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백미밥과 잡곡밥의 당지수 차이가 열량 섭취량 및 포만감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lycemic Index for Boiled White Rice and Boiled White Rice Mixed with Grains on Food Consumption and Satiety Rate 원문보기

대한영양사협회 학술지 = Journal of the Korean dietetic association, v.15 no.2, 2009년, pp.179 - 187  

정은영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서형주 (고려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홍양희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이인이 (동덕여자대학교 비만미용향장대학원 비만관리학과) ,  김동건 (동덕여자대학교 정보통계학과) ,  김미옥 (대구보건대학 건강다이어트과) ,  장은재 (동덕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we examined whether the glycemic index (GI) values of boiled white rice (GI=86) and boiled white rice mixed with grains (GI=58) could influence the total energy intake and satiety rate of a rice-based diet. Thirty adult femal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in which they ate boiled whit...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본 연구는 한국인이 가장 많이 섭취하는 백미밥과 백미밥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잡곡밥을 제공하였을 때 실제 음식의 섭취량과 포만감을 비교 분석하여 당지수와 포만감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 더 나아가 잡곡밥을 이용하여 체중 감량 식단을 모색하는 데 기반 자료를 마련하고자 실시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포만감을 측정하는 시각 상사 척도는 눈금이 그려지지 않은 100 mm의 수평 자를 이용했는데, 자의 왼쪽 끝과 오른쪽 끝은 무엇을 정의하도록 했는가? 포만감은 시각 상사 척도(Rolls 등 2000; Chang 등 2008)로 조사하였는데, 시각 상사 척도는 눈금이 그려지지 않은 100 mm의 수평 자를 이용하였다. 자의 왼쪽 끝은 전혀 배부르지 않은 상태를, 자의 오른쪽 끝은 매우 배부른 상태로 정의되도록 하여 그 선상에서 대상자가 느끼는 포만 정도를 표시하도록 하였다. 매 측정시마다 이전의 표시한 곳을 알 수 없도록 같은 크기의 다른 자를 제시하였다.
당지수는 무엇인가? 이렇듯 당지수와 체지방 분포 사이에 밀접한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지면서 최근 비만과 관련하여 당지 수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당지수는 식품 내 탄수화물을 질적으로 평가하는 지수이다(Jenkins 등 1988). 당지수가 높은 식품을 당지수가 낮은 식품으로 대치하면 천천히 소화 ․ 흡수되어, 혈당 반응이 낮아지고(Gagné 2008; Hare-Bruun 등2008), 혈중 지질이 개선되고, 인슐린 민감성이 향상된다고 보고되었다(Livesey & Tagami 2009).
잡곡이란 무엇을 말하는가? 잡곡이란 곡식작물 중 백미와 찹쌀을 제외한 현미, 흑미, 보리, 밀, 콩, 조, 기장, 수수, 옥수수, 메밀 등을 말한다. 기존에는 쌀과 비교한 열등재로서의 개념이 강했으나, 잡곡에는 비타민과 무기질이 쌀의 2∼3배, 식이섬유도 2∼3배 이상 함유되어 있다(Kim & Lee 2006).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0)

  1. Bornet FR, Fontvieille AM, Rizkalla S, Colonna P, Blayo A, Mercier C, Slama G (1989): Insulin and glycemic responses in healthy humans to native starches processed in different ways: correlation with in vitro ${\alpha}-amylose$ hydrolysis. Am J Clin Nutr 50(2):315-323 

  2. Brand-Miller J, Foster-Powell K (1999): Diets with a low glycemic index: from theory to practice. Nutr Today 34(2):64-72 

  3. Burton-Freeman BM, Keim NL (2008): Glycemic index, cholecystokinin, satiety and disinhibition: is there an unappreciated paradox for overweight women- Int J Obes (Lond) 32(11):1647-1654 

  4. Chang UJ, Jun CH, Park HJ, Hong IS, Jung EY (2008): Comparison of calorie intake and satiety rate by different energy density level of Kimbab. J Korean Diet Assoc 14(4):369-403 

  5. EPM-Communications (2003): Parents' eating habits set a good example for children. Res Alert 4:3-4 

  6. Foster-Powell K, Holt S HA, Brand-Miller JC (2002): International table of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values: 2002. Am J Clin Nutr 76(1):5-56 

  7. Gagne L (2008): The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in clinical practice. Explore (NY) 4(1):66-69 

  8. Garner DM, Garfinkel PE (1979): The eating attitudes test: an index of the symptoms of anorexia nervosa. Psychol Med 9(2):273-279 

  9. Haber GB, Heaton KW, Murphy D, Burroughs LF (1977): Depletion and disruption of dietary fiber: effects on satiety, plasma-glucose, and serum-insulin. Lancet 2:679-682 

  10. Hare-Bruun H, Nielsen BM, Grau K, Oxlund AL, Heitmann BL (2008): Should glycemic index and glycemic load be considered in dietary recommendations- Nutr Rev 66(10):569-590 

  11. Hospers JJ, Van Amelsvoort JMM, Weststrate JA (1994): Amylose-to-amylopectin ratio in pastas affects postprandial glucose and insulin responses and satiety in males. Int J Food Sci 59:1144-1149 

  12. Jacobs DR, Steffen LM (2003): Nutrients, foods and dietary patterns as exposures in research: a framework for food synergy. Am J Clin Nutr 78(Suppl 3):508S-513S 

  13. Jenkins DJ, Wolever TM, Jenkins AL (1988): Starchy foods and glycemic index. Diabetes Care 11(2):149-159 

  14. Keogh JB, Lau CW, Noakes M, Bowen J, Clifton PM (2007): Effects of meals with high soluble fibre, high amylose barley variant on glucose, insulin, satiety and thermic effect of food in healthy lean women. Eur J Clin Nutr 61(5):597-604 

  15. Kim YS, Lee GC (2006): A survey on the consumption and satisfaction degree of the cooked rice mixed with multi-grain in Seoul. Kyeonggi and Kangwon area. Korean J Food Culture 21(6):661-669 

  16. Korea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KHNES) (2005): In-Depth Analysis on the 3rd- Nutrition Survey 

  17. Kral TVE, Rolls BJ (2004): Energy density and portion size: their independent and combined effects on energy intake. Physiology & Behavior 82(1):131-138 

  18. Lee C, Shin JS (2002): Effects of different fiber content of rice on blood glucose and triglyceride levels in normal subjec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6):1048-1051 

  19. Lee JS, Lee JS, Yang CB, Shin HK (1997): Blood glucose response to some cereal and determine of their glycemic index to rice as standard food. Korean J Nutr 30(10):1170-1179 

  20. Lee YP, Mori TA, Sipsas S, Barden A, Puddey IB, Burke V, Hall RS, Hodgson JM (2006): Lupin-enriched bread increases satiety and reduces energy intake acutely. Am J Clin Nutr 84(5):975-980 

  21. Livesey G, Tagami H (2009): Interventions to lower the glycemic response to carbohydrate foods with a low-viscosity fiber (resistant maltodextrin): meta-analysis of randomized controlled trials. Am J Clin Nutr 89(1):114-125 

  22. Ludwig DS (2000): Dietary glycemic index and obesity. J Nutr 130(Suppl 2S):280S-283S 

  23. Morris KL, Zemel MB (1999): Glycemic index, cardiovascular disease, and obesity. Nutr Rev 57(9):273-276 

  24. NeoNutra Glycemic Index Center. What is Glycemic Index- Available from: http://www.gitest.co.kr. Accessed September 8, 2008 

  25. Pereira MA, Jacobs Jr DR, Pins JJ, Raatz SK, Gross MD, Slavin JL, Seaquist ER (2002): Effect of whole grain on insulin sensitivity in overweight hyperinsulinemia adults. Am J Clin Nutr 75(5):848-855 

  26. Pi-sunyer FX (2002): Glycemic index and disease. Am J Clin Nutr 76(Suppl 1):290S-298S 

  27. Poppitt SD, Preentice AM (1996): Energy density and its role in the control of food intake: evidence from metabolic and community studies. Appetite 26(2):153-174 

  28. Roberts SB (2000): High-glycemic index foods, hunger, and obesity: is there a connection- Nutr Rev 58(6):163-169 

  29. Rodin J, Reed D, Jamner L (1988): Metabolic effects of fructose and glucose: implications for food intake. Am J Clin Nutr 47:683-699 

  30. Rolls BJ, Bell EA (2000): Dietary approaches to the treatment of obesity. Med Clin N Am 84(2):401-418 

  31. Rolls BJ, Bell EA, Waugh BA (2000): Increasing the volume of a food by incorporating air affects satiety in men. Am J Clin Nutr 72(2):361-368 

  32. Rolls BJ, Roe LS, Meengs JS, Wall DE (2004): Increasing the portion size of a sandwich increases energy intake. J Am Diet Assoc 104(3):367-372 

  33. Snow P, O'Dea K (1981): Factors affecting rate of hydrolysis of starch in food. Am J Clin Nutr 34:2721-2727 

  34. Spitzer L, Rodin J (1987): Effects of fructose and glucose preloads on subsequent food intake. Apetite 8(2):135-145 

  35. The University of Sydney. The Official Website of the Glycemic Index and GI Database. Available from: http://www.glycemicindex.com. Accessed September 8, 2008 

  36. Van Amelsvoort J, Weststrate JA (1992): Amylose-amylopectin ratio in a meal affects post prandial variables in male volunteers. Am J Clin Nutr 55:712-718 

  37. Wansink B (2004): Environmental factors that increase the food intake and consumption volume of unknowing consumers. Annu Rev Nutr 24:455-479 

  38. Willett WC (1998): Is dietary fat a major determine of body fat- Am J Physiol 267(Suppl):556S-562S 

  39. Wolever TM, Jenkins DJ, Jenkins AL, Josse RG (1991): The glycemic index methodology and clinical implication. Am J Clin Nutr 54:846-854 

  40. Zung WW (1986): Prevalence of clinically significant anxiety in a family practice setting. Am J Psychiatry 143(11):1471-147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