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태도에 미치는 영향
Influence of Perception of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Patient Safety attitude of Nursing student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0, 2020년, pp.307 - 314  

이외선 (경남도립거창대학 간호학과) ,  이경숙 (울산대학교 간호학과) ,  구혜자 (경성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시도되었다. 간호학과 3·4학년에 재학 중인 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2019년 5월 17일부터 6월 14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위계적 회귀분석으로 SPSS WIN 23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은 3.75점(5점 척도), 자존감은 3.64점(4점 척도), 의사소통능력은 3.60점(5점 척도), 환자안전태도는 4.44점(5점 척도)으로 나타났다. 환자안전태도는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r=.57. p <.001), 자존감(r=.32. p <.001), 의사소통능력(r=.34. p <.001)과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의사소통 중요도 인식(β=.520, p<.001)과 자존감(β=.165, p=.039)이 환자안전태도를 34.9%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태도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과 자존감을 향상 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purpose of the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perception of importance of communication, self-esteem and communication skill on patient safety attitude of nursing students. Subjects were 164 associate nursing students associate nursing students(3·4rd). The data were collected u...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태도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시도되었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태도에 미치는 영향를 규명하기 위함이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과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간호학과 3학년과 4학년을 대상으로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 의사소통 능력 및 환자안전태도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 환자안전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시도되었다.
  • 선행연구에서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태도가 높을수록 환자안전수행자신감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11].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태도 영향요인을 파악하여 환자안전태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시도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환자안전역량은 무엇인가? 환자안전역량은 보건의료에서 의료오류를 예방하고 환자에게 안전한 의료를 제공하기 위해서 보건의료인이 갖추어야 할 지식, 기술, 태도를 말한다[5]. 간호사는 의료인력의 많은 부분을 차지하며 환자에게 직접적인 간호를 수행하므로 간호사의 환자안전역량은 의료오류를 줄이고 환자간호의 질을 향상시키는 데 필수적인 역량이다[5].
간호대학생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본 실험의 구체적인 목적은 무엇인가? 1) 대상자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 의사소통능력 및 환자안전태도 정도를 파악한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 의사소통능력 및 환자안전태도의 차이를 파악한다. 3) 대상자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 의사소통능력 및 환자안전태도 간의 관계를 파악한다. 4) 대상자의 의사소통 중요성 인식, 자존감 및 의사소통능력이 환자안전태도에 미치는 영향를 파악한다.
환자안전역량은 무엇으로 구성되어 있는가? 그러므로 간호교육기관에서는 미래의 간호핵심인력인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 환자안전역량은 환자안전 지식, 기술, 태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태도는 행동을 결정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심리적 요인이고, 태도와 실행은 강한 연관성이 있어[6] 간호대학생의 환자안전태도는 환자안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생각된다[7]. 환자안전태도는 환자안전역량의 중요한 구성 요소이며, 단기간에 걸쳐 형성되는 것이 아니므로 간호대학생때부터 확립되어야 한다[7].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S. M. Cho(2018). Effects of the Root Cause Analysis education program in improving patient safety competencies of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2. J. H. Lee. (2011). Patient safety and healthcare standard. Journal of the Korean Medical Association, 54(5), 444-446. DOI : 10.5124/jkma.2011.54.5.444 

  3. J. Sorra, V. Nieva, Hospital Survey on Patient Safety Culture. AHRQ Publication, 2004. 

  4. J. E. Park. (2019). A Convergence Study on the Patient Safety of Nursing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Clinical Practice.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12), 88-97. DOI :https://doi.org/10.22156/CS4SMB.2019.9.12.088 

  5. J. H, Park & M. H. Park. (2014). Knowledge, attitude, and confidence on patient safety of undergraduate nursing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n academic society of nursing education, 20(1), 5-14. DOI: https://doi.org/10.5977/jkasne.2014.20.1.5 

  6. Y. I. Cho. & J. E. Lee. (2002). A Conceptional Analysis of Safety. Dongnam Health College Journal, 20(2), 45-53. 

  7. Y. H. Hyeon. (2014). The relationship among self-efficacy, attitude of patient safety, and safety care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master's thesis, Keimyung Unversity, Daegu. 

  8. K. J. Kim, J. S. Han, M. S. Seo, B. H. Jang, M. M. Park, H. M. Ham & M. S. Yoo.(2012). Relationship between intra-organizational communication satisfaction and safety attitude of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18(2), 213-221.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2.213 

  9. Y. J. Oh. (2002).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he Communication Empowerment Program for Nursing Students : based on the Theory of Transfer of Learning.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Seoul. 

  10. Rosenberg M.(1965). Society and the adolescent self-image. Princeton, NJ:Princeton University Press. 

  11. S. H. Son. & J. S. Park. (2017), Study on nursing students' knowledge, attitude, confidence in performance and behavior of patient safety.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Fisheries and Marine Sciences Education. 29(4), 1043-1053. DOI: http://dx.doi.org/10.13000/JFMSE.2017.29.4.1043 

  12. Rees, C., Sheard, C., & Davies, S. (2002). The development of a scale to measure medical students' attitudes towards communication skills learning: the Communication Skills Attitude Scale (CSAS). Medical education, 36(2), 141-147. 

  13. B. J. Jeon. (1974). A study on the possibility of measuring self-concept. Yonsei Nongun, 11(1), 107-130. 

  14. R. B. Rubin.(1990). Communication competence. In:Phillips GM, Wood JT, editors. Speech communication:Essays to commemorate the 75th anniversary of theSpeech Communication Association. Carbondale, IL: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94-129. 

  15. G. H. Hur. (2003).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global interpersonal communication competence scale.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47(6), 380-408. 

  16. Schnall, R., Stone, P., Currie, L., Desjardins, K., John, R. M., & Bakken, S. (2008). Development of a selfreport instrument to measure patient safety attitudes, skills, and knowledge. Journal of Nursing Scholarship, 40(4), 391-394. 

  17. N. J. Lee, & H. Jang. (2012). Development of Questionnaires to Measure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Patient Safety Competencies. In Nursing Informatics, 1. 

  18. N. J. Lee., J. Y. An., T. M. Song., H. Jang & S. Y. Park. (2014). Psychometric evaluation of a patient safety competency self-evaluation tool for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53(10), 550-562. 

  19. K. C. Lim., M. S. Park & G. Y. Shin.(2017). Influences of Sense of Ethics and Attitude toward Patient Safety in the Confidence in Patient Safe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muscle and joint health, 24(2), 140-149. DOI :https://doi.org/10.5953/JMJH.2017.24.2.140 

  20. M. J. Kim & J. K. Kim (2017).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perception about patient safety culture, patient safety competence, and safety nursing activities of emergency room nurse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0), 268-279. DOI :https://doi.org/10.5392/JKCA.2017.17.10.268 

  21. E. A. Choi & Y. E. Kwon. (2019). The Effects of Patient Safety Culture Perception and Patient Safety Competencies on Patient Safety Management Activities in Nurs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7(12), 281-288. DOI :https://doi.org/10.14400/JDC.2019.17.12.281 

  22. Y. S. Yang. (2015). Perceived safety reporting system and level of knowledge, attitude, compliance about patient's safety of the nurses in small and medium sizes hospital. Unpublished master's thesis, Inje University, Gimhae. 

  23. J. L. Kim. (2009). Perception of doctor and nurse on inter-professional collaboration in hospital wards. Unpublished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4. O. S. Lee. (2018). The Effects of SBAR reports education on communication clarity, communication skill and report confident for nursing students-adult nursing clinical practicu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 (10), 253-260. DOI:https://doi.org/10.14400/JDC.2018.16.10.253 

  25. M. Y. Kim & K. S. Kim. (2018). The Effect of SBAR Communication on Nurse's Perception about Communication and Attitudes toward Patient Safety.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24(1), 23-33. DOI:https://doi.org/10.22650/JKCNR.2018.24.1.23 

  26. H. N. Jang. (2018). Development and Evaluation of a Communication Program for Patient Safety for Nursing Students.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