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부대 전투력 향상을 위한 군 교육훈련 일정계획 최적화 모형
Military Training Schedule Optimization Model for Improving the Combat Power of Troop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21 no.10, 2020년, pp.240 - 247  

박철언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  정창순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  김경섭 (연세대학교 산업공학과)

초록

우리나라 군은 인구절벽 현상으로 인한 병력 부족, 병사들의 의무복무기간 단축, 획일화된 교육훈련에 대한 거부감 등을 이유로 전투력 유지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최근 군 내부적으로도 이러한 문제를 인식하여 전투력 유지에 결정적 역할을 하는 군 교육훈련 체계 개선에 대한 논의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부대 전투력 향상을 위한 군 교육훈련 일정계획 최적화 모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부대 전투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인 교육훈련 과제에 대한 망각 및 학습효과, 과제별 개인점수를 정량화하여 모형에 적용한다. 일정계획 기간은 실제 야전부대의 순환식 부대훈련 주기인 4주로 설정하며, 부대 전투력 측정은 4주 후 부대 구성원의 과제별 개인점수 총합에서 낙제가 발생한 총 횟수를 가중차감하여 계산한다. 교육훈련 여건 및 일부 과제의 초기 개인점수로 시나리오를 구성하고 실험을 수행한 결과 부대 전투력이 최소 10%, 최대 77% 상승하였는데, 이는 전역 및 전입하는 인원을 감안할 때 적어도 부대 전투력 유지가 가능할 만큼의 수치에 해당한다. 또한 부대 전투력 상승률 및 과제별 낙제 발생 횟수 결과를 통해 교육훈련 여건의 조성, 특히 전투기술훈련 과제를 충분히 계획하는 것이 부대 전투력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모형을 통해 군 교육훈련 관리자가 효과적으로 부대 전투력을 유지 혹은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훈련 일정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Korean military is having difficulty maintaining combat power due to the insufficient troop numbers caused by a demographic cliff and the reduction of the mandatory military service period. Recently, discussions on improving the military training system have increased significantly. This paper p...

주제어

표/그림 (10)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하지만 교육훈련의 수행횟수, 시기 등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이나 지원도구가 없기 때문에, 많은 지휘관들이 일정계획 수립 시 어려움을 겪는 동시에 그것의 효과성 또한 보장되기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 교육훈련 일정계획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지원도구로써 우리나라 군의 상황에 적합한 최적화 모형을 제안한다.
  • 본 연구는 군 교육훈련 일정계획 최적화 모형 구축을 통해 부대 전투력을 최대화하는 일정 수립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기존 연구에서 다루지 않았던 군 교육훈련의 특성, 병사들의 학습에 대한 망각, 교육훈련의 학습효과와 같은 요소들을 모형에 고려한다.
  • 본 연구에서는 군 교육훈련의 주체이면서 교육훈련을 가장 직접적으로 실행하는 중대급 부대가 어떻게 교육훈련 일정을 계획해야 하는지에 대해 다루며, 군 조직은 지상군 전투부대, 계급 구조는 병사를 중심으로 연구한다. 현재 지상군 전투부대 병사가 개별적으로 숙달하는 교육훈련 과제는 장병 기본훈련 과제, 전투기술훈련 과제로 구분된다[3,4].
  • 본 연구에서는 부대 전투력에 영향을 주는 교육훈련과제에 대한 병력의 망각과 학습효과를 정량화하고, 부대의 교육훈련 여건 등의 요인을 고려하여 부대 전투력을 최대화하는 군 교육훈련 일정계획 최적화 모형을 제안한다.
  • 부대의 교육훈련 관리자의 직감과 상급부대의 지침에 의존하여 교육훈련 일정을 계획했던 기존 방식과 다르게, 본 연구에서는 부대의 전투력을 최대화하기 위해 정량적인 데이터를 활용한 교육훈련 일정계획 최적화 모형을 제시한다. 이를 위한 기호정의와 수리모형은 아래와 같다.

가설 설정

  • K3 : 정신전력 과제만 가능, K4 : 모든 과제 불가능
  • 본 연구는 과제별 개인점수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하락(망각)하고, 교육훈련에 의해 상승(학습)하는 것을 가정 한다. 과제별 망각지수와 학습효과 지수를 측정하기 위해미 육군연구소에서 과업별 훈련주기를 산출하기 위한 지원도구로 개발한 UDA (User’s Decision Aid) 연구[1,10]를 참고하였다.
  • 본 연구에서 중대는 분/소대 편제 구분 없이 계급으로 구분하여 병장 15명, 상병 35명, 일병 35명, 이병 15명으로 구성된 상황을 가정한다. 교육훈련 일정계획 수립 시 과제별 초기 개인점수는 실제 중대급 부대 수준을 고려하여 Table 3과 같이 편제상 계급에 따라 점수 범위를 부여하고, 범위 내에서 무작위로 점수를 생성한다.
  • 본 연구에서는 부대 구성원의 과제별 개인점수 총합과 낙제 발생 횟수의 가중치 값 비율을 1:100으로 가정하였다. 만약 과제 낙제 횟수의 가중치를 작게 설정한다면, 교육훈련의 효율이 낮은 1, 4번 과제의 비중이 상대적으로 감소할 것이라 예측된다.
  • 군대의 존재 목적은 전쟁을 억제하기 위한 전투력 유지이다. 전투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잘 훈련된 군대를 보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최근 우리 군에서는 인구절벽이라는 시대적 흐름과 병사들의 군 복무 단축으로 인한 훈련시간 부족 등의 이유로 교육훈련 체계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군대의 존재 목적은? 군대의 존재 목적은 전쟁을 억제하기 위한 전투력 유지이다. 전투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잘 훈련된 군대를 보유하는 것이 필수적이다.
실질적인 교육훈련이 이루어지는 중대급 부대의 지휘관에게는 효과적인 일정계획을 구성해야 한다는 책임과 권한이 부여되지만 한계는 무엇인가? 즉, 실질적인 교육훈련이 이루어지는 중대급 부대의 지휘관에게는 효과적인 일정계획을 구성해야 한다는 책임과 권한이 부여된다. 하지만 교육훈련의 수행횟수, 시기 등에 관한 구체적인 지침이나 지원도구가 없기 때문에, 많은 지휘관들이 일정계획 수립 시 어려움을 겪는 동시에 그것의 효과성 또한 보장되기 힘든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군 교육훈련 일정계획을 효과적으로 수립하기 위한 지원도구로써 우리나라 군의 상황에 적합한 최적화 모형을 제안한다.
장병 기본훈련 과제는? 장병 기본훈련 과제는 군인으로서 필요한 기본적인 능력을 배양하는 훈련으로 모든 장병이 병과 또는 특기에 관계없이 실시하는 훈련이다. 장병 기본과제는 총 12개의 과제로 구성되어 있으나, 최근 군에서 12개의 과제는 너무 많다는 지적과 함께 과제에 대한 선택과 집중의 필요성을 논의하고 있고, 실제로 야전부대에서는 대대장급 이상 지휘관이 핵심과제를 선정하여 집중적으로 숙달시키고 있다[3].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R. A. Wisher, M. A. Sabol, J. A. Ellis, K. Ellis, "Staying Sharp: Retention of Military Knowledge and Skills", Special Report 39, U.S. Army Research Institute, USA, pp. 10-25, Jul. 1999. 

  2. C. Stothard, R. Nicholson, "Skill Acquisition and Retention in Training: DSTO Support to the Army Ammunition Study", Defence Science & Technology Organisation, DSTO Electronics and Surveillance Research Laboratory, Australia, pp. 7-16, Dec. 2001. 

  3. K. R. Han, "A Study on the Experimental Method for Establishing a Repetitive Period of Education and Training for the Proper Level of Education and Training", KRINS QUARTERLY, vol. 4, no. 3, pp. 173-222, Nov. 2019. DOI:https://doi.org/10.46322/KRINSQ.4.3.6 

  4. K. H. Choi, "Effective Methods to Train Enlisted Soldiers Following Shortened Service Period", Combat Experiment of the Korea Institute of Strategic Studies, pp. 287-358, Dec. 2005. 

  5. R. P. Brown, "Optimizing Readiness and Equity in Marine Corps Aviation Training Schedules", Master's thesis, Naval Postgraduate School, pp. 5-24, Sep. 1995. 

  6. M. F. Fauske, "Optimizing the Troops-to-Tasks Problem in Military Operations Planning",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vol. 20, no. 4, pp. 49-57, 2015. DOI:https://doi.org/10.1016/j.jenvman.2016.02.005 

  7. H. Onal, P. Woodford, S. A. Tweddale, J. D. Westervelt, M. Chen, S. T. Dissanayake, G. Pitois, "A dynamic simulation/optimization model for scheduling restoration of degraded military training land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vol. 171, pp. 144-157, Apr. 2016. 

  8. M. L. McGinnis, R. G. Phelan Jr, "Scheduling Simulation-Based Training", Military Operations Research, vol. 4, no. 1, pp. 35-49, 1999. 

  9. H. J. Lee, Y. D. Kim, "Scheduling for Military Training of Serials with Partial Precedence Relationships based on the Assignment Problem", Journal of the Korea Institute of Military Science and Technology, vol. 7, no. 3, pp. 77-83, 2004. 

  10. A. M. Rose, M. Y. Czarnolewski, F. E. Gragg, S. H. Austin, P. Ford, "Acquisition and Retention of Soldiering Skills", Technical Report 671, U.S. Army Research Institute, USA, pp. 1-9, 60-89, Feb. 1985.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