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소프트웨어 사교육의 양극화 현상 분석
Analysis of Polarization in Software Private Education 원문보기

정보교육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v.25 no.6, 2021년, pp.871 - 878  

이재호 (경인교육대학교) ,  심재권 (고려대학교 영재교육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에서는 가구의 월평균 전체 사교육비와 소프트웨어 및 인공지능 관련 사교육비, 그리고 학업성취 간 관계를 분석하여 소프트웨어 교육의 양극화 실태를 조명하였다. 이를 위해 전국의 초등학생 자녀를 둔 학부모 2,7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상관분석과 차이검증을 수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소프트웨어 교육 참여 여부에 따라 자녀의 학업성취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자녀의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소프트웨어 사교육에 참여하는 비율도 현격히 증가하는 경향성을 확인하였다. 셋째, 총 사교육비와 소프트웨어 관련 사교육비는 유의미한 정적 상관이 있었다. 넷째, 소프트웨어 사교육비와 학업성취도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는 않았으나 정적 상관이 존재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부모는 공교육에서 제공하는 소프트웨어 교육이 충분하지 않은 탓에 사교육 참여와 그 지출 규모를 늘리고 있고, 가구소득에 따라 미래 인재로 성장하기 위한 주요 역량을 키우는 데에 격차가 존재한다는 문제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analyzed the polarization of software education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verage monthly total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software education expenditure, and academic achievement.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and analyzed by surveying 2,780 parents of element...

주제어

참고문헌 (20)

  1. etnews(2018). https://m.etnews.com/20180315000301, 2018.03.15. 

  2. Hankookilbo(2021). https://www.hankookilbo.com/News/Read/A2021031818590001744, 2021.03.22. 

  3. Jeon, H.R., Shim, J.H.(2018). The longitudinal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among middle-and high-school students. The Journal of Korea Education, 45(3), 61-91. 

  4. Kim, D. Y., Park M.H.(2020).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s of private tutoring in Korea.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1(1), 1-27. 

  5. Kim, Y.S.(2021). The Effect of the Parent's Economic Capital on the English Language Learner's Social Capital and Achievement in the Middle School. Journal of P 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13(1), 1-18. 

  6. Kim, K.S.(2021). A survey of gifted parents' perception of information subject.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5(1), 49-58. 

  7.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2012). The effect of after school programs on reducing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2012 Position Paper, 9(20-10)). Seoul, Korea: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8. Lee, J.H.(2021). Elementary school information education plan for nurturing SW and AI talent. Communications of the Korean Institute of Information Scientists and Engineers, 39(9), 8-21. 

  9. Lee, J.H. Kim, K.S., Kim. C.W., Kim, J.H., Kim, H.R, Ma, D.S., Park, S.J., Sohn, W.S., Ahn, S.H., Hur, K., Shim, J.K.(2021). Analysis of Elementary School Parents' Motivation for Participation in Private Software Education.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information Education, 25(2), 239-247. 

  10. Lee, N.S., Rew, K.H.(2018). The Futur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Gifted Education: Study on Enhancing English Proficiency in Coding to Expand and Develop Gifted Education for Computer Science. The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Gifted and Talented, 16(4), 79-109. 

  11. Lee, S.L., Han, Y.S.(2018). The Impact of Private Educational Expenditure on Children's Academic Performance: Focusing on the Moderating Effect of Parenting Style. Journal of Consumer Studies, 29(4). 119-138. 

  12. Lee, Y.J., Kim, J.K.(2019). A Longitudinal Study on the Effects of Private Education on Academic Achievement : The Mediating Role of Fixed Mindset.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5(1), 5-25. 

  13. Ministry of Education(2021). Education Basic Statistics for 2021 

  14. Paik, I.W.(2007). Education Economics. Seoul: Hakjisa. 

  15. Park, H.J., Sang, K.A., Kang, J.Y.(2008). Effect of Private Tutoring on Middle School Students'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Evaluation, 21(4), 107-127. 

  16. Statistics Korea(2020). Interim results of the 2019 nationwide business survey, 2020.12.29. 

  17. Statistics Korea(2021). 2020 Private Education Expense Survey Results. 

  18. Yang, J.H., Han H.J(2018). Longitudinal Analysis of Private Tutoring Expenditure in KLIPS Using A Polarization Index and Gini Coefficient.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20(6), 3139-3153. 

  19. Yeo, H.D., Kang, H.K.(2020). A Study on the Methodology for AI Gifted Education in the Era of AI - Focused on AI+ST Learning Method. Journal of Gifted/Talented Education, 30(2), 89-111. 

  20. Yoo, J.B., Kang, M.S.(2020). A Study on Teachers' Perceptions on the Problems and their Solution of Reducing Private Tutoring. Journal of Education & Culture, 26(3), 163-18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