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시각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관련 연구 동향 : 1993-2020년 국내·외 연구를 중심으로
Research Trends on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e Visually Impaired : Focused on Domestic and Foreign Research in 1993-2020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0 no.10, 2020년, pp.688 - 701  

배선영 (배재대학교 AI.전기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대상의 인공지능 관련 연구 동향을 살펴보기 위해 1993년부터 2020년 8월까지 국내·외 논문 총 68편을 선정하여 연도별 논문 게재 수, 연구방법, 연구주제, 키워드 분석 현황, 연구유형, 구현방법별 비교·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연구기간 내 논문 편수는 꾸준히 증가하는 것처럼 보였으나 국내 연구의 경우에는 2016년도 이후에 활발해진 것을 알 수 있었다. 연구방법으로는 국내·외 연구 모두 개발연구가 89.7%를 차지했고, 키워드는 국내 연구에서는 Visually impaired, Deep learning, Assistive device 순이였으며 국외 연구에서는 Visually impaired, Deep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순으로 단어 빈도순에서 차이를 보였다. 연구유형은 국내·외 모두 설계, 개발, 구현이 대부분을 차지했으며 구현방법으로는 국내 연구의 구현방법으로는 System 13.2%, Solution 7.4%, App. 4.4% 순이였으며 국외 연구의 구현방법으로는 System 32.4%, App.13.2%, Device 7.4%로 다소 차이를 보였다. 구현방법의 적용 기술로는 국내 연구는 YOLO 2.7%, TTS 2.1%, Tensorflow 2.1% 순이였으며 국외 연구에서는 CNN 8.0%, TTS 5.3%, MS-COCO 4.3% 순으로 사용횟수가 높았다. 본 연구는 시각장애인 대상의 인공지능 관련 연구 동향을 비교·분석하여 국내·외 연구의 현주소를 바로 알고 앞으로 시각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total of 68 domestic and international papers were selected from 1993 to August 2020 in order to examine the research trends related to artificial intelligence for the visually impaired. The paper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the number of papers published by year, research method...

주제어

표/그림 (1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본 연구에서는 [표 5]와 같이 시각장애인을 위한 국내·외 연구의 구현방법에 있어 인공지능 기술들은 어떤 것들이 사용되었는지도 알아보았다.
  • 본 연구에서 연도별 논문 게재 현황을 바탕으로 연구 추이를 살펴보았고 다음으로 논문 분석의 틀은 선행연구를 토대로 분석 영역을 연구방법, 연구주제, 연구유형별 구현방법으로 나누어 재구성하였다[25][26]. 또한 연구 논문들의 키워드를 살펴 시각장애인 대상의 논문들이 어떤 연구주제를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연구주제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분석 틀의 범주화를 위한 조작적 정의 과정에서 시각장애의 정의와 분류, 장애인 실태조사 등에 관한 선행연구를 참고하였다.
  • 본 연구는 인터넷의 발전과 머신러닝(Machine Learning)을 통해 새로운 전환기[8]를 맞은 1993년도부터 인공지능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여 관련 연구들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2020년 8월 현재까지 시각장애인 대상의 인공지능 관련 연구들을 살펴봄으로써 관련 연구들의 동향을 분석하고 연구 흐름을 파악하여 향후 국내 인공지능 관련 연구와 기술개발의 올바른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1993년부터 2020년 8월까지 국내·외에서 발간된 논문 중 등재지 후보 이상의 논문을 우선적으로 하여 컨퍼런스, 학위논문을 검색하여 비교하고 분석함으로써 시각장애인 대상의 인공지능 분야 관련 연구들의 현황을 살펴보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설계, 개발, 구현방법의 연구유형을 보다 세부적으로 살펴보고자 [표 4]와 같이 구현방법별 현황을 작성하였다. 국내·외 연구의 구현방법을 살펴보면 국내 연구의 구현방법은 System 13.
  • 본 연구에서는 시각장애인 대상의 국내·외 인공지능 관련 연구의 키워드를 살펴보고 키워드 간 위치와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그림 3][그림 4]와 같이 키워드 네트워크를 시각화하였다.
  • 본 장에서는 인공지능의 개념과 함께 머신러닝과 딥러닝의 관계를 알아본 후 연구 키워드 분석 결과 및 구현방법에서의 인공지능 기술 현황을 참고하여 인공지능 기술과 시각장애인을 위한 인공지능 관련 분야에 적용된 내용들을 간략히 살펴보고자 한다.
  • 첫째, 1993년부터 2020년 8월까지 발표된 논문을 대상으로 하였는데 이는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연구 중 인공지능 관련 연구의 연구 동향을 살펴보고 연구 주제나 방법, 유형 등을 분석하고자 함이다. 둘째, 국내·외 전문 학술지의 학술논문을 우선으로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인공지능이란 무엇인가? 인공지능의 개념은 인간의 학습 능력과 추론능력, 지각능력, 자연언어의 이해능력 등을 컴퓨터 프로그램으로 실현한 기술로 인간의 지능으로 할 수 있는 사고, 학습, 자기 계발 등을 컴퓨터가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컴퓨터 공학 및 정보기술의 한 분야로서, 컴퓨터가 인간의 지능적인 행동을 모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인공지능이라고 말하고 있다[9]. 현재 인공지능은 우리의 생활과 밀접한 부분에서 이용되고 있으며, 흔히 가정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IPTV와 연동된 인공지능 스피커, 개인 비서 역할을 하는 애플의 Sir, 아마존의 에코, 삼성의 빅스비 등의 서비스가 있다.
머신러닝이란 무엇인가? 머신러닝은 기계학습이라고도 하며, 인공지능 연구의 하나로 데이터를 기반을 둔 반복 학습을 통해 인간의 학습 능력과 같은 기능을 컴퓨터에서 실현하고자 하는 기술 및 기법을 말하며[9] 구현 모델로 의사결정나무, 앙상블학습, 신경망, 회귀분석, 군집분석 등 다양한 모델이 있다[10]. 딥 러닝은 머신러닝의 한 모델로써 인간의 뇌를 모델로 하여 여러 정보를 처리하는 알고리즘을 일컫는 인공신경망에 기반하여 만들어진 개념으로 다중 퍼셉트론을 통한 비산형 문제의 해결, 역전파 알고리즘을 통한 학습, 복잡한 문제 해결을 위한 신경망의 층수확대, 최적화 과정에서의 학습 효율성을 개선한 경사하강법의 고도화, 경사 감소 소멸, 문제에 대한 활성화 함수의 개선, 과적합을 막기 위한 규제화, 기법 개발 등 신경망 학습알고리즘의 발전이 이루어지고 있다[11][12].
CNN은 이미지 인식 분야에 최적화된 신경망으로 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인가? ‘딥 러닝’ 모델인 순환 신경망(Recurrent Neural Network, RNN) 모델과 함께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사람의 시각 인지 과정을 모방한 심층 신경망이다. 따라서 CNN은 이미지 인식 분야에 최적화된 신경망으로 볼 수 있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1)

  1. 보건복지부, 2017년 장애인 실태조사, 2017. 

  2. J. Y. Kim, J. H. Kim, and S. C. Kim, "The effects of blind users' smart phone use on social capital and psychological well-being," Korean Broadcasting Journal Vol.27, No.2, pp.157-185, 2013. 

  3. http://ablenews.co.kr/News/NewsContent.aspx?CategoryCode0006&NewsCode000620160219131807582601 

  4. C. W. Oh, J. M. Choi, M. R. Park, and J. S. Ahn, "A study on Pedestrian Navigation Aids Map for Blind People," National Geographic Society Journal Vol.46, No.2, pp.201-212, 2012. 

  5. K. Bae and S. Kwak, "A Study of Developing the Ubiquitous Library for the Improvement of Information Accessability of the Blind,"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Journal Vol.37, No.2, pp.273-290, 2006. 

  6. 이소라, 신현경, 안세아, 유견아, "인공지능에 기반한 저시력인을 위한 음성 지원 앱의 개발," 한국디지털콘텐츠학회 논문지, 제21권, 제2호, pp.277-284, 2020. 

  7. 정명석, 박성현, 채병훈, 이주연, "논문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분야 주요 연구 동향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제15권, 제5호, pp.225-233, 2017. 

  8. J. H. Na, "The Develop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the Future of Employment," FUTURE HORIZON, No.28, pp.14-17, 2016. 

  9. Hugo Sera, Rui Francisco, Artur Arsenio, Fernando Nabais, Joao Andrade, and Eduardo Serano, "Internet of Inteligent Things: Bringing Artificial Inteligence into Things and Communication Networks," Inter-coperative Colective Inteligence: Techniques and Aplications, Vol.495, pp.1-37, 2013. 

  10. A. Kamilaris and F. Prenafeta-Boldu, "Deep learning in agriculture: A survey," Computers and electronics in agriculture, pp.70-90, Vol.147, Apr. 2018. 

  11. 정지영, 김성현, "텍스트 마이닝과 딥 러닝을 활용한 고장진단: 고장원인부서 예측 알고리즘 개발," 전기학회논문지, 제69권, 제8호, pp.1225-1236, 2020. 

  12. 임창식, 최양원, "BRT 구간 딥 러닝을 활용한 버스우선 신호도입 방안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40권, 제1호, pp.59-67, 2020. 

  13. 양희태, 최병삼, 이제영, 장훈, 백서인, 김단비, 추형석, 오혜연, 정혜동, 신사임, 김선진, "인공지능 기술전망과 혁신정책 방향 - 국가 인공지능 R&D 정책 개선방안을 중심으로 -,"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정책연구, 2019. 

  14. Joseph Redmon and Ali Farhadi, "YOLOv3: An Incremental Improvement,"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arXiv:1804.02767, 2018. 

  15. Karen Simonyan, Andrew Zisserman, "Very Deep Convolutional Networks for Large-Scale Image Recognition," Computer Vision and Pattern Recognition, arXiv:1409.1556, 2014. 

  16. https://www.tensorflow.org 

  17. Mrs. R. Rajalakshmi, Ms. K. Vishnupriya, Ms. M. S. Sathyapriya, and Ms. G. R. Vishvaardhini, "Smart Naviga tion System for the Visually Impaired Using Tensor flow,"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 Research and Innovative Ideas in Education, Vol.4, Issue.2, 2018. 

  18. https://opencv.org 

  19. 양정연, 김학래, "아마존 알렉사," 정보과학회지, 제35권, 제8호, pp.36-41, 2017. 

  20. https://zdnet.co.kr/view/?no20190808082901&fromMobile 

  21.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09060802012069600002 

  22. Linda Wang, Anshuman Patnik, Edrick Wong, Justin Wong, Alexander Wong, "OLIV: An Artificial Intelligence-Powered Assistant for Object Localization for Impaired Vision," Journal of Computational Vision and Imaging Systems, Vol.4, No.1, 2018. 

  23. https://www.sktinsight.com/116630 

  24. https://dzone.com/articles/who-will-succeed-in-the-crowded-market-of-ai-for-v 

  25. 정동훈, "국내 보조공학 연구동향 분석:1998-2008 년 특수교육 및 재활 관련 학술지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제52권, 제1호, pp.97-124, 2009. 

  26. 손지영, 정소라, 김동일, "국내 장애학생 고등교육의 연구동향과 과제," 특수교육학연구, 제45권, pp.157-178, 2011. 

  27. 정승원, "고용관련 환경요인이 장애수용에 미치는 영향," 제3회 장애인고용패널 학술대회 논문집, pp.179-208, 2011. 

  28. 박혜영, 조미란, 윤은정, "시각장애인을 대상으로 한음악 연구의 동향 : 1998-2017년 국내 국제 학술지 논문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6호, pp.243-256, 2018. 

  29. 채수정, 이희연, "장애 관련 웹 기반 프로그램의 연구동향 :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특수교육, 제12권, 제3호, pp.243-268, 2013. 

  30. 배선영, "보행 및 위치에 관한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시각장애인과 비장애인의 비교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11호, pp.611-622, 2018. 

  31. 박홍진, "'인공지능', '기계학습', '딥 러닝' 분야의 국내 논문 동향 분석," 한국정보전자통신기술학회 논문지, 제13권, 제4호, pp.283-292, 20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