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학생 어머니의 가공식품 표시기준 인식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융복합 효과
A Convergence Effect on the Purchasing Behavior of Elementary School Mothers' Recognition of Processed Food Labeling Standard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0, 2020년, pp.527 - 535  

강경심 (공주대학교 외식상품학과) ,  이세정 (공주대학교 외식상품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연구 목적은 충청권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가공식품 표시기준 인식이 구매행동에 미치는 융복합 효과를 살펴보기 위한 것으로, 가공식품 구매행동에 따른 집단 구분을 위해 2단계 군집분석을 하였고, Schwarz's BIC 기준에 의해 군집수를 결정하였다. 그룹 간 구매행태 특징 분석 결과 '편의추구형'과 '대형마트선호형', '고비용반복 구매형'의 3개 모형이 결정되었다. 그룹별 학력 및 직업은 '대형마트선호형'의 대졸 이상 비율이 유의적으로 높았고, '고비용반복구매형'의 취업모 비율이 높았으며, 식품표시기준 필요성은 '대형마트선호형'이 다른 그룹보다 높았다. 모든 그룹에서 식품표시기준 항목 중 '유통기한'을 가장 중요한 것으로 인식하였고, 구매 시 고려사항은 '사용원료'와 '식품첨가물', '영양성분표시'에서 '대형마트선호형'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가공식품 구매행동 개선을 위해서는 무엇보다 실생활에 쉽게 적용할 수 있는 대상자 맞춤형 교육매체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research is to examine mothers with elementary school children in Chungcheong and the convergence effect of recognition of food labeling standards on purchasing behavior. A two-step cluster analysis was performed for group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purchase behavior of processed...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충청권 초등학생을 자녀로 둔 어머니의 식품표시기준에 대한 인식 수준과 가공식품 구매 행동 간의 융복합 효과를 살펴보고자하는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 본 연구에서는 충청권 지역의 초등학생 자녀를 둔 어머니를 대상으로 식품표시기준에 대한 인식 수준과 가공식품 구매 행동을 조사・분석하여, 식품표시기준에 대한 초등학생 어머니의 인식 수준과 가공식품 구매 행동 간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초등학생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한 어머니의 가공식품 구매행동 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아동이 바람직한 성장 패턴을 유지하기 위해 강조되는 것은 무엇인가? 아동이 바람직한 성장 패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강조되는 것이 식생활이며, 한번 형성된 식습관은 지속적이고 변화시키기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식생활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으로, 가정에서 주로 식생활을 책임지고 있는 어머니의 식품에 대한 정보 및 구매는 식단 구성에 영향을 주고 자녀의 식생활로 그대로 이어지기 때문에 어머니의 합리적인 식품선택이 매우 필요하다[1].
어머니의 합리적인 식품선택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아동이 바람직한 성장 패턴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강조되는 것이 식생활이며, 한번 형성된 식습관은 지속적이고 변화시키기가 어려운 특성이 있어 식생활에 대한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실정으로, 가정에서 주로 식생활을 책임지고 있는 어머니의 식품에 대한 정보 및 구매는 식단 구성에 영향을 주고 자녀의 식생활로 그대로 이어지기 때문에 어머니의 합리적인 식품선택이 매우 필요하다[1].
건전한 식품 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는 제도적 장치는 무엇인가? 식품표시기준은 식품의 안전성을 확보하는 제도적 장치로서, 소비자에게는 관련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안전하고 질적으로 우수한 식품을 합리적으로 선택하게 하는 소비자 보호 수단이 된다. 또한 영양소를 포함하여 건강에 직접,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므로 효과적인 영양교육의 도구가 되며, 건전한 식품 생산을 유도하기 위한 수단이 될 수 있다[10].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8)

  1. K. S. Kang. (2017). A study on the application of dietary life education programs for activation of the rural convergence industry.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5(1), 461-469. DOI : 10.14400/JDC.2017.15.1.461 

  2. J. H. Seo & Y. K. Kyeong. (2016). Mothers' consuming behavior of processed foods influences their children's dietary life in kyungpook province. Journal of Korean Home Economics Education Association, 28(4), 111-122. DOI : 10.19031/jkheea.2016.12.28.4.111 

  3. K. A. Lee. (2019). Analysis of home and school environment factors affecting diet and eating habi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25(2), 71-94. DOI : 10.29113/skpaer.2019.25.2.004 

  4. K. S. Kyung. (2012). The Effects of mother's employment and nutritional knowledge on dietary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Master's dissertation. Kyunghee University, Seoul. 

  5. E. H. Kim. (2019). A study on effects of mother's purchase behavior, dietary behavior and feeding practice on infant's processed food intake and dietary behavior. Master's dissertation. Hanyang University, Seoul. 

  6. J. Y. Park & S. S. Lee. (2010). The effects of the dietary attitude of mothers on their children's health-related factors. Journal of Korean Practical Arts Education, 16(2),. 217-236. DOI : 10.17055/jpaer.2010.16.2.217 

  7. MFDS. (2019). Enforcement Rules of the Act on the Marking and Advertising of Food. MFDS. https://www.mfds.go.kr/ 

  8. Y. A. Lee. Determinants of consumers' awareness, satisfaction and trust of food labeling. Consumer Policy and Education Review, 15(4), 97-122. DOI : 10.15790/cope.2019.15.4.097 

  9. J. W. Lee & D. S. Kim. (2003). Recognition of processed foods may affect the use of food labeling in middle school students, Journal of Korean Dietetic Association, 9(3), 185-196. 

  10. A. W. Ha & K. W. Kim. (2019). The food and nutrient intakes from daily processed food in Korean adults: based on the 6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data (2013-2015).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52(5), 422-434. DOI : 10.4163/jnh.2019.52.5.422 

  11. K. O. Lee. (2019). The Awareness and utilization of nutrition labels among housewives in Gyeonggi-do. Master's dissertation. Gachon University, Gyeonggi. 

  12. E. A. Cho & S. K. Lee & G. J. Heo. (2010). Snack consumption behaviors and nutrition knowledge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iheung-si. Korean J Community Nutrition, 15(20), 169-179. 

  13. S. A. KIm. (2014). A study on the preference of processed foods and awareness on food nutrition labeling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ome areas of Jeju. Master's dissertation. Cheju National University, Cheju. 

  14. H. J. Kim. (2014). A study on relationship among nutrition knowledge, nutrition attitude, and processed-food purchasing behavior in mothers of having young children. Master's dissertation. Chungang University, Seoul. 

  15. G. H. Kim. (2013). A study on the perceptions and utilization of food and nutrition labeling by the parents of elementary students. Master's dissertation. Seoul Education National University, Seoul. 

  16. MOHW. (2018). Korea Health Statistics 201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I-3). Sejoung : MOHW. 

  17. D. B. Park & Y. S. Yoo & M. S. Lee. (2007). Determinans of consumer preference by type of accommodation: Two step cluster analysi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17(30). 1-19. 

  18. M. S. Park & B. I. Ann. (2014). Impacts of food consumption lifestyle on the expenditure for the processed food: Using cluster analysis and matching method. Journal of Rural Economy, 37(3). 25-58.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