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기능적 전기자극치료를 동반한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Effect of Both Lower Extremitie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raining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Balance and Gait of Stroke Patient: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원문보기

대한물리의학회지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physical medicine, v.15 no.1, 2020년, pp.123 - 132  

김상모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일반대학원) ,  김영민 (한국교통대학교 물리치료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both lower extremitie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raining with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balance and gait of stroke patients. METHODS: Ten patients with stroke were divided randomly into two groups of five patients each who m...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게 발목관절 등 쪽 굽힘과 가쪽 벌림을 위한 기능적 전기자극 치료를 동반한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운동의 적용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 만성 뇌졸중 환자 10명을 대상으로 기능적 전기자극을 동반한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기능적 전기자극을 동반한 양측 하지의 고유수용성 신경근 촉진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의 목적에 따라 균형과 보행에 대한 변화를 분석 및 기술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질의응답

핵심어 질문 논문에서 추출한 답변
뇌졸중이란? 우리나라에서는 악성종양, 심장질환에 이어 뇌출혈 및 뇌경색에 의해 발병하는 뇌질환이 사망자 수 3위를 차지하고 있다[1]. 뇌졸중은 뇌의 혈관이 터지거나 막히면서 혈액 순환이 원활하지 못하여 발생하고 일상적인 생활의 장애를 유발하는 질병이다.[2,3].
뇌졸중 환자의 주된 증상은 무엇인가? 뇌졸중은 성인 사망의 주된 요인으로 세계보건기구는 전 세계적으로 6명 중 1명이 생애 주기 중 뇌졸중을 경험할 것이라고 하였고[4], 뇌졸중 발병 후 환자의 40%는 기능적인 손상이 남게 되고, 15∼30%는 심각한 장애가 지속되며, 손상받은 위치에 따라 신체의 운동마비, 감각 손상, 언어 기능에서 장애가 나타나게 되는데[5] 뇌졸중 환자 중 대부분은 기본적인 일상생활을 수행하기 위한 능력을 제한시키는 감각 손상, 운동 손상, 인지 손상이 결합되어 큰 악영향을 가지고 있다[6]. 뇌졸중 환자의 주된 증상은 균형적이지 못한 근력과 신체의 무게 이동 능력의 저하로 자세 조절이 어려워 마비 측 하지 쪽으로 지지가 힘들고 넘어지기 쉬우며 균형감각 결여 등으로 인한 보행 장애를 가지고 있다[7]. 이에 뇌졸중 환자의 재활치료적인 접근방법은 남아있는 기능적인 부분을 향상시켜 삶의 질을 높이고 장애를 최소화 하는 것이다[8].
보행분석기를 통해 어떤 요소들을 분석하는가? 컴퓨터와 무선 센서를 이용하여 보행의 시공간적 (spatial& temporal) 변인을 측정, 분석하는 장비인 보행분석기(G-Walk)를 사용하였다. 이 장비로 보행속도(velocity), 보행분속수(cadence), 보행순환시간(gait cycle duration)등의 시간적 보행과 걸음걸이 길이(stride length), 흔듦기(swing phase), 디딤기(stance phase), 양쪽⋅한 발 지지자세(single and double support phase)등의 기능적 보행 지수 특성을 분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3회 반복 측정한 결과값의 평균값을 기록하였다.
질의응답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Statistics Korea 2016. 2015 Death Cause Statistics. 

  2. Prange, Gerdienke B, Groothuis oudshoorn, et al.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robot-aided therapy on recovery of the hemiparetic arm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and development, 2006;43(2):171. 

  3. Adamson J, Andy B, Ebrahim S. Is stroke the most common cause of disability? Journal of stroke and cerebrovascular diseases, 2004;13(4):171-7. 

  4. World Health Organization. The top 10 causes of death. 2011. 

  5. O'Sullivan S, Schmitz TJ. Strategies to improve motor control and motor learning. Physical Rehabilitation, Assessment and Treatment icinde. Philadelphia : FA Davis Company. 2001:363-410. 

  6. Walke Catherine, Brouwer Brenda J, Culham Elsie G. Use of visual feedback in retraining balance following acute stroke. Physical therapy, 2000;80(9):886-95. 

  7. Ikai T, Kamikubo T, Takehara I, et al. Dynamic postural control in patients with hemiparesis. American journal of physical medicine & rehabilitation. 2003;82(6):463-9. 

  8. Torenbeek, Caulfield, Garrett, et al. Current use of outcome measures for stroke and low back pain rehabilitation in five European countries: first results of the ACROSS project. International Journal of Rehabilitation Research. 2001;24(2):95-101. 

  9. Allum, J.H.J. , Bloem, et al. Proprioceptive control of posture; a review of new concepts, Gait &Posture. 1998;8(3):214-42. 

  10. Kandel, Eric R. The molecular biology of memory storage: a dialogue between genes and synapses. Science, 2001;294(5544):1030-8. 

  11. Shumway-Cook A, Anson D, Haller S. Postural sway biofeedback: its effect on reestablishing stance stability in hemiplegic patients.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1988;69 (6):395-400. 

  12. Granat MH, Maxwell DJ, Ferguson AC, et al. Peroneal stimulator; evaluation for the correction of spastic drop foot in hemiplegia. Arch Phys Med Rehabil. 1996;77(1):19-24. 

  13. Chae J, Yu D. A critical review of neuromuscular electrical stimulation for treatment of motor dysfunction in hemiplegia. Assist Technol. 2000;12:33-49. 

  14. Soetanto D, Kuo C, Babic D. Stabilization of human standing posture using functional neuromuscular stimulation. J Biomech. 2001;34(12):1590-7. 

  15. Combs, S., Miller, E. W., et al. Motor and functional outcomes of a patient post-stroke following combined activity and impairment level training. Physiotherapy theory and practice.2007;23(4), 219-29. 

  16. Aoyagi Y, Tsubahara A. Therapeutic orthosis and electrical stimulation for upper extremity hemiplegia after stroke: a review of effectiveness based on evidence. Top Stroke Rehabil. 2004;11(3):9-15. 

  17. Bremner LA, Sloan KE, Day RE, et al. A clinical exercise system for paraplegics using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Paraplegia. 1992;30(9):647-55. 

  18. Yang CY, Kim TJ, Joo MC, et al. The Effect of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on the Motor Function of Lower Limb in Hemiplegic Patients. Annals of Rehabilitation Medicine. 2009;33(1):29-35. 

  19. Wee JY, Wong H, Palepu A. Validation of the Berg Balance Scale as a predictor of length of stay and discharge destination in stroke rehabilitation. Arch Phys Med Rehabil, 2003;84(5):731-5. 

  20. Berg K, Wood-Dauphinee S, David G.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 preliminary development of an instrument. Physiotherapy Canada. 1989;41:304-11. 

  21. Berg K, Wood-Dauphinee S, Williams, et al. Measuring balance in the elderly: validation of an instrument. Candian Journal of Public Health. 1992;83:S7-7. 

  22. Podsiadlo D, Richardson S. The timed"up&go" : a test of basic functional mobility for frail elderly persons, j Am geriatr soc. 1991;39:142-8. 

  23. Lindquist, Ana RR, Prado CL, et al. Gait training combining partial body-weight support, a treadmill, and functional electrical stimulation: effects on poststroke gait. Physical therapy, 2007; 87(9):1144-54. 

  24. O'Sullivan SB, Schmize TJ. Physical rehabilitation : Assessment and Treatment 4th edition. 2001:529-64. 

  25. Kim JS, Kwon YS, Jung BO, et al.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echniques on the Gait for Hemiplegic Patients. Physical Therapy Korea. 1999;1(1):121-7. 

  26. Kim WH, Park YT, Hwang SY, et al. Comparison of Effects for Application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Technique and Static Stretching on the Calf Muscle. Physical Therapy Korea. 1995;2(2):56-65. 

  27. Wang RY. Effect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the gait of patients with hemiplegia of long and short duration. Physical Therapy, 1994;74(12):1108-15. 

  28. Lee HS, An YH, Kang HJ, et al. Effect of Elastic Band Exercise Based of PNF L/E pattern on the Balance in the Elderly people. The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Physical Therapy. 2005;7(3):60-70. 

  29. Hwang BY. Effects of Proprioceptive Control on the Bal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Hemiplegia. Physical Therapy Korea. 2004;11(1):6974. 

  30. Geiger, Ruth Ann, Allen, et al. Balance and mobility following stroke: effects of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s with and without biofeedback/forceplate training. Physical therapy, 2001; 81(4):995-1005. 

  31. Collen, Fiona M, Wade, et al. The Rivermead mobility index: a further development of the Rivermead motor assessment. International disability studies, 1991;13(2):50-54. 

  32. Burridge JH, Taylor PN, Hagan SA, et al. The effects of common peroneal nerve stimulation on the effort and speed of walking: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with chronic hemiplegic patients. Clin Rehabil. 1997;11:201-10. 

  33. Neumann, Donald A. Kinesiology of the musculoskeletal system: Mosby. St. Louis.2002.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