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대소변 가림 여부에 따른 사회지수 및 감각처리기능 비교
Comparison of Social Quotient and Sensory Processing According to the Toileting Ability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원문보기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Integrative Medicine = 대한통합의학회지, v.8 no.3, 2020년, pp.133 - 142  

이철상 (스윙대디감각행동발달센터) ,  김태훈 (동서대학교 작업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ocial quotient and sensory processing function between completed-toileting and incomplete-toileting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We aims to provide a basis for the training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둘째, 대소변 못가림군과 가림군의 감각처리기능을 비교하여, 감각처리기능의 평가 및 중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 첫째,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에서 사회지수와 감각처리기능의 관련성을 분석하여, 적응행동장애에 영향을 주는 감각처리기능의 세부요소를 추정하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감각처리장애 아동은 어떤 특징을 보이는가? 감각통합 이론에서는 감각처리장애를 환경으로부터 받은 정보를 잘못 해석하여 발생하는 증상으로 정의하고 있다(Bundy & Lane, 2019). 감각처리장애 아동은 한 가지 또는 그 이상의 감각을 처리하여 과제를 적절하게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학습능력부진, 운동발달지연, 부적응 행동 등을 보이는 경우가 많다(Schaaf 등, 2018). 이것은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의 감각 자극에 대한 행동과 감각처리가 일반아동과 다르기 때문이다(Kern 등, 2006; Liss 등, 2006).
자폐스펙트럼장애의 원인은 무엇인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는 사회적 상호작용 및 사회적 의사소통의 결함이 있으며, 제한되고 반복적이며 상동증적인 행동들을 특징으로 하는 전반적 발달 장애이다(Fuller & Kaiser, 2020).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특정 자극을 지나치게 싫어하거나 집착하는 등 감각자극에 대해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이기 때문이며, 이것은 감각처리장애가 있을 때 발생하는 행동특징이다.
자폐스펙트럼장애란? 자폐스펙트럼장애(autism spectrum disorder)는 사회적 상호작용 및 사회적 의사소통의 결함이 있으며, 제한되고 반복적이며 상동증적인 행동들을 특징으로 하는 전반적 발달 장애이다(Fuller & Kaiser, 2020). 이러한 문제의 원인은 주변 환경에 대한 관심이 부족하고 특정 자극을 지나치게 싫어하거나 집착하는 등 감각자극에 대해 비정상적인 반응을 보이기 때문이며, 이것은 감각처리장애가 있을 때 발생하는 행동특징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Ahmed S, Rehman A, Wassem H, et al(2020). Effects of sensorimotor problems on the performance of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ournal of Health, Medicine and Nursing, 70, Printed Online. https://doi.org/10.7176/JHMN/70-01. 

  2. Belva B, Matson JL, Barker A, et al(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adaptive behavior and specific toileting problems according to the profile on toileting issues(POTI). J Dev Phys Disabil, 23, 535-542. https://doi.org/10.1007/s10882-011-9245-1. 

  3. Blum NJ, Taubman B, Nemeth N(2003). Relationship between age at initiation of toilet training and duration of training: a prospective study. Pediatrics, 111(4), 810-814. https://doi.org/10.1542/peds.111.4.810. 

  4. Bundy AC, Lane SJ(2019). Sensory integration: theory and practice. 3rd ed, Philadelphia, Davis Company, pp.181-205. 

  5. Dunn W, Brown C(1997). Factor analysis on the sensory profile from a national sample of children without disabilities. Am J Occup Ther, 51(7), 490-495. https://doi.org/10.5014/ajot.51.7.490. 

  6. Francis K, Mannion A, Leader G(2017). The assessment and treatment of toileting difficulties in individuals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nd other developmental disabilities. Rev J Autism Dev Disord, 4(3), 190-204. https://doi.org/10.1007/s40489-017-0107-3. 

  7. Fuller EA, Kaiser AP(2020). The effects of early intervention on social communication outcomes f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 meta-analysis. J Autism Dev Disord, 50(2), 1683-1700. https://doi.org/10.1007/s10803-019-03927-z. 

  8. Handley-More D, Richards K, Macauley R, et al(2009). Encopresis: multi-disciplinary management. J Occup Ther Sch Early Interv, 2(2), 96-102. https://doi.org/10.1080/19411240903146400. 

  9. Hyung KA, Kim DY, Kim KB(2011). Effects of Vineland Social Maturity Scale for ADHD childrens sociopsychological development. The Korean Journal of Growth and Development, 19(1), 75-80. 

  10. Kern JK, Trivedi MH, Garver CR, et al(2006). The pattern of sensory processing abnormalities in autism. Autism, 10(5), 480-494. https://doi.org/10.1177/1362361306066564. 

  11. Kilroy E, Aziz-Zadeh L, Cermak S(2019). Ayres theories of autism and sensory integration revisited: what contemporary neuroscience has to say. Brain Sci, 9(3), Printed Online. https://doi.org/10.3390/brainsci9030068. 

  12. Kim MS(2000). A comparison of the sensory processing skills of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y. Graduate school of Ehwa Woman's University, Republic of Korea, Master's thesis. 

  13. Kovacic K, Sood MR, Mugie S, et al(2015). A multicenter study on childhood constipation and fecal incontinence: effects on quality of life. J Pediatr, 166(6), 1482-1487. https://doi.org/10.1016/j.jpeds.2015.03.016. 

  14. Lim YJ, Yoo EY, Yoon HS, et al(2008). Correlation between adaptive behavior and sensory processing factor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 Emot Behav Disord, 24(1), 111-131. 

  15. Liss M, Saulnier C, Fein D, et al(2006). Sensory and attention abnormalities in autistic spectrum disorders. Autism, 10(2), 155-172. https://doi.org/10.1177/362361306062021. 

  16. Maskey M, Warnell F, Parr JR, et al(2013). Emotional and behavioural problems in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J Autism Dev Disord, 43(4), 851-859. https://doi.org/10.1007/s10803-012-1622-9. 

  17. Park KY, Yoo EY, Jung MY, et al(2011). Validation of the Sensory profile for Korean children with pervasive developmental disorder. Korean J Occup Ther, 19(3), 1-12. 

  18. Park JY, Park JK, Kim YM(2012). Study to sensory integration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Korean J Phys Multi Health Disabil, 55(4), 105-124. https://doi.org/10.20971/cpmd.2012.55.4.105. 

  19. Pfeiffer B, Coster W, Snethen G, et al(2017). Caregivers' perspectives on the sensory environment and participation in daily activitie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m J Occup Ther, 71(4), 1-9. https://doi.org/10.5014/ajot.2017.021360. 

  20. Rogers SJ, Hepburn S, Wehner E(2003). Parent reports of sensory symptoms in toddlers with autism and those with other developmental disorders. J Autism Dev Disord, 33(6), 631-642. https://doi.org/10.1023/B:ADD.0000006000.38991.a7. 

  21. Schaaf RC, Dumont RL, Arbesman M, et al(2018). Efficacy of occupational therapy using Ayres sensory integration: a systematic review. Am J Occup Ther, 72(1), 1-10. https://doi.org/10.5014/ajot.2018.028431. 

  22. Tomchek SD, Dunn W(2007). Sensory processing in children with and without autism: a comparative study using the short sensory profile. Am J Occup Ther, 61(2), 190-200. https://doi.org/10.5014/ajot.61.2.190. 

  23. Van der Wal MF, Benninga MA, Hirasing RA(2005). The prevalence of encopresis in a multicultural population. J Pediatr Gastroenterol Nutr, 40(3), 345-348. https://doi.org/10.1097/01.MPG.0000149964.77418.27. 

  24. Watling RL, Deitz J, White O(2001). Comparison of sensory profile scores of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autism spectrum disorders. Am J Occup Ther, 55(4), 416-423. https://doi.org/10.5014/ajot.55.4.416. 

  25. Yip J, Powers B, Kuo F(2013). Recent advances in autism spectrum disorders-volume II. London, IntechOpen, pp.105-127.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