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편의점 도시락의 라벨 디자인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The Effect of Label Design Images on the Intention of Purchase in Convenience Store Lunch Box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8 no.11, 2020년, pp.493 - 500  

강은영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공예디자인학과 시각디자인 전공) ,  김승인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디지털미디어디자인 전공)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프리미엄 도시락과 일반 도시락의 라벨 디자인 시각요소 이미지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으로 국내 대표 편의점 브랜드인 세븐일레븐, GS25, CU의 프리미엄 도시락과 일반 도시락의 라벨 디자인 이미지와 구매 의도를 설문 조사하고, SPSS 21 통계로 분석한 뒤 측정된 평균값과 표준편차들을 기준으로 T-검증을 진행하였다. 연구결과 프리미엄 도시락의 라벨 디자인은 일반 도시락과 차별화된 프리미엄 이미지로 소비자에게 인식되고 있으며 '품질'과 '메뉴구성'의 구매요소 비중이 높게 나타나 편의점 프리미엄 도시락도 '가격'보다 프리미엄 제품다운 가치 경쟁력을 소비자들에게 제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앞으로 본 연구를 기점으로 편의점의 프리미엄 도시락 라벨 디자인 기획 전략에 기여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visual element of the label design image of premium lunch boxes and general lunch boxes on purchasing intention. As a method of research, the label design images and purchase intentions of premium lunch boxes and general lunch boxes from the ...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이에 제품의 이미지와 정보를 제공하고 프리미엄 전략을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라벨디자인의 연구는 의미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편의점 도시락을 구매해 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프리미엄 도시락과 일반 도시락의 라벨 디자인에 대한 시각요소 이미지와 구매의도의 차이를 비교하고, 구매요소에 따른 시각요소나 및 차별화 요소에 대한 비교로 프리미엄 라벨 디자인 개발의 실증적 방향을 모색하였다.
  • 본 논문은 편의점 도시락을 구매해 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프리미엄 도시락과 일반 도시락의 라벨 디자인 이미지와 구매의도 그리고 구매요소에 대한 라벨 디자인의 시각요소 및 차별화 표현요소에 대한 영향을 실증적인 방법으로 연구한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 매출 상위 브랜드인 세븐일레븐, GS25, CU 편의점에서 출시한 프리미엄 도시락의 패키지 라벨 디자인과 동일한 제품 구성 라인의 일반 도시락 제품의 라벨 디자인 이미지에 의한 구매 의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 본 연구에서는 이전의 선행연구들에서 많은 빈도수를 차지하는 색채> 브랜드> 제품로고> 일러스트> 레이아웃을 라벨디자인의 시각요소로 연구에 활용하고자 한다(Table 1 참조).
  • 본 논문은 편의점 도시락을 구매해 본 소비자들을 대상으로 프리미엄 도시락과 일반 도시락의 라벨 디자인 이미지와 구매의도 그리고 구매요소에 대한 라벨 디자인의 시각요소 및 차별화 표현요소에 대한 영향을 실증적인 방법으로 연구한다. 연구의 범위는 국내 매출 상위 브랜드인 세븐일레븐, GS25, CU 편의점에서 출시한 프리미엄 도시락의 패키지 라벨 디자인과 동일한 제품 구성 라인의 일반 도시락 제품의 라벨 디자인 이미지에 의한 구매 의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 이러한 편의점 프리미엄 도시락이 단순한 일회성 유행이 아닌 신뢰 있는 품질로 자리 잡으려면 프리미엄 도시락이 제공하는 가치와 이미지가 긍정적인 태도로 일관되게 형성되어 소비자들의 구매 선택에 도움이 되어야 한다[3]. 이에 본 연구는 편의점 프리미엄 도시락과 일반 도시락의 라벨 디자인이 프리미엄 시각요소 이미지인지, 구매의도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5)

  1. K. Lee. & S. I. Kim. (2018). Case Study for the Elderly Welfare Center for the Aging Socie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9(7). 177-183. DOI:10.15207/JKCS.2018.9.7.177 

  2. S. W. Choi. & Y. S. Ra. (2013). Influence of purchase motivation and selection attributes of HMR on re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lifestyles. Culinary science and hospitality research, 19(5), 296-311. DOI : 10.20878/cshr.2013.19.5.024024024 

  3. S. H. Pack. (2017). Effect of Consumption Values on Attitude and Behavioral Intentions toward a Premium Lunch Box at a Convenience Store. The korean jounal of food and nutrition. 326pp ISSN 1225-4339 eISSN 2287-49926p 

  4. Food Information Statistics System. 2016. The statistics of home meal replacement. Available from http://www.atfis.or.kr [cited 2017 Feburary 17] 

  5. S. San. (2014). Effects of Korean premium brand value on Chinese consumer' sattitude. Hanseo University, Kyunggido 

  6. D. W. Kim. (2011).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the Intention of Purchase of Premium Brands. 4p 

  7. K. H. Hong. (2008). Study of Distinction Strategy for Premium Brand Package Design. Vol.6 No.06. 178p 

  8. Solomon MR. (1996). Consumer Behavior: Buying, Having, and being. New Jersey, Eaglewood Cliffs. Prentice Hall 

  9. Sweeney J. Soutar G. (2001). Consumer perceived value: The development of a multiple item scale, Journal of Retailing 77:203-207 

  10. K. H. Kim. (1994). Design Dictionary. Mijinsa. Seoul. p.254 

  11. J. E. Lee. (2010). A Study on the Impact of Premium Brand Package on Purchasing Intention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Art. Korean Master's degree. Hongik University. 69p 

  12. Y. S. Son. (2010).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newal Label Design on Brand Recognition - Focused on the Label Design of Jinro Chamisul.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roduct and Culture Design. 26(0): 45p 

  13. H. H. Kim. & Q. M. Ya. (2020). A Comparative Study on the Visual Elements of Beer Brand - Focusing on the Label Design of China and Global Beer Packages, The Korea Contents Society, 20(1): 327p 

  14. K. S. Kim. & H. S. Kang. (2010). The influence that cognitive and emotional reponses have on product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 in visual image of the package. (28). 197-210p 

  15. S. G. Mun. (2001). A Study on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of Packaging Design. Journal of Korean Society for Product Culture and Design. 4(0): 73-101p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