Among "Online Experts": Experience, Skills and Psychological Factors as Predictors of College Students' Web Content Creation." Journal of Computer-Mediated Communication, 16(1): 71-92. 

  6. Girling, John. 2006. "Introduction: Bridging the Emotional/Intellectual Divide." In John Girling. 2006. Emotion and Reason in Social Change, pp.1-23. 

  7. Gui, Marco and Gianluca Argentin. 2011. "Digital Skills of Internet Natives: Different Forms of Digital Literacy in a Random Sample of Northern Italian High School Students." New Media & Society, 2(17): 1-18. 

  8. Gunkel, David J. 2003. "Second Thoughts: Toward a Critique of the Digital Divide." New Media & Society, 5(4): 499-522. 

  9. Hargittai, Eszter. 2002. "Second-Level Digital Divide: Differences in People's Online Skills." First Monday, 7(4). [cited 2020. 2. 16]. 

  10. Hargittai, Eszter. 2010. "Digital Na(t)ives? Variation in Internet Skills and Uses among Members of the Net Generation." Sociological Inquiry, 80(1): 92-113. 

  11. Hargittai, Eszter and Amanda Hinnant. 2008. "Digital Inequality: Differences in Young Adults' Use of the Internet." Communication Research, 35(5): 602-621. 

  12. Hilbert, Martin. 2011. "The End Justifies the Definition: The Manifold Outlooks on the Digital Divide and Their Practical Usefulness for Policy-Making." Telecommunications Policy, 35(3): 715-736. 

  13. Houston, Ronald D. and Sanda Erdelez. 2004. "The Digital Divide: Who Really Benefits from the Proposed Solutions for Closing the Gap." Journal of Information Ethics, Spring 2004: 19-33. 

  14. Kling, Rob. 2006. "Learning about Information Technologies and Social Change: The Contribution of Social Informatics." The Information Society, 16(3): 217-232. 

  15. Lee, Seungmin. 2016. "Smart Divide: Paradigm Shift in Digital Divide in South Korea." Journal of Librarianship and Information Science, 48(3): 260-268. 

  16. Lee, H., N. Park, and Y. Hwang. 2015. "A New Dimension of the Digital Divide: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Broadband Connection, Smartphone Use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Telematics and Informatics, 32: 45-56. 

  17. Molnar, Szilard. 2002. "Explanation Frame of the Digital Divide Issue." Information Society, 4: 102-118. 

  18. Organis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2001. Understanding the Digital Divide. Paris: OECD Publications. 

  19. Park, Eun-A and Sangwon Lee. 2015. "Multidimensionality: Redefining the Digital Divide in the Smartphone Era." Info, 17(2): 80-96. 

  20. Pontin, Jason. 2016. "Closing the Digital Divide Isn't Easy: But We Have to Try." MIT Technological Review, January/February 2017 Issue. [cited 2020. 1. 28]. 

  21. Talbot, David. 2016. "The Unacceptable Persistence of the Digital Divide." MIT Technology Review, January/February 2017 Issue. [cited 2020. 1. 30]. 

  22. U.S, Department of Commerce. 1995. Falling Through the Net: A Survey of the "Have Nots" in Rural and Urban America. Washington D.C.: National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Commerce. [cited 2020. 2. 3]. 

  23. U.S, Department of Commerce. 1999. Falling Through the Net: Defining the Digital Divide. Washington D.C.: National Telecommunications and Information Administration, U.S. Department of Commerce. [cited 2020. 2. 3]. 

  24. van Dijk, Jan A. G. M. 2005. The Deepening Divide: Inequality in the Information Society. Thousand Oaks, CA: Sage. 

  25. Yelton, Andromeda, 2012. Bridging the Digital Divide with Mobile Services. Chicago, IL: ALA TechSource.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