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급성기 대학병원 입원환자의 욕창중증도의 영향요인
Risk Factors of Severity of Pressure Injuries in Acute University Hospital Inpatients 원문보기

융합정보논문지 =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v.10 no.11, 2020년, pp.98 - 106  

조보경 (한림대학교 강남성심병원) ,  고영 (가천대학교 간호학과) ,  곽찬영 (한림대학교 간호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급성기 종합병원 입원 욕창환자에서 욕창 중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입원환자의 퇴원시 욕창악화에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집한 자료를 이차자료 분석하였다. 원 연구는 2017년 5월부터 2018년 11월까지 일 급성기 대학병원에 입원한 만 18세 이상의 욕창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여 자료수집하였다. 이차자료 분석에 입원시 욕창이 있었던 472명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욕창 중증도에 따른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표면욕창에 비해 중증욕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연구결과 급성기 대학병원 입원 욕창환자는 전체 환자의 12.7%이었으며, 중증욕창은 그 중 19.1%이었다. 중증욕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성별, 체온과 환자의 기동력이 확인되었다. 입원 욕창환자에 대한 피부관리가 필요하며, 특히 기동력이 저하된 환자에게 체위변경의 횟수 증가 및 욕창부위 압력완화를 위한 관리가 요구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severity of pressure injuries of patients with pressure injuries admitted to acute university hospital. This study was a secondary analysis on the data of the study conducted to identify the factors influencing the deterioration of pre...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이차자료분석 논문으로, 원 연구는 입원환자의 입원시 욕창특성과 퇴원시 욕창악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서 후향적으로 환자의 의무 기록을 조사한 연구[20]이다.
  • 노인 인구의 증가와 더불어 질병 위중도와 복합성 증가로 인해 의료기관에 입원하는 중증욕창 환자가 증가할 것이 예상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욕창 환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급성기 대학병원에 입원한 욕창 환자의 중증욕창과 관련된 위험요인을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에서는 입원시 욕창 보유 환자의 욕창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환자가 보유한 욕창특성을 확인하고, 욕창의 중증도와 관련이 있는 위험요인을 확인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2020). Health/disease information: pressure ulcer. Korea Disease Control and Prevention. (Online). http://health.cdc.go.kr/health/HealthInfoArea/HealthInfo/View.do?idx1190 

  2. C. H. Lyder et al. (2012). Hospital-acquired pressure ulcers: results from the national Medicare Patient Safety Monitoring System study. Journal of American Geriatric Society, 60(9), 1603-1608. DOI : 10.1111/j.1532-5415.2012.04106.x 

  3. J. Large. (2011). A cost-effective pressure damage prevention strategy. Nursing & Residential Care, 13(5), 236-239. 

  4.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 (2018.12.27). Criteria for Acute Healthcare Accreditation for 3 rd Period. Seoul: Korea Institute for Healthcare Accreditation.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5. B. J. Braden & N. Bergstrom. (1989). Clinical utility of the braden scale for predicting pressure sore risk. Decubitus, 2(3), 44-51. 

  6. T. E. Borsting, C. R. Tvedt, I. J. Skogestad, T. I. Granheim, C. L. Gay & A. Lerdal. (2017). Prevalence of pressure ulcer and associated risk factors in middle-and older-aged medical inpatients in Norway. Journal of Clinical Nursing, 27, e535-e543. DOI : 10.1111/jocn.14088 

  7. A. B. De Almeida Medeiros, M. I. da Conceicao Dias Fernandes, J. D. de Sa Tinoco, M. S. Cossi, M. V. de Oliveira & A. L. Brandao de Carvalho Lira. (2017). Predictors of pressure ulcer risk in adult intensive care patients: a retrospective case-control study. Intensive Critical Care Nursing, 45, 6-10. DOI : 10.1016/j.iccn.2017.09.007 

  8. M. L. Jenkins & E. O'Neal. (2010). Pressure ulcer prevalence and incidence in acute care. Advances in Skin & Wound Care, 23(12), 556-559. 

  9. M. Kasikci, M. Aksoy & E. Ay. (2018). Investigation of the prevalence of pressure ulcers and patient-related risk factors in hospitals in the province of Erzurum: a cross-sectional study. Journal of Tissue Viability, 27, 135-140. DOI : 10/1016/j.jtv.2018.05.001 

  10. S. Park, Y. Lee & Y. Kwon. (2016). Predictive validity of pressure ulcer risk assessment tools for elderly. a meta-analysis.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38(4), 459-483. DOI : 10.1177/0193945915602259 

  11. A. N. Tescher, M. E. Branda, T. J. O. Byrne & J. M. Naessens. (2012). All at-risk patients are not created equal. Journal of Wound Ostomy Conference Nursing, 39(3), 282-291. 

  12. S. Coleman et al. (2013). Patient risk factors for pressure ulcer development: systematic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50, 974-1003. DOI : 10.1016/j.ijnurstu.2012.11.019 

  13. P. Y. Takahashi, A. Chandra & S. S. Cha. (2009). Risk factors for pressure ulceration in an older community-dwelling population. Advanced in Skin & Wound Care, 24(2), 72-77. 

  14. H. R. Kwak & J. Kang. (2015). Pressure ulcer prevalence and risk factors at the time of intensive care unit admission.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3), 347-357. DOI : 10.7475/kjan.2015.27.3.347 

  15. N. A. Lathmann & J. Kottner. (2011). Relation between pressure, friction and pressure ulcer categories: a secondary data analysis of hospital patients using CHAID methods.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48, 1487-1494. DOI : 10.1016/j.ijnurstu.2011.07.004 

  16. S. A. Kayser, C. A. VanGilder & C. Lachenbruch. (2019). Predictors of superficial and severe hospital-acquired pressure injuries: a cross-sectional study using the International Pressure Ulcer Preval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Nursing Studies, 89, 46-52. DOI : 10.1016/j.inurstu.2018.09.003 

  17. K. N. Kim et al. (2011). Survey on pressure ulcers and influencing factors of stage change in acute univeristy hospital inpati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Nursing Research, 17(3), 433-442. 

  18. H. N. Lee & J. S. Park. (2014). Nutrition-related factors predicted pressure ulcers in intensive care unit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Fundamental of Nursing, 21(4), 413-422. DOI : 10.7739/jkafn.2014.21.4.413 

  19. N. Bergstrom, B. J. Braden, A. Laguzza & V. Holman. (1987). The braden scale for predicting pressure sore risk. Nursing Research, 36(4), 205-210. 

  20. B. K. Cho. (2019). Hospital inpatient influencing factor of pressure ulcer. Master's Thesis. Hallym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Nursing Science, Chuncheon. 

  21. K. R. Jones & K. Fennie. (2007). Factors influencing pressure ulcer healing in adults over 50: an exploratory study. Journal of American Medical Directors Association, 8, 378-387. 

  22. S. Coleman et al. (2014). A new pressure ulcer conceptual framework. Journal of Advanced Nursing, 70(10), 2222-2234. DOI : 10.1111/jan.12405 

  23. E. Park, J. H. Seo, Y. Jung, S. M. Yun & N, K. Lee. (2017). Quality care strategy for long-term care hospitals and nursing homes -focusing on patient (resident) safety. Sejong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24. E. W. Kwong, M. S. Hung & K. Woo. (2016). Improvement of pressure ulcer prevention care in private for-profit residential care homes: an action research study. BMC Geriatrics, 16, 192. DOI:10.1186/s12877-016-0361-8 

  25. T. Kaitani, K. Tokunaga, N. Matsui & H. Sanada. (2009). Risk factors related to the development of pressure ulcers in the critical care setting. Journal of Clinical Nursing, 19, 414-421. DOI : 10.1111/j.1365-2602.2009.03047.x 

  26. M. J. Lee & H. Kang. (2019). Experience of patient safety accidents in general hospital nurses.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9(2), 139-1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