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신규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현실충격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효과
Effe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Reality Shock in New Graduate Nurses 원문보기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18 no.4, 2017년, pp.317 - 324  

이서영 (대구파티마병원) ,  서순림 (경북대학교 간호대학)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신규간호사의 간호근무환경과 현실충격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자기효능감의 효과를 규명하여 신규간호사가 경험하는 현실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대안을 마련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기간은 2015년 6월 15일부터 2015년 8월 31일까지였으며, 연구대상은 일 지역 소재 3개의 종합병원과 2개의 대학병원에서 근무하는 1년 미만의 신규간호사를 대상으로 편의추출 방식으로 수집하였으며 260명을 표본으로 하였다. 자료는 기술적 통계, 단순회귀분석, 조절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대상자의 간호근무환경은 평균 $3.06{\pm}.313$점, 현실충격은 평균 $2.73{\pm}.401$점, 사회적 지지는 평균 $3.90{\pm}.623$점 그리고 자기효능감은 평균 $3.73{\pm}.519$점이었다. 현실충격에 대해 사회적 지지(F=16.744, p<.001) 및 자기효능감(F=40.616, p<.001)은 직접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또한, 간호근무환경과 현실충격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F=7.743, p<.001) 및 자기효능감(F=14.676, p<.001)이 현실충격에 대해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따라서 신규간호사가 간호근무환경에서 경험하는 현실충격을 감소시켜 줄 것으로 기대되는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프리셉터 교육의 표준화 및 맞춤형 멘토 프로그램 등의 프로그램 개발과 자기효능감을 높일 수 있는 프로그램 운영을 제언하는 바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social support and self-efficac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reality shock among new graduate nurses. The participants were 260 nurses who had worked for less than 1 year at 3 general hospitals and 2 university...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규간호사가 간호근무환경에서 경험하는 현실충격에 대해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의 직접효과를 규명하고 더 나아가 간호근무환경과 현실충격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 및 자기효능감이 조절효과가 있는지 규명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신규간호사가 간호근무환경에서 경험하는 현실충격을 감소시키는 대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것이며 궁극적으로 환자안전 및 간호의 질적 향상을 가져오게 될 것으로 기대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간호근무환경에는 어떤 것들이 포함되는가? 간호근무환경은 물리적인 환경뿐만 아니라 간호사가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개인상호작용과 인적 환경을 모두 포함한다[1]. 이러한 간호근무환경에 대해 신규간호사는 좋은 간호근무환경에서 자신이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신규간호사에게 현실충격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현실충격은 신규간호사가 취업 후 직장에서 추구하는 가치와 학교에서 배운 가치의 차이로 인해 가치관의 혼란을 느끼고 업무에 압도당하며, 지지의 상실과 지나친 간섭에 관계가 위축됨으로써 개인 삶의 전반에 부조화가 초래[4]된 상태이다. 이러한 현실충격은 혼란, 충돌, 압도, 상실, 당황, 위축, 부조화 등의 부정적인 영향[4,5]을미쳐 자신이 맡은 직무에 제대로 몰입하지 못하고 사기가 저하되며 일에 대한 동기부여 및 참여의지 부족, 직무 만족 저하를 초래[5]하게 된다. 심지어는 입사 후 5-6개월 혹은 1년 이내에 일로 인해 탈진을 경험[3]하여 결국은 이직을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선택은 간호사의 연간인력수급 계획에 차질을 초래하여 결과적으로 간호의 질과 환자안전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신규간호사가 겪는 어려움과 현실충격들은 어떠한 요인들이 있는가? 이러한 간호근무환경에 대해 신규간호사는 좋은 간호근무환경에서 자신이 질 높은 간호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신규간호사는 임상 실무에서 3교대 근무, 업무에 대한 책임 증가, 간호직에 대한 갈등, 간호업무 수행능력의 부족, 대인관계의 어려움 등[2]을 경험하고 있으며 또한, 간호사 역할 기대에 대한 자신의 기대와 간호근무환경에서의 간호사 역할 기대간의 차이로 현실충격[3]을 경험하고 있다. 현실충격은 신규간호사가 취업 후 직장에서 추구하는 가치와 학교에서 배운 가치의 차이로 인해 가치관의 혼란을 느끼고 업무에 압도당하며, 지지의 상실과 지나친 간섭에 관계가 위축됨으로써 개인 삶의 전반에 부조화가 초래[4]된 상태이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C. Friese, E. Lake, L. Aiken, J. Silber, J. Sochalski, "Hospital nurse practice environment and outcomes for surgical oncology patients", Health Service Research, vol. 43, no. 4, pp. 1145-1163, 2007. DOI: https://doi.org/10.1111/j.1475-6773.2007.00825.x 

  2. K. Christmas, "How work environment impacts retention", Nursing Economics, vol. 26, pp. 316-318, 2008. 

  3. E. T. Lake, "Development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the nursing work index", Research in Nursing & Health, vol. 25, no. 3, pp. 176-188, 2002. DOI: https://doi.org/10.1002/nur.10032 

  4. M. Kramer, "Reality shock; why nurses leave nursing", Saint Louis, CV Mosby; 1974. 

  5. K. M. Sin, J. O. Kwon, E. Y. Kim, "Factors associated with New Graduate Nurses' Reality Shock",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0, no. 3, pp. 292-301, 2014.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3.292 

  6. Y. O. Suh, K. W. Lee, "Lived Experiences of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9, no. 2, pp. 227-238, 2013.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3.19.2.227 

  7. M. J. Kim, H. Y. Kim, "The Impact of Social Support and Self-esteem on Nurses' Empowerment",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0, no. 5, pp. 558-566, 2014.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5.558 

  8. K. J. Choi, S. S. Han, "The Influence of th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Social Support of Clinical Nurse's Burnout",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19, no. 1, pp. 55-61, 2013. DOI: https://doi.org/10.14370/jewnr.2013.19.1.055 

  9. J. H. Kim, E. O. Park, "The Effect of Job-stress and Self-efficacy on Depression of Clinical Nurses", Korean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Nursing, vol. 21, no. 2, pp. 134-144, 2012. DOI: https://doi.org/10.5807/kjohn.2012.21.2.134 

  10. S. Min, H. S. Kim, Y. J. Ha, E. A. Kim, H. Y. Kim, Y. J. Kim, "The Controlling Effect of the Self Efficacy in the Job Stress of Hospital Nurse on Job Satisfaction, Turnover Intention", The Korean Academic Association or Business Administration, vol. 24, no. 1, pp. 1-21, 2011. 

  11. S. Cohen, H. Hoberman, "Positive event and social support as buffers of life changes stress", Journal of Social Psychology, vol. 13, pp. 99-125, 1983. 

  12. Y. M. Lee, "Relationships among Health behavior, Social Support, Behavior Pattern and Self-efficacy of Hospital Nurse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vol. 12, no. 11, pp. 4861-4868, 2011. DOI: https://doi.org/10.5762/KAIS.2011.12.11.4861 

  13. A. Bandura, "Self efficacy in changing societies", New York: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5. DOI: https://doi.org/10.1017/CBO9780511527692 

  14. E. H. Cho, M. N. Choi, E. Y. Kim, I. Y. Yoo, N. J. Lee, "Construct Validity and Reliabil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Practice Environment Scale of Nursing Work Index for Korean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41, no. 3, pp. 325-332, 2011. DOI: https://doi.org/10.4040/jkan.2011.41.3.325 

  15. M. Kramer, B. B. Brewer, P. Maguire, "Impact of healthy work environments on new graduate nurses' environmental reality shock", Western Journal of Nursing Research, vol. 35, no. 3, pp. 348-383, 2011. DOI: https://doi.org/10.1177/0193945911403939 

  16. J. W. Park, "A study to development a scale of social support",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Seoul, 1985. 

  17. M. Sherer, J. E. Maddux, B. Mercandnate, S. Prentice-Dunn, B. Jacobs, R. W. Rogers, "The Self-efficacy scal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Psychological Reports, vol. 51, pp. 663-671, 1982. DOI: https://doi.org/10.2466/pr0.1982.51.2.663 

  18. A. S. Jeong, "A Study on the Relations Between a Health Promoting Behaviors and Self-efficacy in General Hospital nurse", Master's thesis, Hanyang University, Seoul. 2007. 

  19. R. M. Baron, D. A. Kenny, "The moderator-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 51, pp. 1173-1182, 1986. DOI: https://doi.org/10.1037/0022-3514.51.6.1173 

  20. M. Y. Han, S. K. Sohn, S. H. Kwon, J. H. Choi, K. H. Choi, "The Relationships among Self-Efficacy, Spiritual Well-Being, and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East-West Nursing Research, vol. 20, no. 1, pp. 21-28, 2014. DOI: https://doi.org/10.14370/jewnr.2014.20.1.21 

  21. J. O. Kwon, E. Y. Kim, "Impact of Unit-level Nurse Practice Environment on Nurse Turnover Intention in the Small and Medium Sized Hospital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18, no. 4, pp. 414-423, 2012. DOI: https://doi.org/10.11111/jkana.2012.18.4.414 

  22. J. H. Kim, Y. M. Lee, H. Y. Joung, H. S. Choo, S. J. Won, S. Y. Kwon, H. J. Bae, H. K. Ahn, E. M. Kim, H. J. Jang, "Effect of Emotional Labor, Emotional Intelligence and Social Support on Job Stress in Clinical Nurses", Journal of Korean Academy of Nursing Administration, vol. 20, no. 2, pp. 157-167, 2013. DOI: https://doi.org/10.7739/jkafn.2013.20.2.157 

  23. G. L. Kim, H. J. Lee, Y. S. Cho, M. H. Kim, "The Experience of Turnover Decision Making in New Graduate Nurses", Journal of Qualitative Research, vol. 14, no. 1, pp. 23-33, 2013. DOI: https://doi.org/10.22284/qr.2013.14.1.23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