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한국 전통도자에 나타나는 의미창출을 위한 융합 표현 연구 -식물의 상징성을 중심으로-
A Study on the Convergence Expression in Traditional Ceramics -Focusing on the Symbolism of Plant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1, 2020년, pp.449 - 457  

윤승연 (국민대학교 일반대학원 도예학과) ,  박중원 (국민대학교 도예학과)

초록

한국 전통도자에 적용된 식물의 시각적 표현은 우리 민족의 의식과 정서에 기반하고 있으며, 당시 사람들이 추구하던 길상(吉祥)적 염원(念願)과 벽사(辟邪)를 볼 수 있다. 이러한 상징적 표현은 도자의 형과 장식의 표현, 그리고 그들의 융합을 통해 새롭고 다채로운 의미로 확장되어왔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도자에서 보이는 융합표현의 현상을 형과 형, 형과 장식, 그리고 장식과 장식으로 구분해 그것들의 특별한 의미를 분석한다. 이를 위해 한국 전통도자에서 활용된 식물의 형과 장식의 특징을 문헌적 정보를 바탕으로 고찰한다. 2장에서는 의미를 담은 형과 장식의 배경이 되는 식물을 개괄적으로 분석하고 의미를 소개한다. 3장에서는 식물들의 특징과 의미를 기반으로 형과 형, 형과 장식, 장식과 장식의 융합 형태로 구분하고 그들의 융합현상을 통해 새롭게 발현된 의미를 제시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visual representation of plants applied to traditional Korean ceramics is based on the consciousness and sentiment of the Korean people, and one can see the auspicious aspirations and exorcisms that people pursued at that time. These symbolic expressions have been extended in new and colorful me...

주제어

표/그림 (11)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일반적으로 사물의 형과 장식은 민족문화의 가치에 의해 고정되고 표상된 미술로서 민족의 정신적, 문화적 특성과 실체를 가장 뚜렷하게 반영한다. 그러므로 각 시대에 적용된 식물을 응용한 형태와 장식에 관한 연구는 그 시대의 문화, 정치, 사회가 어떠한 모습이었는지 알아볼 수 있다. 또한, 그것들이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의미와 상징성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을 통해 배경을 살펴보고 그 가치를 새롭게 조명해 보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 특히, 유교적 상징에서 언급하였던 사군자와 세한삼우는 군자의 상징을 가진 식물들의 융합을 통해 새로운 이름이 부여되었고 강한 상징적 의미가 생성되었다. 대표적으로 사군자(四君子)와 세한삼우(歲寒三友)를 이용해 융합된 식물장식의 배경과 의미를 확인하고자 한다.
  • 한국 전통도자에서 식물을 통한 다양한 길상적 형과 장식에 대한 배경 분석과 특징을 조형 및 융합연구의 관점에서 소개한다. 또한 본 연구는 분석에 있어서 한국 전통도자의 대표적 장르인 고려청자부터 조선백자에서 보이는 형태와 문양을 기준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분석대상인 융합표현의 내용 연구는 국내외 문헌, 공식문건 및 언론 보도, 인터넷 자료 등을 통해 고찰한다.
  • 이러한 분석연구를 통해 한국 전통도자에서 보이는 다양한 융합표현에 의한 우리 민족의 특별한 표현 방법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식물을 모티브로 한 형과 장식에 나타난 상징성에 관한 연구는 도자 문화를 통해 당시의 사람들의 정신세계는 물론 그들의 일상생활을 이해하는 것에 중요한 역할을 기대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고려청자부터 조선백자에 이르기까지 한국을 대표하는 전통 도자에 사용되었던 식물을 응용한 형과 장식을 조사 분석하여 각 형태와 장식에 담긴 특별하고 상징적인 의미를 이해한다. 이를 기반으로 한국 전통도자에서 보이는 다양한 융합표현의 현상을 형과 형, 형과 장식, 장식과 장식으로 구분하여 그것들의 특별한 의미를 발췌하고 분석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융합을 통해 새로운 의미 창출을 시도했던 한국 전통도자의 형과 장식에 관해 연구한다. 특히, 식물을 모티브로 한 형과 장식을 형과 형, 형과 장식, 그리고 장식과 장식의 결합으로 구분해 살펴보고, 그것들이 보여주는 새로운 상징적 의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도자에 응용된 6개의 식물(조롱박, 버드나무, 복숭아, 대나무, 난초, 소나무)을 통해 벽사의 의미를 확인하고자 한다.
  • 2장에서는 한국 전통도자에서 보이는 식물을 활용한 형과 장식의 특징을 문헌자료의 정보를 바탕으로 고찰했다. 새로운 의미 창출을 위한 형과 장식의 배경이 되는 식물을 개괄적으로 분석하고, 그것들의 독특한 특징과 의미를 소개한다.
  • 또한, 그것들이 내포하고 있는 다양한 의미와 상징성에 대한 구체적인 접근을 통해 배경을 살펴보고 그 가치를 새롭게 조명해 보는 일은 매우 중요한 일이다. 아래의 표에서 한국 전통도자에서 보이는 식물들을 상징적 특징과 함께 분류해 정리하고자 한다.
  • 연구는 한국 전통도자에서 보이는 식물에 대한 길상적 형과 장식, 그리고 그들의 융합표현의 분석을 통해 도자 및 문화의 특징과 의미를 새롭게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전통도자에서 식물을 통한 다양한 길상적 형과 장식에 대한 배경 분석과 특징을 조형 및 융합연구의 관점에서 소개한다.
  • 이를 기반으로 한국 전통도자에서 보이는 다양한 융합표현의 현상을 형과 형, 형과 장식, 장식과 장식으로 구분하여 그것들의 특별한 의미를 발췌하고 분석한다. 이러한 분석연구를 통해 한국 전통도자에서 보이는 다양한 융합표현에 의한 우리 민족의 특별한 표현 방법을 분석하고 이해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이 있다. 또한, 식물을 모티브로 한 형과 장식에 나타난 상징성에 관한 연구는 도자 문화를 통해 당시의 사람들의 정신세계는 물론 그들의 일상생활을 이해하는 것에 중요한 역할을 기대하고자 한다.
  • 분석대상인 융합표현의 내용 연구는 국내외 문헌, 공식문건 및 언론 보도, 인터넷 자료 등을 통해 고찰한다. 이를 기반으로 전통 도자에서 새로운 의미 창출로서의 융합표현 현상을 소개한다.
  • 전통 도자기 형태의 표면에는 분청기법부터 청화, 철화 기법까지 다양한 장식표현과 함께 구성되어있는데 장식을 구성하는 문양들의 반복되고 단순화되면서 소재의 상징적 의미가 강조되어있다. 전통 도자에서 나타나는 참외형과 표주박형을 중심으로 다양한 장식표현과의 융합 사례를 확인하고자 한다.
  • 본 연구에서는 융합을 통해 새로운 의미 창출을 시도했던 한국 전통도자의 형과 장식에 관해 연구한다. 특히, 식물을 모티브로 한 형과 장식을 형과 형, 형과 장식, 그리고 장식과 장식의 결합으로 구분해 살펴보고, 그것들이 보여주는 새로운 상징적 의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한다.
  • 연구는 한국 전통도자에서 보이는 식물에 대한 길상적 형과 장식, 그리고 그들의 융합표현의 분석을 통해 도자 및 문화의 특징과 의미를 새롭게 이해하기 위한 것이다. 한국 전통도자에서 식물을 통한 다양한 길상적 형과 장식에 대한 배경 분석과 특징을 조형 및 융합연구의 관점에서 소개한다. 또한 본 연구는 분석에 있어서 한국 전통도자의 대표적 장르인 고려청자부터 조선백자에서 보이는 형태와 문양을 기준으로 적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S.W.Goh.(2009).digital pattern. seoul: geulnurim 

  2. Korea Creative Content Agency (KOCCA) [Online]. www.culturecontent.com 

  3. Korean pattern.(1998) Seoul : Cultural Heritage Foundation 

  4. K.Y.Koh (2014) The Study on the inherent traits and symbolism in the patterns of white porcelain from the Joseon Dynas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5. S.H.Lee.(2004).Korean Culture shown in Flowers 3. seoul : nexusBOOKS 

  6. Won Buddhism 100th Anniversary Church (1967.10.28.). The Great Encyclopedia of Won Buddhism . Jeonbuk Iksan: Won Buddhism Publishing House. pp935-936. 

  7. K.J.KOOK (2006)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patterns expressed in the Koryo buddhist scriptures. graduate school of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deajeon. 

  8. K.Y.Koh (2014) The Study on the inherent traits and symbolism in the patterns of white porcelain from the Joseon Dynasty.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Kyung Hee University. Seoul. 

  9. J.w.Park, Wenqian Xie, H.S.Ro, W.S. Kim. (2018) Division of Formative Design, Kongju National University. The Posibilties in Craft Creation through Convergence. Kongju National University. KCS[Online]. www.kcons.or.kr 

  10. Herbert Read,(1964).The Meaning of Art, London: Penguin Books, , pp. 32-38 

  11. H. S. JO (2019. 12. 04) korean melon. INCHEONILBO[Online]. http://www.incheonilbo.com/news 

  12. Y.A.Hoh (2014.8).A Study on Figurative Celadon in the Goryeo Dynasty: Focusing on Type Classification and Trend Changes Graduate School of Myongji University, a thesis on domestic master's degree 

  13. Y.J.LIM.(2004).Korean traditional patterns. seoul : YEWON BOOKS 

  14. The Great Encyclopedia of art (1998).The Editorial Department Of The Korean Dictionary Research 

  15. H.W.KIM(2014).Historical approach to the convergent aspect of Korean illustration patterns .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a thesis on domestic master's degree.Gangwon.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