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he Longitudinal Study on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Adolescent's Self_Esteem Chang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원문보기

韓國컴퓨터情報學會論文誌 = Journal of the Korea Society of Computer and Information, v.25 no.9, 2020년, pp.159 - 166  

Choi, Chiwon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  Kim, Hyung-Hee (Dept. of Social Welfare, Graduate school of Chosun University) ,  Park, Hwieseo (Dept. of Public Administration & Social Welfare, Chosun University)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및 삶의 내적목표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잠재성장모형을 이용하여 종단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연구목적을 두었다. 이 연구를 위해 연구자료는 한국청소년패널조사의 초4 패널 4차년에서 7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청소년 자아존중감 변화모형은 실증자료에 더 적합한 선형모델을 최종모델로 선정하였으며 초기치와 변화율 및 각각의 분산은 유의하게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의존적 변수는 교사관계 4차년도를 제외하고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청소년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시간독립적인 변수들은 모두 초기치 와 변화율 및 각각의 변량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결과를 토대로, 청소년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uggest some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for improving adolescent's self-esteem through analyzing longitudinally the effects of parental attitude, peer relationship, 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hool learning activity, life-goal on adolescent's self-esteem...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 연구는 아동·청소년 패널자료를 활용하여 중1에서 고1까지 시간의 흐름에 따른 청소년 자아존중감 변화양상과 영향요인들과의 구조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횡단연구가 갖는 한계를 보완했다는 점에서 가치가 있다.
  •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추세를 종단분석을 통해 부모의 양육태도, 또래관계, 교사관계, 학습활동, 삶의 내적목표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사이의 구조적인 관계를 분석해 봄으로써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증진방안에 관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설 설정

  • 둘째, 개인 내 변화 및 그 변화에 유의한 개인차가 존재하는지 분석한 후 종속변수의 초기치와 변화율에 시간 의존적변수와 시간 독립적변수로 구분하여 독립변수들을 투입해 자아존중감의 변화 추세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시간 의존적 변수가 그 해의 자아존중감의 변화에 유의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가정했다.
  • 청소년기의 자아존중감의 변화추세와 관련하여 개인적 특성, 부모나 또래 및 교사와의 상호작용, 성숙, 현실 생활 속에서의 자율성의 증가, 사회적 기술의 향상, 인지능력의 증가 및 성공 또는 실패의 경험 등은 청소년마다 개인 차이를 보일 수 있다[5]. 이러한 청소년의 삶에서의 경험적 차이에 따라 자아존중감의 변화 추세는 다를 수 있으므로, 청소년기의 자아존중감의 초기치와 변화율이 각기 다를 것으로 가정하였다.
  • 자아존중감의 상승모형에서는 대다수 청소년들이 부모들을 거부하지 않으며, 오히려 자율성의 증가, 사회적 기술의 향상 및 성숙을 경험하기에 더 높은 자아존중감에 이르게 된다고 가정한다[8]. 자존중감의 하강모형에서는 청소년들이 부모에게 순응하지 않고 급격한 정체성의 변화로 인한 고통, 인지능력의 증가, 초등학교에서 중·고등학교로 전환과 관계된 사회 맥락적 변화들로 인해 자아존중감이 낮아질 것으로 가정하였다[8].
  • 자존중감의 하강모형에서는 청소년들이 부모에게 순응하지 않고 급격한 정체성의 변화로 인한 고통, 인지능력의 증가, 초등학교에서 중·고등학교로 전환과 관계된 사회 맥락적 변화들로 인해 자아존중감이 낮아질 것으로 가정하였다[8].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청소년기는 어떠한 시기인가? 성장 또는 성숙의 과도기적 의미를 내포하는 청소년기는 사회구성원으로 정체성을 확립하여 독립된 성인으로 성장하기 위한 중요한 단계이다. 이러한 청소년기는 신체적, 사회적으로 급격한 변화를 경험할 뿐 아니라 행복한 삶과 건강한 성장을 위해 필수적으로 성취해야 할 과업과 관련한 다양한 발달적 형태 및 자아존중감이 형성되는 시기이다.
청소년기의 자아존중감이 중요한 이유는? 특히 청소년기의 자아존중감은 타인과의 관계 및 주위 환경의 적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다양한 발달과 적응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위험요인으로부터 보호하는 핵심적인 변인으로, 청소년의 사회적 행동 선택에 미칠 수 있는 영향력이 크다는 점에서 중요하다[1].
청소년기의 자아존중감은 무엇에 의해 형성되는가? 청소년 연구에서 자아존중감은 부모나 또래, 교사 등 중요한 주변 사람들의 관계에 기초한 상호작용과 현실생활 속에서의 다양한 경험 및 개인적 특성에 의해 형성되며 사회적 행동의 원인인 동시에 사회적 행동으로부터 유의한 영향을 받는 발달 산물로 보고되고 있다[2]. 그러나 자아존중감이 청소년 발달과정의 모든 측면에 지속적인 영향을 주고받는 중요한 영향요인임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연구에서는 발달과 적응의 원인요인으로 고려되고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0)

  1. Cairns, E., McWhirter, L., Duffy, U., & Barry, R. The stability of self-concept in late adolescence: Gender and situational effect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11(9), 937-944. 1990. 

  2. Mead, George Herbert. Mind, self and society. Vol. 111. University of Chicago Press.: Chicago, 1934.B. 

  3. Brenden, N. The power of self-esteem. Deerfield Beach Florida, Health communication. In G. W. Brwon, A. Bifulco, & Andrew. Self-esteem and Depression: III. Aetiological Issues, Social Psychiatry and Psychiatric Epidemialogy. (1992), Vol.25, pp.235-243. 1990. 

  4. Rosenberg, M.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5. 

  5. Park Hee-seo. An end-to-end study of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arenting attitude and adolescent self-esteem - Application of potential growth model. Korean Computer Information Science Epistle, 24(5) and 157-161. 2019. 

  6. Jung Ik Joong. Developmental Trajectories and Predictors of Self-esteem in Adolescence. Korean Youth Study, 18 (3), 127-166. 2007. 

  7. Twenge, J. M., & Campbell, W. K. Age and birth cohort differences in self-esteem: A cross-temporal meta-analysis.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review, 5(4), 321-344. 2001. 

  8. Trzesniewski, K. H., Donnellan, M. B., & Robins, R. W. Stability of self-esteem across the life spa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4(1), 205. 2003. 

  9. Picou, J. S., & Carter, T. M. Significantother influence and aspirations. Sociology of Education, 49, 12-22. 1976. 

  10. Dubois, D. L., Bull, C. A., Sherman, M. D., & Roberts, M. Self-esteem and adjustment in early adolescence: A social-contextual perspective.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27(5), 557-583. 1998. 

  11. Lekes, N., Gingaras, I., Philppe, F. L., Koestner, R., & Fang, J. Parental autonomy-support, intrinsic life goals, and well-being among adolescents in China and North America. Journal of Youth and Adolescence, 39(8), 858-869. 2010. 

  12. Bang Dami.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and Self-respect and School Life Adaptation. A Master's Degree thesis at Chonbuk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2005. 

  13. Cho Hyun-chul. Analysis of the self-concept structur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focusing on multi-faceted, hierarchical models. Journal of the Children's Association, 21(2), 99-118. 2000. 

  14. Baker, R. W., & Siryk, B. Measuring adjustment to colleg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31(2), 179. 1984. 

  15. Ahn Do-hee & Kim Yu-ri. The relationship betweenself-directed learning, relationships,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teenagers. pedagogical studies, 52(1), 1-25. 2014. 

  16. Boumeister, R. R., & Vohs, K. D. The pursuit of meaningfulnessin life. In C. R. Snyder, & S. J. Lopez(Eds.), Handbook of positive psychology.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17. Colby, A., & Damon, W. Some do care: Contemporary lives of moral commitment. New York: Free Press. 1992. 

  18. McAdams. The psychology of life stories. Review of General Psychology, 5(2), 100-122. 2002. 

  19. Mitchell, D. K., Adams, S. K., & Murdock, K. K. Associations Among Risk Factors, Individual Resources, and Indices of School ­Related Asthma Morbidity in Urban, School­Aged Children: A Pilot Study. Journal of school health, 75(10), 375-383. 2005. 

  20. Kim Ji-young & Lee Hyung-sil. The effect of family and peer factors on self-respect in adolesc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amily and Education, 22(1), 21-32. 2010.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