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디지털 치의학 시대의 교합
Occlusion and articulation in digital dentistry: A review 원문보기

大韓齒科醫師協會誌 =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v.58 no.8, 2020년, pp.505 - 512  

이재현 (서울대학교치과병원 원스톱협진센터)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digitization is accelerating in all healthcare areas. In the field of dentistry, active discussions on digital dental technologies are ongoing, with increasing interest from clinicians daily. Thus far, accuracy and efficiency have primarily been emphasized in d...

주제어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성능/효과

  • 것이다. 또한, 보다 복잡하고 정교한 교합기를 사용할수록 진단 시의 진료 시간은 길어지지만, 반면에 보철물장착 시에 보철물 조정에 필요한 시간은 줄어든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즉, 정교한 교합기를 사용하지 않고 단순한 비조절성 교합기를 사용하여 보철물을 제작하게 되면 안궁이전 등의 작업이나 체크 바이트법을 통한 과로 각 분석 등의 작업이 생략되니 진단 시의 진료는 금방 끝나지만, 대신에 보철물을 장착하는 날 보철물 조정이 많이 필요하여 진료 시간이 오래 걸리게 된다는 것이다.
  • 있다. 이를 가능하게하기 위해 새로운 디지털시스템은 데이터를 XML 형식으로 기록 할 수 있으며, 악 간 관계 뿐만 아니라 하악 운동과 관련된 모든 정보를 통합 할 수 있게 되었다. 이러한 방법은 개별 환자에 맞춘 실제 생체 역학 기하학을 디지털 보철 수복에 적용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13).

후속연구

  • 현재 디지털 치의학을 이용한 보철 수복에서 우리가 CAD 프로그램 상에서 사용하는 가상 교합기가 이 표에 제시되어 있는 여러 교합기 중에 어느 교합기와 유사한 것인지를 파악하고 사용해야 할 것이며, 환자 구강 상태에 따라 해당 치료의 적응증에 맞게 선택해야 할 것이다. 디지털 치과 기술을 사용하면 종래의 진료방법보다 진료 시간이 적게 걸릴 것이라는 단순한 믿음으로 CAD 의 가상 교합기의 적응증에 맞지않는 치료를 진행한다면, 표 1에 제시되어 있듯이 인상 채득까지는 쉽고 빠르게 진행되더라도 보철물을 장착하는 날에는 오히려 진료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환자와 술자 모두에게 비효율적인 진료 경험을 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지털 치의학이 소수의 치아의 수복이나 인레이, 온레이 등의 수복에만 한정되지 않고 광범위한 보철 수복에 일상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술의 정확도나 편의성에 대한 연구 뿐만 아니라 가상 교합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디지털 치과 기술을 사용하면 종래의 진료방법보다 진료 시간이 적게 걸릴 것이라는 단순한 믿음으로 CAD 의 가상 교합기의 적응증에 맞지않는 치료를 진행한다면, 표 1에 제시되어 있듯이 인상 채득까지는 쉽고 빠르게 진행되더라도 보철물을 장착하는 날에는 오히려 진료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환자와 술자 모두에게 비효율적인 진료 경험을 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디지털 치의학이 소수의 치아의 수복이나 인레이, 온레이 등의 수복에만 한정되지 않고 광범위한 보철 수복에 일상적으로 적용되기 위해서는, 디지털 기술의 정확도나 편의성에 대한 연구 뿐만 아니라 가상 교합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 3D 안면 스캔 데이터를 CBCT 데이터와 중첩하는 방법은 고난도의 임플란트 케이스에서 식립 위치에 대한 치료 계획 수립을 더욱 용이하게 한다13). 또한 3D 안면 스캔을 통해 특히 복잡한 보철 수복이 필요한 환자에게 가능한 치료 결과를 가상으로 시뮬레이션해 제시함으로써 환자와의 의사 소통에 도움을 주고 치료에 대한 기대치나 치료 결과를 협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현재는 고가의 안면 스캔 장비를 따로 구매하지 않더라도 스마트폰의 카메라와 안면인식 기능을 활용한 응용 프로그램 (Dental Pro App, Bellus 3D, Los Gatos, CA, USA)으로도 치과 임상에 활용 가능한 수준의 3차원 안면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게 되었다(그림 1).
  • 이러한 유형의 기술을 개발하는 회사는 치의학 분야에 동적 스캔을 도입하기 위해 열심히 노력하고 있고, 이는 진단, 치료 계획 및 치과의사와 치기공사에게 제공 할 수 있는 정보를 크게 향상시킬 것이다. 보철 치료 전 또는 치료 중의 객관적인 평가를 통해 임상의는 치료 계획을 평가하거나 보철 수복의 결과를 모니터링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활용하여 기능 장애나 잠재적 장애를 발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보철 수복에 따른 심미적 결과와 구사하는 발음을 미리 시뮬레이션해 볼 수도 있다13, 16).
  • 향후 이러한 과정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환자 개인의 하악의 움직임과 기준 평면을 기반으로 각각의 환자에 대한 맞춤형으로 개별화한 것을 바탕으로 설계를 하는 프로세스를 운영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더 높은 수준의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며, 일반적인 환자들 뿐만 아니라 기능 장애나 수직 고경의 소실 같은 복잡한 보철 수복이 필요한 상황을 가진 환자들을 디지털 치의학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 줄 것이다13).
  • 향후에도 이러한 기술은 계속 발전하여 일상적인 치과 진료를 더욱 용이해지도록 향상 시킬 것이다. 증강현실 안경을 쓰고 CBCT를 기반으로 한 가상 임플란트 계획을 바탕으로 구강 내에 직접 이미지를 투영 시켜 수술을 하게 되는 흥미로운 방법도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25).
  • 생성된 외형은 제한된 공간에 통합 될 때까지 동적으로 자체 조정된다. 향후 이러한 과정을 더욱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환자 개인의 하악의 움직임과 기준 평면을 기반으로 각각의 환자에 대한 맞춤형으로 개별화한 것을 바탕으로 설계를 하는 프로세스를 운영해야 한다. 이러한 방법은 더 높은 수준의 보철물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해 줄 것이며, 일반적인 환자들 뿐만 아니라 기능 장애나 수직 고경의 소실 같은 복잡한 보철 수복이 필요한 상황을 가진 환자들을 디지털 치의학 방법으로 치료할 수 있는 가능성을 높여 줄 것이다13).
  • 24) 이를 활용하여 디지털 디자인을 실시간으로 보면서 환자와 의사 소통을 할 수 있고, 환자가 복잡한 치료 결과를 미리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치과의사도 치료를 보다 예측 가능하고 효율적으로 수행 할 수 있다. 향후에도 이러한 기술은 계속 발전하여 일상적인 치과 진료를 더욱 용이해지도록 향상 시킬 것이다. 증강현실 안경을 쓰고 CBCT를 기반으로 한 가상 임플란트 계획을 바탕으로 구강 내에 직접 이미지를 투영 시켜 수술을 하게 되는 흥미로운 방법도 개발될 수 있을 것이다25).
  • 보철 수복에도 그대로 적용될 것이다. 현재 디지털 치의학을 이용한 보철 수복에서 우리가 CAD 프로그램 상에서 사용하는 가상 교합기가 이 표에 제시되어 있는 여러 교합기 중에 어느 교합기와 유사한 것인지를 파악하고 사용해야 할 것이며, 환자 구강 상태에 따라 해당 치료의 적응증에 맞게 선택해야 할 것이다. 디지털 치과 기술을 사용하면 종래의 진료방법보다 진료 시간이 적게 걸릴 것이라는 단순한 믿음으로 CAD 의 가상 교합기의 적응증에 맞지않는 치료를 진행한다면, 표 1에 제시되어 있듯이 인상 채득까지는 쉽고 빠르게 진행되더라도 보철물을 장착하는 날에는 오히려 진료 시간이 더 오래 걸리는, 환자와 술자 모두에게 비효율적인 진료 경험을 하게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6)

  1. Gopal G, Suter-Crazzolara C, Toldo L, Eberhardt W. Digital transformation in healthcare - architectures of present and future information technologies. Clin Chem Lab Med. 2019;57(3):328-335. 

  2. Weber GM, Mandl KD, Kohane IS. Finding the missing link for big biomedical data. JAMA. 2014;311(24):2479-2480. 

  3. Joda T, Waltimo T, Pauli-Magnus C, Probst-Hensch N, Zitzmann NU. Population-Based Linkage of Big Data in Dental Research.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18;15(11):2357. 

  4. Di Fiore A, Meneghello R, Graiff L, Savio G, Vigolo P, Monaco C et al. Full arch digital scanning systems performances for implantsupported fixed dental prostheses: a comparative study of 8 intraoral scanners. J Prosthodont Res. 2019;63(4):396-403. 

  5. Latham J, Ludlow M, Mennito A, Kelly A, Evans Z, Renne W. Effect of scan pattern on complete-arch scans with 4 digital scanners. J Prosthet Dent. 2020;123(1):85-95. 

  6. Buduru S, Mesaros A, Talmaceanu D, Baru O, Ghiurca R, Cosgarea R. Occlusion in the digital era: a report on 3 cases. Med Pharm Rep. 2019;92(S3):S78-S84. 

  7. Franklin P, McLelland R, Brunton P. An investigation of the ability of computerized axiography to reproduce occlusal contacts. Eur J Prosthodont Restor Dent. 2010;18(1):17-22. 

  8. Maestre-Ferrin L, Romero-Millan J, Penarrocha-Oltra D, Penarrocha- Diago M. Virtual articulator for the analysis of dental occlusion: an update. Med Oral Patol Oral Cir Bucal. 2012;17(1):e160-e163. 

  9. Solaberrieta E, Etxaniz O, Otegi JR, Brizuela A, Pradies G. Customized procedure to display T-Scan occlusal contacts. J Prosthet Dent. 2017;117(1):18-21. 

  10. Gwilliam JR, Cunningham SJ, Hutton T. Reproducibility of soft tissue landmarks on three-dimensional facial scans. Eur J Orthod. 2006;28(5):408-415. 

  11. Naudi KB, Benramadan R, Brocklebank L, Ju X, Khambay B, Ayoub A. The virtual human face: superimposing the simultaneously captured 3D photorealistic skin surface of the face on the untextured skin image of the CBCT scan. Int J Oral Maxillofac Surg. 2013;42(3):393-400. 

  12. Jayaratne YS, McGrath CP, Zwahlen RA. How accurate are the fusion of cone-beam CT and 3-D stereophotographic images? PLoS One. 2012;7(11):e49585. 

  13. Att W, Witkowski S, Strub J. Digital Workflow in Reconstructive Dentistry. 1st Edition. Quintessence Publishing Co., Inc. 2019. 

  14. Popat H, Richmond S, Playle R, Marshall D, Rosin P, Cosker D.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 an exploratory study. Part 1: assessment of facial movement. Orthod Craniofac Res. 2008;11(4):216-223. 

  15. Popat H, Richmond S, Playle R, Marshall D, Rosin P, Cosker D.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 an exploratory study. Part 2: reproducibility of facial movement. Orthod Craniofac Res. 2008;11(4):224-228. 

  16. Popat H, Richmond S, Zhurov AI, Rosin PL, Marshall D. A geometric morphometric approach to the analysis of lip shape during speech: development of a clinical outcome measure. PLoS One. 2013;8(2):e57368. 

  17. Mehl A, Blanz V, Hickel R. A new mathematical process for the calculation of average forms of teeth. J Prosthet Dent. 2005;94(6):561-566. 

  18. Mehl A. A new concept for the integration of dynamic occlusion in the digital construction process. Int J Comput Dent. 2012;15(2):109-123. 

  19. Kordass B, Gartner C, Sohnel A, Bisler A, Voss G, Bockholt U et al. The virtual articulator in dentistry: concept and development. Dent Clin North Am. 2002;46(3):493-506. 

  20. Sutherland J, Belec J, Sheikh A, Chepelev L, Althobaity W, Chow BJW et al. Applying Modern Virtual and Augmented Reality Technologies to Medical Images and Models. J Digit Imaging. 2019;32(1):38-53. 

  21. Farronato M, Maspero C, Lanteri V, Fama A, Ferrati F, Pettenuzzo A et al. Current state of the art in the use of augmented reality in dentistry: a systematic review of the literature. BMC Oral Health. 2019;19(1):135. 

  22. Joda T, Gallucci GO, Wismeijer D, Zitzmann NU. Augmented and virtual reality in dental medicine: A systematic review. Comput Biol Med. 2019;108:93-100. 

  23. Kwon HB, Park YS, Han JS. Augmented reality in dentistry: a current perspective. Acta Odontol Scand. 2018;76(7):497-503. 

  24. Joda T, Gallucci GO. The virtual patient in dental medicine. Clin Oral Implants Res. 2015;26(6):725-726. 

  25. Joda T, Bornstein MM, Jung RE, Ferrari M, Waltimo T, Zitzmann NU. Recent Trends and Future Direction of Dental Research in the Digital Era. Int J Environ Res Public Health. 2020;17(6):1987. 

  26. Rosenstiel SF, Land MF, Fujimoto J. Contemporary Fixed Prosthodontics. 5th Edition. Mosby. 2015. 

관련 콘텐츠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