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외국인 유학생 대상 한국어 말하기를 위한 플립러닝 수업 개발 및 적용 효과: 말하기 관련 정서적 요인에 대한 효과를 중심으로
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on Korean Language Speaking Skills focused on Foreign College Stude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0, 2020년, pp.51 - 58  

심현애 (선문대학교 교양학부) ,  김경연 (고려대학교 교양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들을 대상으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플립러닝으로 설계하여 적용하고, 말하기 관련 정서적 요인에 미치는 영향과, 한국어 말하기 효능감을 높이기 위해 필요한 경험이 무엇인지에 대한 그들의 인식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신입생 대상 '창의적 말하기' 과목을 플립러닝으로 재설계하여 한 학기 동안 운영하였다. 말하기 관련 정서 요인에 대한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26명의 외국인 유학생들을 대상으로 말하기 효능감, 말하기에 대한 부정적 인식과 신체 증상, 그리고 청중 의식에 대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하고 그 차이에 대한 대응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또한 '말하기에 대한 자신감 향상을 위해 필요한 경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내용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플립러닝 후 학생들의 말하기 효능감은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이는 플립러닝이 외국인 학부생의 한국어 말하기에 대한 긍정적 정서를 높이는 데에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유학생들은 한국어로 말하기 연습을 하고, 한국인 동료와 같이 학습함으로써 한국어 말하기 자신감을 높일 수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이런 결과를 바탕으로 몇 가지 논의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redesigned the Korean speaking classes to foreign undergraduate students as flipped learning classes and verified their effect on speaking-related emotional variables. In addition, international students' perceptions of what experiences are needed to improve speaking efficacy in Korean we...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외국인 학부생을 대상으로 플립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개발하고, 수업 운영 효과를 실증적 자료를 통해 검증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내용을 설정하였다.
  • 본 연구는 학부생 중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플립러닝을 적용한 한국어 말하기 수업을 개발하고, 한 학기 동안 수업에 참여한 학생들의 한국어 말하기와 관련된 정서적 요인에 대한 변화와 유의미성을 알아보았다. 연구결과 및 그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 한편 본 연구의 또다른 목적인 플립러닝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실험연구를 설계하였다. 학기 초 2주차에 말하기 관련 변인에 대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플립러닝을 적용한 수업을 운영한 후 학기말 14주차에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사전학습 확인이다. 모듈 6(M6)까지는 어휘에 대한 10개 이상의 선다형 문항으로 시험지를 구성하여 개별과 팀 단위로 퀴즈를 실시하였다(O1).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외국인 유학생의 초기 대학생활 적응 및 학업 활동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요소는? 의사소통의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영역 중 외국인 유학생의 초기 대학생활 적응 및 학업 활동에서 우선적으로 필요한 요소는 말하기라고 할 수 있다. 말하기 수행에는 인지적 요인인 해당 언어에 대한 지식 뿐만 아니라 효능감, 불안, 감정과 같은 정서적인 요인도 영향을 미친다.
초기 플립러닝에 대한 연구는 무엇을 강조했나? 초기 플립러닝에 대한 연구는 온라인 사전학습 콘텐츠를 설계하는 것을 강조한 반면, 최근에는 온라인 사전학습 콘텐츠를 수강한 후 오프라인 수업에서 학생 중심 팀 활동을 효과적으로 운영하도록 전체 수업을 재설계하는 것을 강조한다. 이를 위하여 플립러닝 수업은 주요 3단계(Pre-In-Post Class)로 구분하여 설계하는데, 최정빈[13]은 그 안에서 세부적으로 설계해야 할 7가지 수업운영 요소를 도출하여 PARTNER 모형으로 제시하였다(Fig.
플립러닝 In-Class 활동은 어떻게 구성되나? 첫째, 사전학습 확인이다. 모듈 6(M6)까지는 어휘에 대한 10개 이상의 선다형 문항으로 시험지를 구성하여 개별과 팀 단위로 퀴즈를 실시하였다(O1). 모듈 7(M7)부터는 단계별로 최종 주제 발표 원고와 자료를 작성하여 제출하는 부담이 있기 때문에 사전학습은 온라인 출석으로 확인하고 수업시간 초기에 제출한 자료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O2). 둘째, 교수자 피드백은 사전 학습(퀴즈 혹은 제출한 결과물)에 대한 피드백, 해당 모듈(장)별 활동을 위해 필요한 핵심내용에 대해 교수자가 요약수업 등으로 진행한 다음, 다음에 진행할 학습자 활동의 진행방법과 주의사항을 안내하였다. 셋째, 수업 중 활동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로 학생 중심 활동이 진행된다. 학생 중심 활동은 학습한 내용을 응용하여 문제해결과 같은 과제를 수행하는 것으로, 개별 활동과 팀 활동을 연동하여 진행된다. 학습자(팀) 중심의 연습을 수행함으로써 결과물을 생성하게 된다. 말하기 수업임을 고려하여, 학습자 연습의 결과물은 장르와 주제별 말하기 장면을 최대한 간편하게 촬영하고 LMS에 촬영한 동영상을 업로드하게 하며, 동료 학생들과 공유하고 피드백을 제공하게 된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9)

  1. Ministry of Education & Korean Educa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17). 2017 Educational Statistics : Key Indicators. Retrieved July 10 from https://kess.kedi.re.kr/publ/view?survSeq2017&publSeq59&menuSeq0&itemCode02&language 

  2. Ministry of Education & Korean Educa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2019). 2019 Educational Statistics : Key Indicators. Retrieved July 10 from https://kess.kedi.re.kr/publ/view?survSeq2019&publSeq59&menuSeq0&itemCode02&language. 

  3. I. S. Kim & K. M. Choi. (2017). A Fusion Program of Tea Ceremony and Applications to Reduce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2), 445-450, DOI : 10.15207/JKCS.2017.8.12.445 

  4. S. H. Park. (2019). A Convergence Study on the Cultural Adaptation Stress and Self-Efficacy on Career Preparation Behavior of Foreign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5), 351-357. 

  5. K. O. Jang. (2018). Convergence Research on Academic Adjustment of Foreign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11), 169-177. 

  6. Y. R. Cho, M. K. Lee, & S. H. Park. (1999). A Study on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Speech Anxiety Scale. The Kore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8(2), 165-178. 

  7. Y. J. Seo. (2019). A study on the speaking self-efficacy constructs of highschool students. Korean Language Education, 135, 185-213. 

  8. K. Y. Han. (2016). A Study of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Scale on Speech Anxiety. Master's Thesis,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9. K. Y. Han & S. K. Choi. (2019). A study on validation of inspection tool for high school students' speaking anxiety using Rasch rating model. Journal of Choe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60, 43-73. 

  10. Y. H. Kim. (2017). A study on correlation among learning anxiety, learning strategy, and evaluation results in Korean speaking section. HAN-GEUL, 318, 221-242. 

  11. H. J. Park. (2018). Writing anxiety in L1 and L2 of Korean for academic purpose learners and its correlation with their academic performance : With a focus on intermediate level learners. Journal of The Society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83(0), 142-176. 

  12. S. K. Oh & J. H. Kim. (2019). Analysis of correlation between learning anxiety and achievement test of Korean learners.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30(3), 83-103. 

  13. J. B. Choi. (2016).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guide for problem-solving subjects : Focus on TIPS-FL (Flipped Learning) subject. Innovation Institution, Sunmoon University. 

  14. J. W. Park. (2014). A Study of Flipped Classroom Model for Large-scale Korean Language Teaching Method. Bilingual Research, 57, 75-102. 

  15. K. H. Kim. (2015). Korean Lexical Learning Possibility based on Flipped Learning : Focused on "Collocation". Grammar Education, 24, 29-56 

  16. K. H. Kim. (2016). Grammar Educational Application of Flipped Learning : Focused on Model Development. Grammar Education, 26, 157-186. 

  17. Y. S. Hong. (2015). Korean Culture Education Applying "Flipped Learning". Humanities Research, 20, 85-110. 

  18. X. Tong. (2017). A Study on the Applicability of Flipped Learning in Oral Korean Teaching in China : Based on the Current Oral Korean Teaching in China's Higher Institutions. Ratio et Oratio, 10(1), 165-193. 

  19. Y. J. Seo & E. J. Jeon. (2010). A study on speech anxiety of high school students : Focus on correlation between oral communication component and speech anxiety. Journal of CheongRam Korean Language Education, 42, 209-242. 

  20. Y. I. Cho.i (2013). Aspects on Audience Consideration of High School Student Speakers' persuasive speaking: centered on male high school students' data. Journal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search, 47, 387-421. 

  21. D. Y. Bai. (2015). A case study of the Flipped Learning classes at the university. Urimal, 41, 179-202. 

  22. S. H. Lee. (2015). Teaching of Korean Grammar Using Flipped Learning -Focus on the Korean grammar class as a liberal arts subject. The language and Culture, 11(2), 221-262. 

  23. K. Lee & Y. Yun. (2017). A study on flipped-learning-based grammar teaching method to improve Korean speaking ability.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3(4), 333-361. 

  24. S. S. Kim. (2017). A Study on Using Flipped Learning in Korean Language Classroom.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3(1), 529-550. 

  25. G. A. Le.e (2017). A Study on a Writing Instruction Model Using Flipped Learning for Foreign Students. Journal of Dong-ak Language and Literature 72, 61-95. 

  26. Y. H. Woo. (2017). A study on flipped learning-based Korean elementary grammar teaching model development and its effect : Centered on Korean leaners in university of China mainland. Teaching Korean as a Foreign Language, 46, 53-83. 

  27. P. L. Smith & N. A. Fouad. (1999). Subject-matter specificity of self-efficacy, outcome expectancies, interests, and goals: Implications for the social-cognitive model.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46(4), 461-471. 

  28. A. Bandura. (1986). Social foundation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on theory. Englewood Cliffs, NJ; Prentice-Hall. 

  29. K. H. Lim. & W. Lim. (2014). Educational Psychology for School Learning Effect. Seoul : Hakjisa.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