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행성의 공전 운동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의 이해와 설명 모델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Planetary Revolution Movement and Their Explanatory Models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0 no.1, 2021년, pp.1 - 12  

맹승호 (서울교육대학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investigated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understanding of the planetary revolution movement of Mars and their explanatory models to show how the Sun-Earth-Mars system worked. An assessment item set using five celestial maps drawn from the Stellarium was designed to probe pre-service ...

주제어

표/그림 (13)

참고문헌 (12)

  1. 교육과학기술부(2011). 초등학교 과학 5-2. 서울: 금성출판사. 

  2. 교육부(2015). 초등학교 과학 5-1. 서울: 미래엔. 

  3. 교육부(2019). 초등학교 과학 5-1. 서울: 비상교육. 

  4. 맹승호, 이기영(2018). 지구의 공전과 별자리의 겉보기 운동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공간적 추론 발달 경로의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4), 481-494. 

  5. 맹승호, 이기영, 박영신, 이정아, 오현석(2014). 순위 선다형 문항을 이용한 천문 시스템 학습 발달과정 개발 및 타당화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8), 703-718. 

  6. Calderon-Canales, E., Flores-Camacho, F. & Gallegos-Cazares, L. (2013). Elementary students' mental models of the solar system. Astronomy Education Review, 12, 1-17. 

  7. Plummer, J. D. (2014). Spatial thinking as the dimension of progress in an astronomy learning progression. Studies in Science Education, 50, 1-45. 

  8. Richards, T. (2012). Using kinesthetic activities to teach Ptolemaic and Copernican retrograde motion. Science & Education, 21, 899-910. 

  9. Sharp, J. G. (1995). Children's astronomy: Implications for curriculum developments at Key Stage 1 and the future of infant science in England and Wales.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Years Education, 3(3), 17-49. 

  10. Sharp, J. G. (1996). Children's astronomical beliefs: A preliminary study of Year 6 children in south-west England.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18(6), 685-712. 

  11. Sharp, J. G. & Kuerbis, P. (2006). Children's ideas about the solar system and the chaos in learning science. Science Education, 90, 124-147. 

  12. Yu, K. C., Sahami, K. & Denn, G. (2010). Student ideas about Kepler's laws and planetary orbital motions. Astronomy Education Review, 9, 1-17.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