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서울형 데이케어센터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아탄력성을 조절변인으로
A Study on the Effect of Job-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Nursing Care Workers in cSeoul-type Day Care Center :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y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9, 2020년, pp.136 - 146  

김인준 (동국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과정 국제다문화학과 국제다문화학전공) ,  정용충 (한국열린사이버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서울형 데이케어센터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탄력성이 조절하는지 검증하고자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조절효과를 확인하였다. 서울시 데이케어센터 28곳의 종사자 256명을 대상으로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자아탄력성의 연구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요양보호사 138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분석SPSS 25.0 및 Hayes가 제시한 SPSS PROCESS Macro를 활용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요양보호사 직군이 타 직군보다 직무스트레스 높고 직무만족감이 상대적으로 낮았다. 둘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부적(-)영향을 확인하였다. 셋째, 자아탄력성이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 사이에서 정적(+) 조절효과를 확인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order to verify that the ego-resiliency regulates the effect of nursing care workers job stress on the job satisfaction, this research ascertained the effect of job stress of the nursing care workers working at Seoul-type Day Care Center and confirmed the moderating effect of ego-resiliency on th...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 앞서 기술한 연구목적에 따라 서울형 데이 케어센터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와 직무만족과의 관계에서 자아탄력성이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형 데이케어센터 28개소 직원 256명을 대상으로 직군에 따른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자아탄력성의 차이분석을 실시하고 요양보호사138 명을 케이스선택하여 서울형 데이케어센터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자아탄력성이 조절하는지 확인하였다. 그 결과 요양보호사가 타직군 보다 직무스트레스가 상대적으로 높고, 직무만족이 상대적으로 낮음을 확인했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형 데이케어센터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고 있는 영향을 검증하기 위한 목적으로 양적조사를 실시하였다. 자료수집은 2020년 7월 8일부터 7월 22일 15일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는 서울형 데이케어센터 28개 소에 공문을 통한 협조를 통하여 진행하였다.
  • 본 연구에서는 서울형 데이케어센터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성이 조절역할을 하는지 검증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에 관한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총 280개의 설문지를 배포하고, 272개의 설문지를 회수하였으며 불성실한 응답의 설문지를 제외한 총 256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형 데이케어센터의 직군별 직무스트레스, 자아탄력성, 직무만족의 차이를 검증하였으며, 그 중 요양보호사 집단 138케이스를 선택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에서 자아탄력 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분석을 하였다.
  • 선행연구를 통해 확인[16-22] 및 직무 스트레스 감소를 통한 직무만족 향상에 대한 구체적 조절변인인 자아탄력성을 통하여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영향이 있음을 알아보고자 한다.
  • 요양보호사의 자아탄력성은 다양한 직군과의 업무진행에서 발생되는 어려움을 이겨낼 수 있게 해주고, 이용자와 밀접한 관계에서 이용자의 직ㆍ간접적인 감정 등에 영향을 받음으로써 여러 가지 인내와 충동을 통제하는 것이 필요되어지기에 이러한 자아탄력성을 향상시켜 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검증하고자 한다.
  • 이와 같은 내용을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서울형 데이케어센터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에 영향을 확인하고, 자아탄력성을 조절변인으로 하여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서울형 데이케어센터란? 서울형 데이케어센터는 고령화 및 치매성 노인 질환자 증가로 가족 내 노인 요양보호를 필요로 하는 현재 상황에 맞추어 “9988 어르신 프로젝트” 시책사업을 통해 ‘치매 걱정 없는 서울’을 만들고 부양가족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서비스 제공 시설이다. 서울형 데이케어센터에서는 요양보호 서비스 질 향상 도모를 위해 서비스 전반에 관한 표준적 기준 충족시 이를 서울시가 공인해준다.
서울형 데이케어센터의 운영시간은? 노인 7명당 요양보호사 1명 기준으로 근무하며, 서울시 지침에 의거하여 야간에 3~4시간을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와 간호사(조무사)가 각 1명이 필수적으로 근무한다. 운영시간은 송영을 시작으로 주 5일, 08시부터 22시까지이고 주말과 공휴일은 시설에서 자율적으로 시행되도록 하고 있으나 이용자 가족의 욕구 및 필요에 따라 일부 센터는 주말과 공휴일 운영을 하고 있다.
서울형 데이케어센터가 운영시작된 시기는? 서울형 데이케어센터에서는 요양보호 서비스 질 향상 도모를 위해 서비스 전반에 관한 표준적 기준 충족시 이를 서울시가 공인해준다. 서울형 데이케어센터는 2009년 4월부터 시작되어 2020년 7월 기준 190개 시설이 운영되고 있다[1].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7)

  1. https://news.seoul.go.kr 

  2. M. S. Kang. (2016). The Impact of the Care Workers' Job Environment in Seoul Adult Daycare Centers on Service Quality -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Job Satisfaction-. Master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Gachon University, Gyeonggi-do. 

  3. H. I. Lee. (2015). Study on Actual Labor Practice of Care Workers at Daycare Center in Seoul -Focused on the Main Standards in the Labor Standard Law-. Master dissertation. The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The Graduate School of Public Administration Dongguk University, Seoul. 

  4. K. E. Kim. (2017). Verification of Mediator Model on Decision Process of Employee Turnover Intention in Seoul-type Day Care Center.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ce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5. J. D. Lim. (2011). The Relationship between Job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f Geriatric Care Helpers. The Korea Contents Society, 11(1), 225-235. DOI : 10.5392/JKCA.2011.11.1.225 

  6. C. J. Lee. (2011). The Impact of Work Stress and Job Satisfaction on Turnover Intention: A Study of Long-term Care Workers. Korean gerontology, 31(2), 277-290. 

  7. J. R. P. French, W. Rogers & S. Cobb. (1974). Adjustment as a person- environment fit, coping and adaptation. New York: Basic Book. 

  8. R. S. Schuler. (1980). Definition and conception of stress in organiz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and Human Performance, 25, 184-215. 

  9. D. Hughes & E. Galinsky. (1994). Work experience and material interactions: Elaborating the complexity of work.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15, 423-438. 

  10. K. H. Suh & I. Chol. (2010). Job Stressors, Hardiness, Ego-Resilience, and stress Responses among Geriatric Caregivers. Korean journal of health psychology, 15(2), 309-326. DOI : 10.17315/kjhp.2010.15.2.009 

  11. E. A. Locke. (1976). The nature and cause of job satisfaction. Handbook of Industri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1297-1349. 

  12. E. J. Smith. (2006). The Strength - Based - Counseling Model. The Counseling Psychologist, 34(1), 13-79. DOI : 10.1177/0011000005277018 

  13. J. Block & A. M. Kremen. (1996). IQ and Ego-resiliency: Conceptual andEmpirical Connection and Separateness.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Psychology, 70(2), 349-361. 

  14. C. S. Carver. (1998). Resilience and thriving: Issues, models, and linkages. Journal of Social Issues, 54, 245-266. 

  15. S. W. Kang, S. H. Kim & J. M. Bach. (2013). The Impact of the Long-term Care Worker Job Stress, Ego-resilience, Emotional Intelligence on Job Satisfaction. Korean Journal of Social, 21, 137-160. 

  16. H. J. Park. (2013). A Stdu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Caregivers at Health Care Hospitals. Master dissertation. Inje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Gimhae. 

  17. M. S. Park. (2009). Influence of job stress on job satisfaction of care managers : focused on care managers working at long-term care facility for elderly. Master dissertation, Department of Medical Care for the Aged Welfare Graduate School Daegu Haany University, Kyoungbu. 

  18. K. H. Moon. (2014). The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Stress Coping strategies on Burnout in Care Workers. Master dissertation. Major in Counseling Psycholog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sung University, Pusan. 

  19. I. A Yu. (2012). Effects of Elderly Care Facilities Care Helpers' Working Environment on Job Stress,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Kukje Theological University & Seminary, Seoul. 

  20. W. G. Kim. (2011). study of the factors affecting the job satisfaction of care workers in the long-term care system : based on the Gyeonggi province. Doctoral dissertation. Department of Public Administration, The Graduate School Konyang University, Chungnam. 

  21. C. Y. Kim. (2018). A study on the effect of spirituality, self-esteem, organizational commitment of care workers in Home Care Facility for the Elderly on the job satisfaction. Doctoral dissertation. Major in Social Welfare Yemyung Graduate University, Seoul. 

  22. J. Y. Lee. & M. W. Chi. (2012). Relation among Emotional Labors's Job Stress, Role Conflict, Ego-Resilience and Job Turnover. The Korea Contents Society, 12(6), 191-200. DOI : 10.5392/JKCA.2012.12.06.191 

  23. E. H. Clark. (1980). An analysis of occupational stress factols as perceived by public school teachers. Doctoral dissertation. Auburn University, Auburn, AL, 

  24. R. V, D'Arienzo, J. C. Moracco & R. J. Krajewski. (1982). Stress in teaching: A comparison of perceived occupational stress factors between special education and regular classroom teachers. Washington, DC: University Press of America. 

  25. S. Y. Cho, E. J. Baik, H. G. Kim, Y. H. Kwon. & J. N. Chung. (2011). Study for Validation of the Korean Childcare Teacher's Job Satisfaction Scale(K-CTJSS). Journal of Korean Home Management Association, 29(2), 110. 

  26. E. C. Klohnen. (1996.) Conceptual analysis and measurement of the construct of ego-resiliency.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170(5), 1067-1079. DOI : 10.1037/0022-3514.70.5.1067 

  27. H. J. Park. (1996). Perceptual Stress Response and Depression with Self-Elasticity. Master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Social Welfare, Seoul.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