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다리근력, 균형, 보행, 재활만족도에 대한 로봇 보조 기립경사대 훈련과 체중지지 트레드밀 훈련의 효과 비교
Comparison of Robotic Tilt-table Training and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Training on Lower Extremity Strength, Balance, Gait, and Satisfaction with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5 no.4, 2020년, pp.163 - 174  

권승철 (대전대학교 보건의료대학원 물리치료학과) ,  신원섭 (대전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Robot Tilt-table Training (RTT) on the lower extremity strength, balance, gait, and satisfaction with rehabilitation,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less than six months after stroke onset), and requiring intensive rehabilitation. METHODS: A total of 29...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뇌졸중 후 초기에 시행하는 재활적 접근은 기능 회복과 신체적 수준을 향상시키는데 매우 중요하며 조기에 실시하는 집중적인 치료는 보행 및 균형, 그리고 일상생활동작 수행 능력을 회복하는데 도움이 된다[35]. 따라서 본 연구는 발병 초기 적극적인 재활치료 접근이 필요한 뇌졸중 발병 후 6개월 이내의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체중지지 트레드밀은 보행 패턴과 관련하여 많은 반복 훈련이 가능하며 이러한 반복적인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기능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운동학습 이론에 기초를 두고 있다[36].
  • 그러나 로봇 보조 기립경사대 훈련과 함께 이루어지는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의 집중 재활치료를 통한 다리 근력, 균형, 보행능력 및 재활만족도에 대한 효과를 입증하는 선행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집중적인 재활 치료가 필요한 뇌졸중 발병 후 6개월 미만의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로봇 보조 기립경사대 훈련이 다리근력, 균형, 보행능력, 및 재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두 그룹 사전사후 검사 설계(Two-Group Pretest-Posttest Design)로 본 중재연구에 선정된 대상자들은 일반 물리치료(운동치료, 기립 훈련, 기능적 전기 자극치료)를 실시하고 있는 환자이며 일반 물리치료는 치료사와 1 대 1로 시행되는 몸통 및 보행 기능 회복을 위한 운동 물리치료, 전동 기립훈련기를 사용한 기립훈련과 마비측 사지의 근력 증가 및 근육의 재학습을 위한 기능적 전기자극치료(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FES)이다. 단일 맹검법을 이용하여 무작위로 로봇 보조 기립경사대훈련군(n = 14), 비교집단인 체중지지 트레드밀훈련군(n = 15)으로 배정하였으며 30분 동안 훈련을 하였으며, 총 4주 동안 주 3일 시행하였다.
  • 본 연구는 발병 6개월 미만의 아급성기 뇌졸중 환자를 대상으로 로봇 보조 기립경사대가 다리 근력, 균형능력, 보행능력 및 재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가설 설정

  • 첫째, 로봇 보조 기립경사대 훈련 전후에 다리근력, 균형, 보행능력 및 재활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로봇 보조 기립경사대 훈련군과 체중지지 트레드밀 훈련 군간의 다리근력, 균형, 보행능력 및 재활 만족도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 본 연구의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로봇 보조 기립경사대 훈련 전후에 다리근력, 균형, 보행능력 및 재활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둘째, 로봇 보조 기립경사대 훈련군과 체중지지 트레드밀 훈련 군간의 다리근력, 균형, 보행능력 및 재활 만족도에서 차이가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Feigin VL, Lawes CM, Bennett DA, et al. Stroke epidemiology: a review of population-based studies of incidence, prevalence, and case-fatality in the late 20th century. The lancet neurology. 2003;2(1):43-53. 

  2. Johansson BB. Brain plasticity and stroke rehabilitation: the Willis lecture. Stroke. 2000;31(1):223-30. 

  3. Miller EW, Quinn ME, Seddon PG. Body weight support treadmill and overground ambulation training for two patients with chronic disability secondary to stroke. Physical Therapy. 2002;82(1):53-61. 

  4. Hesse S, Konrad M, Uhlenbrock D. Treadmill walk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versus floor walking in hemiparetic subjec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99;80(4):421-7. 

  5. Kim YH, Han TR, Jung HY, et al.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stroke rehabilitation in Korea. Brain & Neurorehabilitation. 2009;2(1):1-38. 

  6. Lee J, Kim BR. Role of Intensity and Repetition in Rehabilitation Therapy. Brain & Neurorehabilitation. 2012;5(1):6-11. 

  7. Bayona NA, Bitensky J, Salter K, et al. The role of task-specific training in rehabilitation therapies.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2005;12(3):58-65. 

  8. Ahn MH, Park KD, You YY. The effect of feedback on somesthetic video game training for improving balance of stroke patients.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2;7(4):401-9. 

  9. Jezernik S, Colombo G, Keller T, et al. Robotic orthosis lokomat: A rehabilitation and research tool. Neuromodulation: Technology at the neural interface. 2003;6(2):108-15. 

  10. Hidler J, Nichols D, Pelliccio M, et al. Multicenter randomized clinical trial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of the Lokomat in subacute stroke.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009;23(1):5-13. 

  11. Colombo G, Joerg M, Schreier R, et al. Treadmill training of paraplegic patients using a robotic orthosis.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2000;37(6):693-700. 

  12. Kim JH. Effects of robot-assisted therapy on lower limb in patients with subacute stroke.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6;17(7):459-66. 

  13. Jung KH, Ha HG, Shin HJ, et al. Effects of Robot-assisted Gait Therapy on Locomotor Recovery in Stroke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Academy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8;32(3):258-66. 

  14. Saengsuwan J, Nef T, Laubacher M, et al. Comparison of peak cardiopulmonary performance parameters on a robotics-assisted tilt table, a cycle and a treadmill. PloS one. 2015 Apr 10;10(4):e0122767 

  15. Wieser M, Haefeli J, Butler L, et al. Temporal and spatial patterns of cortical activation during assisted lower limb movement. Experimental brain research. 2010 May 1;203(1):181-91. 

  16. Calabro RS, Naro A, Russo M, et al. Do post-stroke patients benefit from robotic verticalization? A pilot-study focusing on a novel neurophysiological approach.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015 Jan 1;33(5): 671-81. 

  17. Park DS, Kim EJ, Park SW, et al. The Effectiveness of the Robot-assisted Gait Training in Non-ambulatory Chronic Stroke Patients. Rehabilitation Engineering and Assistive Technology Society of Korea. 2010; 95-96 

  18. Polese JC, Teixeira-Salmela LF, Nascimento LR, et al. The effects of walking sticks on gait kinematics and kinetics with chronic stroke survivors. Clin Biomech (Bristol, Avon). 2012;27(2):1317. 

  19. Chon SC, Chang KY, You JS. Effect of the abdominal draw-in manoeuvre in combination with ankle dorsiflexion in strengthening the transverse abdominal muscle in healthy young adults: A preliminary, randomised, controlled study. Physiotherapy. 2010;96(2):130-136. 

  20. Knols RH, Aufdemkampe G, De Bruin ED, et al. Hand-held dynamometry in patients with haematological malignancies: measurement error in the clinical assessment of knee extension strength. BMC musculoskeletal disorders. 2009;10(1):1. 

  21. Holmes JD, Jenkins ME, Johnson AM, et al. Validityof the Nintendo Wii® balance board for the assessment of standing balance in Parkinson's disease. Clin Rehabil. 2013;27(4):361-366. 

  22. Park DS, Lee DY, Choi SJ, et al.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balancia using "Wii" balance board for assessment of balance with stroke patients. J Korea Acade Industr Coop Soc. 2013;14(6):2767-72. 

  23.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 "Up & Go":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ournal of the American geriatrics Society. 1991;39(2):142-8. 

  24. Steffen TM, Hacker TA, Mollinger L. Age-and gender-related test performance in community-dwelling elderly people: Six-Minute Walk Test, Berg Balance Scale, Timed Up & Go Test, and gait speeds. Physical therapy. 2002;82(2):128-37. 

  25. Jung HS, Park HS, Park TS, et al. A survey of patient satisfaction with physical therapy services. Physical Therapy Korea. 2002;9(1):97-110. 

  26. Han KB, Shin WS. Effects of trunk position sense through visual cue deprivation balance training in subacute strok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3;8(3):327-35. 

  27. Bohannon RW. Muscle strength and muscle training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7;39(1): 14-20. 

  28. Mayr A, Kofler M, Quirbach E, et al. Prospective, blinded, randomized crossover study of gait rehabilitation in stroke patients using the Lokomat gait orthosis.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2007;21(4):307-14. 

  29. Kumar S, Yadav R. Comparison between Erigo tilt-table exercise and conventional physiotherapy exercises in acute stroke patients: a randomized trial. Archives of Physiotherapy. 2020;10(1):3. 

  30. Di Fabio RP. Adaptation of postural stability following stroke. Topics in Stroke Rehabilitation. 1997;3(4):62-75. 

  31. Flansbjer UB, Downham D, Lexell J. Knee muscle strength, gait performance, and perceived participation after stroke.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2006;87(7):974-80. 

  32. Malouin F, Potvin M, Prevost J, et al. Use of an intensive task-oriented gait training program in a series of patients with acute cerebrovascular accidents. Physical Therapy. 1992;72(11):781-9. 

  33. Kwon OH, Woo JH, Woo YK. The Effects of task-oriented treadmill gait training on the walking ability and balance of sub-acute stroke patient. J Korean Acad Ther. 2013;5(1):13-23 

  34. Kuznetsov AN, Rybalko NV, Daminov VD, et al. Early poststroke rehabilitation using a robotic tilt-table stepper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Stroke research and treatment. 2013. 

  35. Ji SG, Nam GW, Kim MK, et al. The effect of visual feedback training using a mirror on the balance in hemiplegic pati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2011;6(2):153-63. 

  36. Dobkin BH. An overview of treadmill locomotor training with partial body weight support: a neurophysiologically sound approach whose time has come for randomized clinical trials. Neurorehabilitation and neural repair. 1999;13(3):157-65. 

  37. Poli P, Morone G, Rosati G, et al. Robotic technologies and rehabilitation: new tools for stroke patients' therapy. BioMed Research International. 2013. 

  38. Calabro RS, Naro A, Russo M, et al. Do post-stroke patients benefit from robotic verticalization? A pilot-study focusing on a novel neurophysiological approach. Restorative neurology and neuroscience. 2015;33(5): 671-81. 

  39. Mehrholz J, Werner C, Kugler J, et al. Electromechanical-assisted gait training with physiotherapy may improve walking after stroke. Stroke. 2008;39(6):1929-3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