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식단의 당부하량에 따른 20대 성인의 체중 감량 효과 연구
Effects of a low glycemic load diet on body weight loss in overweight or obese young adults 원문보기

Journal of nutrition and health, v.53 no.5, 2020년, pp.464 - 475  

박미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남기선 ((주)풀무원, 풀무원기술원) ,  정상진 (국민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한국인이 평소 섭취하는 일반식사와 유사한 수준의 당부하량을 가진 high GL 식사와 당부하량이 낮게 설계된 low GL 식사를 섭취한 후 체중, 체지방, 혈압 및 혈액 내 생활습관병 위험 지표 등의 변화를 분석 및 비교하였다. 20대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체중 감량을 위해 wash-out 기간인 중간 2주를 제외하고 개인 필요 열량의 30%를 줄인 low GL 식사와 high GL 식사를 각 2주간 제공하였다. Low GL 식사와 high GL 식사의 효과를 비교한 결과 low GL 식사가 high GL 식사에 비해 체중 (p < 0.001), 체지방량 (p = 0.024), 체질량지수 (p < 0.001)에서 유의적으로 감소량이 더 컸다. 하지만 혈압, 혈액 내 비만 질환 위험 지표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Low GL 식사의 전·후를 비교한 결과 체중,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이완기 혈압, 중성지방,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C-peptide HOMA 지수가, high GL 식사에서는 체중,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C-peptide, C-peptide HOMA 지수에서 각 식사 전보다 후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또한 실험 식사 섭취 전과 섭취 후를 비교한 결과 체중, 체지방량, 체질량지수, 체지방률, 혈압 (수축기, 이완기), 총콜레스테롤, HDL-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 공복혈당, 당화혈색소, C-peptide, C-peptide HOMA 지수가 모두 유의적으로 감소되었다. 본 연구 결과 체중감량 및 생활습관병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단순히 섭취 열량을 낮추기보다는 열량과 함께 당부하량을 고려하여 섭취하는 것이 체중을 감소시키는 데에 더 효과적일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compared the effects of a high glycemic load (high GL) diet and low glycemic load (low GL) diet on the body weight, body fat, blood pressure, and blood lipid indicators. Methods: Twenty-one young adults aged between 21 and 28 years who were overweighted or obese (body mass index ...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과체중 또는 비만 대상자에게 체중 감량을 위해 열량을 줄이되 평소 섭취하는 수준의 탄수화물 양과 혈당부하를 주는 식사와 이를 낮게 설계한 식사를 섭취하게 한 후 체중, 허리둘레, 체지방, 혈압 등의 비만 관련 위험 지표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탄수화물를 평가하기 위해서 무엇을 지표로 많이 사용하는가? 탄수화물은 양적 섭취뿐 아니라 질적 섭취도 중요한 데 이를 평가하기 위해서 혈당지수를 지표로 많이 사용하고 있다. 혈당지수란 포도당 또는 흰 빵 등의 기준이 되는 식품과 동량의 탄수화물을 함유한 특정식품의 혈당 반응 정도를 기준이 되는 식품의 혈당 반응 정도와 비교한 값이다[4,6,7].
비만은 무엇에 의해 기인 되는가? 6%로 크게 증가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3]. 비만은 과다한 열량섭취와 활동량의 감소에 기인되는 것으로, 서구에서는 열량에 기여하는 영양소 중 특히 지방 섭취가 비만과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왔다. 그러나 지난 20년 동안 일부의 선진국에서 지방 섭취에 의한 에너지 섭취비율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비만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어 섭취하는 지방보다 최근 증가하고 있는 당 섭취량 등 탄수화물이 체중 증가의 주요 원인으로 주목받기 시작했다 [1].
식후 혈당 반응은 섭취한 탄수화물 양의 영향을 받으므로 이에 섭취한 탄수화물의 양을 고려한 당부하지수를 사용하는 데, 당부하지수의 정의는? 식후 혈당 반응은 음식의 혈당지수뿐만 아니라 섭취한 탄수화물 양의 영향을받으므로 이에 섭취한 탄수화물의 양을 고려한 당부하지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7]. 당부하지수는 식품의 혈당지수와 섭취하는 탄수화물 함량을 반영하여 정의하는 값이다 [8].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5)

  1. Ma Y, Olendzki B, Chiriboga D, Hebert JR, Li Y, Li W, et al. Association between dietary carbohydrates and body weight. Am J Epidemiol 2005; 161(4): 359-367. 

  2. Youn S, Woo HD, Cho YA, Shin A, Chang N, Kim J. Association between dietary carbohydrate,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the prevalence of obesity in Korean men and women. Nutr Res 2012; 32(3): 153-159. 

  3.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Korea health statistics 2014: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VI-2). Cheongju: Korea Centers for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15. 

  4. Song S, Choi H, Lee S, Park JM, Kim BR, Paik HY, et al. Establishing a table of glycemic index values for common Korean foods and an evaluation of the dietary glycemic index among the Korean adult population. Korean J Nutr 2012; 45(1): 80-93. 

  5. Barclay AW, Petocz P, McMillan-Price J, Flood VM, Prvan T, Mitchell P, et al.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chronic disease risk--a meta-analysis of observational studies. Am J Clin Nutr 2008; 87(3): 627-637. 

  6. Jenkins DJ, Wolever TM, Jenkins AL. Starchy foods and glycemic index. Diabetes Care 1988; 11(2): 149-159. 

  7. Riccardi G, Rivellese AA, Giacco R. Ro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in the healthy state, in prediabetes, and in diabetes. Am J Clin Nutr 2008; 87(1): 269S-274S. 

  8. Denova-Gutierrez E, Huitron-Bravo G, Talavera JO, Castanon S, Gallegos-Carrillo K, Flores Y, et al. Dietary glycemic index, dietary glycemic load, blood lipids, and coronary heart disease. J Nutr Metab 2010; 2010: 170680. 

  9. Du H, van der A DL, van Bakel MM, van der Kallen CJ, Blaak EE, van Greevenbroek MM, et al.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in relation to food and nutrient intake and metabolic risk factors in a Dutch population. Am J Clin Nutr 2008; 87(3): 655-661. 

  10. Lau C, Toft U, Tetens I, Richelsen B, Jorgensen T, Borch-Johnsen K, et al. Association between dietary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body mass index in the Inter99 study: is underreporting a problem? Am J Clin Nutr 2006; 84(3): 641-645. 

  11. Du H, Van der A DL, Feskens EJ. Dietary glycaemic index: a review of the physiological mechanisms and observed health impacts. Acta Cardiol 2006; 61(4): 383-397. 

  12. Chai HJ, Hong H, Kim HS, Lee JS, Yu CH. Relationship between food intakes, glycemic index, glycemic load, and body weight among high school boys in Seoul. Korean J Nutr 2008; 41(7): 645-657. 

  13.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Manual of medical nutrition therapy, 3rd edition. Seoul: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2008. 

  14. Park MH, Chung SJ, Shim JE, Jang SH, Nam KS. Effects of macronutrients in mixed meals on postprandial glycemic response. J Nutr Health 2018; 51(1): 31-39. 

  15. Wallace TM, Levy JC, Matthews DR. Use and abuse of HOMA modeling. Diabetes Care 2004; 27(6): 1487-1495. 

  16. Levy JC, Matthews DR, Hermans MP. Correct homeostasis model assessment (HOMA) evaluation uses the computer program. Diabetes Care 1998; 21(12): 2191-2192. 

  17. Song S, Paik HY, Song Y. The relationship between intake of nutrients and food groups and insulin resistance in Korean adults: using the fourth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NHANES IV, 2007-2009). Korean J Nutr 2013; 46(1): 61-71. 

  18. Hall KD, Bemis T, Brychta R, Chen KY, Courville A, Crayner EJ, et al. Calorie for calorie, dietary fat restriction results in more body fat loss than carbohydrate restriction in people with obesity. Cell Metab 2015; 22(3): 427-436. 

  19. Noakes M, Foster PR, Keogh JB, James AP, Mamo JC, Clifton PM. Comparison of isocaloric very low carbohydrate/high saturated fat and high carbohydrate/low saturated fat diets on body composition and cardiovascular risk. Nutr Metab (Lond) 2006; 3(1): 7. 

  20. Foster GD, Wyatt HR, Hill JO, McGuckin BG, Brill C, Mohammed BS, et al. A randomized trial of a low-carbohydrate diet for obesity. N Engl J Med 2003; 348(21): 2082-2090. 

  21. Golay A, Allaz AF, Morel Y, de Tonnac N, Tankova S, Reaven G. Similar weight loss with low- or high-carbohydrate diets. Am J Clin Nutr 1996; 63(2): 174-178. 

  22. Krebs NF, Gao D, Gralla J, Collins JS, Johnson SL. Efficacy and safety of a high protein, low carbohydrate diet for weight loss in severely obese adolescents. J Pediatr 2010; 157(2): 252-258. 

  23. Lee MS, Lee SY, Kim HA, Jung SJ, Kim WK, Kim HJ. Climical nutrition. Goyang: Powerbook; 2010. 

  24. Tay J, Brinkworth GD, Noakes M, Keogh J, Clifton PM. Metabolic effects of weight loss on a very-low-carbohydrate diet compared with an isocaloric high-carbohydrate diet in abdominally obese subjects. J Am Coll Cardiol 2008; 51(1): 59-67. 

  25. Salway JG. Medical biochemistry at a glance, 3rd edition. Chichester: Wiley-Blackwell; 201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