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핵심역량 검사도구의 개발 및 타당화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a Measurement Scale for an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 Core Competencies 원문보기

공학교육연구 =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research, v.23 no.5, 2020년, pp.76 - 85  

김가현 (전주기전대학 유아교육과) ,  신태섭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  정제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학과) ,  박주형 (경인교육대학교 교육학과) ,  최지웅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정보통신융합전공) ,  이창훈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융복합대학 기초학부) ,  강효상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융복합대학 기초학부) ,  권민재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입학팀)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a measurement scale of core competencies for one Institute of Science & Technology's students in South Korea. Based on the school's core value and mission, items were developed through document analysis, faculty survey, and experts' review. Initi...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A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재학생의 핵심역량을 신뢰 있게 측정할 수 있는 핵심역량 검사 도구를 개발하고 타당성을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A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핵심역량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여 핵심역량의 개념, 하위역량을 구명하고 검사도구의 개발절차에 따라 A 과학기술특성화대학 핵심역량을 측정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여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 둘째, 연구결과의 일반화에 대한 한계를 가진다. 본 연구는 A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학생핵심역량도구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기 때문에 연구결과를 모든 대학생에게 일반화하기는 어렵다. 다만, 연구의 과정 중 대학생의 핵심역량 구인을 정하고 정의하는 과정이나 측정도구 개발과정에서 참조한 다양한 문항들이 일반적으로 대학생의 핵심역량 연구에서 추출된 것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일부 영역을 제외하고는 다른 대학의 핵심역량도구 개발과정에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A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핵심역량인 4C의 하위역량을 구명하기 위해 국내·외 대학생의 핵심역량 관련 선행연구에 대한 문헌고찰을 실시하였다.
  • 이에 대학 고유의 교육철학과 인재상에 기반을 두어 교육을 통해 기르고자 하는 핵심역량을 규정하고 이를 평가할 수 있는 검사 도구를 개발함으로써 교육의 내용과 방향에 있어서 정합성을 갖출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 재학생의 핵심역량구인을 타당하게 추출하고 이를 측정할 수 있는 검사를 개발하고 타당화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검사 도구는 과학기술특성화대학의 인재상에 맞춘 교육을 실시할 수 있고 재학생의 주기적인 역량평가를 실시하여 교육 목표 달성을 점검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국내 대학이 대학의 특성에 따라 핵심역량을 자체적으로 추출하여 대학 교육과정에 반영하는 예로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국가적 차원의 노력 이외에 국내 대학은 대학의 특성에 따라 핵심역량을 자체적으로 추출하여 이를 대학 교육과정에 반영하고 있다(임규연 외, 2015). 한양대학교는 대학 인재상을 규정하고 이에 따른 핵심역량을 3C(창의 Creativity, 소통 Communication, 통섭 Consilience)로 규명하였다. 한양대학교는 척도개발절차에 맞춰 핵심역량을 평가할 수 있는 측정도구를 개발 및 타당화 하여 역량 개발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 교육과정 등에 반영하여 성과 평가를 하고 있다.
Boyatzis는 역량을 어떻게 정의하였는가? 현대적인 역량의 개념은 McClelland(1973)가 직업에서 인재를 훈련시키는 방법으로 직무 특성에 기초한 ‘역량’을 활용하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임을 주장하며 시작되었다. 또한 Boyatzis(1982)는 ‘역량’이 특정 역할 수행에 효과적이며 성과와 연관된 개인 내적 특성이라고 정의하였다. 성과를 내는 사람의 개인 내적 특성으로 동기, 기술, 자기 이미지, 특질, 사회적 역할 등을 제시하였다.
국내 대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학생 핵심역량은 어떻게 구분할 수 있는가? 국내 대학에서 제시하고 있는 대학생 핵심역량은 크게 인지적 요소와 비인지적 요소로 구분할 수 있는데 인지적 요소로는 의사소통, 창의력, 문제해결, 사고능력, 전문지식, 정보의 처리 및 활용, 글로벌 역량 등이 포함되며, 비인지적 요소로는 대인 관계 및 협력, 자기관리 역량 등을 들 수 있다. 2014년 기준으로 ACE 사업에 선정된 24개 대학 가운데 약 20개 이상의 대학이 인지적 요소 가운데 창의력을 핵심역량으로 제시하였으며, 약 10개 이상의 대학이 의사소통역량과 문제해결능력, 사고능력을 핵심역량으로 제시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권재기.정미경(2014). 공과대학생의 핵심역량 검사도구 개발 및 타당화. 교육방법연구, 26(4), 687-716. 

  2. 김창환 외(2013). 한국의 교육지표. 지수 개발 연구(II): 학생역량기수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3. 김태훈.조한진.강문주(2020). 자기 보고식 공학설계 역량 검사도구 개발. 공학교육연구, 23(1), 37-46. 

  4. 소효정.이지향.이혜란(2017). 이화핵심역량진단평가 개발을 위한 정책과제 최종 보고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5. 엄미리(2009). 국내교수 설계자 역량개발을 위한 교육요구분석. 직업능력개발연구, 12(1), 1-23. 

  6. 윤필현(2008). 역량기반의 인적자원관리 체제 개발: 종합유선케이블 TV 기업을 대상으로.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40(1), 167-194. 

  7. 이경희 외(2010). 공학교육정책: 공과대학 신입생의 핵심역량 인식수준을 통한 공학교육방향 연구. 공학교육연구, 13(6), 57-71. 

  8. 임규연 외(2015). 특성화 트랙 설계 구조화 정책 연구.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9. 정제영 외(2017). 이화핵심역량진단평가 개발을 위한 정책과제. 서울: 이화여자대학교. 

  10. 정제영 외(2013).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따른 교원정책의 시사점 탐색 연구.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1. 진미석(2013). 수도권 및 지방대학생 핵심역량의 격차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사회학연구, 23(1), 105-127. 

  12. 진미석(2016). 핵심역량은 교육의 오래된 질문에 대한 새로운 해답이 될 수 있는가?. 핵심역량교육연구, 1(1), 1-24. 

  13. 진미석.손유미.주휘정(2011). 대학생 핵심역량 진단체제 구축방안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29(4), 461-486. 

  14. Boyatizis, R. E.(1982). The competent manager: A model for effective performance. New York: Wiley. 

  15. Hair, Joseph F. et al.(1995). Multivariate data analysis with readings. New Jersey. 

  16. Kline, R. B.(2004). Principles and practice of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New York: The Guilford Press. 

  17. McClellend, D. C.(1973). Testing for competence rather than for intelligence. American Psychologist, 28, 1-14. 

  18. Mirabile, R.(1997). Everything you wanted to know about competency modeling. Training and Development, 51(8), 73-77. 

  19. Raelin, J. A. & Cooledge, A.S.(1995). From generic to organic competencies, Human Resource Planning, 18(3). 

  20. Rychen, D. S. & Salganik, L. H.(eds.)(2003). Key competencies for a successful life and a well-functioning society. OECD. 

  21. Spencer, L. M. & Spencer, S. M.(1993). Competence at Work. New York: Wiley.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