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초등교사의 과학 PCK 개념화를 위한 시론(試論)적 고찰 - 교사의 전문지식과 기능 모델(합의 모델) 및 수정된 합의 모델의 복합적 관점 -
An Introductory Review for the Conceptualization of Elementary Teachers' Science PCK: Synthesized Perspective of the Teache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s Model (Consensus Model) and the Revised Consensus Model 원문보기

초등과학교육 = Journal of Korean elementary science education, v.43 no.1, 2024년, pp.201 - 217  

맹승호 (서울교육대학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는 2012년 제1차 PCK 서밋에서 제안된 교사의 전문지식 및 기능 모델(합의 모델)과 2016년 제2차 PCK 서밋에서 제안된 수정된 합의 모델의 복합적 관점에 근거하여 2012년부터 2023년까지 국내 KCI 등재 학술지에 출판된 초등교사의 과학 PCK 연구 논문 11편을 심층 분석 및 재해석하여 초등교사의 과학 PCK 개념화를 위한 시론적 고찰을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문헌에서 초등교사의 과학 PCK는 주로 Magnusson et al.(1999)의 PCK 요소에 근거하여 교사의 전문지식 기초를 분석하여 도출되었으며, 주제 수준 또는 교과 수준에서 '실행된 PCK' 또는 '개인적 PCK'로 분석된 경우가 많았다. 또한, 정서적 요인을 반영한 개인적 PCK 연구는 수정된 합의 모델의 관점에서 볼 때 '집합적 PCK'의 특성을 일부 포함하였다. 초등교사의 과학 PCK는 교사 개인의 경험에서 분석되는 실행된 PCK뿐만 아니라 전문가의 관점에서 규정된 집합적 PCK 및 개인적 PCK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개념화하는 것이 필요함을 제안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introductory review study sought to conceptualize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teaching (science PCK) by reinterpreting 11 science PCK research papers published in the Korean Journal Database from 2012 to 2023 based on the synthesized perspective of the m...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49)

  1. 강훈식(2022).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 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및 영향 요인 탐색. 초등과학교육, 41(3), 553-568.? 

  2. 곽영순(2022). 가족유사성 접근을 통한 과학 PCK 변화?탐색.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2), 235-248.? 

  3. 김민환, 김혜린, 노태희(2022). 예비과학교사의 NOS 수업?계획 및 시연에서 나타나는 NOS-PCK 분석: 2015개정?교육과정에 따른 '과학탐구실험' 교과의 맥락에서. 대한화학회지, 66(2), 150-162.? 

  4. 김민환, 신해민, 노태희(2020).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수업에 대한 교과교육학 지식(NOS-PCK) 탐색: 과학탐구실험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4), 399-413.? 

  5. 김병수, 임진영(2014). 교과별 PCK에 기초한 초등 교사의?수업 전문성 신장 방안.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5), 1-23.? 

  6. 김선아, 이신영, 김희백(2015). 협력적 성찰과 과학 논변수업 실행에서 드러난 교사의 논변특이적 PCK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6), 1019-1030.? 

  7. 김지수, 최애란, 양정은(2023). 과학 교사의 PCK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23(4), 467-494.? 

  8. 박원미, 곽영순(2022). 논증구조 수업설계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 지구과학 교사의 과학논증 PCK 발달 모델 제안.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15(1), 76-90.? 

  9. 박종원, 윤혜경, 이인선(2021). 이론과 실행의 관계를 고려한 과학 교사의 내용 지식과 교수 내용 지식 개념에?대한 논의. 교원교육, 37(3), 187-209.? 

  10. 서권수, 서혜애(2018). 초등과학 영재교육 담당교사의 교사변인별 과학영재교육 교수방법 전문지식에 대한 인식 차이. 영재교육연구, 28(2), 223-241.? 

  11. 신채연, 송진웅(2020). 불간섭주의와 교사협력: 과학수업을 위한 두 초등교사의 교사협력 사례 연구. 초등과학교육, 39(1), 100-116.? 

  12. 신채연, 송진웅(2021). 한 초등 경력교사의 과학수업에서?나타나는 과학 교수지향과 PCK 요소들 사이의 관련성?탐색: 물체의 운동과 빛과 렌즈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1(2), 155-169.? 

  13. 양정은, 최애란(2022). 교사학습공동체 과학 교사의 PCK?요소 간 상호작용. 대한화학회지, 66(1), 15-30.? 

  14. 엄장희, 김희백(2020). 과학 모델링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수업 실행 변화: 모델링 PCK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40(5), 543-563.? 

  15. 오영재(2010). 한국 초등학교 교사문화의 특성과 교육 행정적 함의. 한국교육논단, 9(2), 111-136.? 

  16. 이기영, 이정아(2016). 천문 수업에 대한 초등 교사의 주제-특이적 PCK 발달과정 탐색: 태양계 행성의 크기와?거리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629-641.? 

  17. 이선경, 오필석, 김혜리, 이경호, 김찬종, 김희백(2009). 과학 교사의 교수내용지식과 실천적 지식에 관한 연구 관점 고찰. 한국교원교육연구, 26(1), 27-57.? 

  18. 이정아, 이기영(2017). 지구 공전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주제-특이적 PCK 발달과정 탐색을 위한 사례 연구. 초등과학교육, 36(4), 405-427.? 

  19. 이현주(2016). 과학기술 관련 사회쟁점 교육을 위한 교과?교육학적 지식(SSI-PCK) 요소에 대한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6(4), 539-550.? 

  20. 인수정, 최애란(2018).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과학 탐구?교수 효능감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8(3),?379-392.? 

  21. 임효진, 강훈식(2022).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과학?PCK에 대한 학업 열정 수준 비교. 초등과학교육, 41(4), 690-700.? 

  22. 주은정(2018). 초등교사들의 학교 안 자연 기반 생태교육?실행연구에서 나타난 생태교육 PCK 확장 과정. 환경교육, 31(1), 1-22.? 

  23. 차유미, 강훈식(2020). PCK에 근거한 초등학교 교사의 과학영재수업과 발명영재수업 구성과 실천의 특징 비교.?초등과학교육, 39(3), 338-352.? 

  24. 채유정, 이기영, 박재용(2023). 초등학교 과학 교사가 인식하는 PCK, 그릿, 교수 효능감 사이의 구조적 관계.?한국과학교육학회지, 43(4), 389-402.? 

  25. Abell, S. K. (2007). Research on Science Teacher Knowledge. In S. K. Abell & N. Lederman (eds.), Handbook?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pp. 1105-1149).?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26. Avraamidou, L. & Zembal-Saul, C. (2005). Giving priority?to evidence in science teaching: A first-year elementary?teacher's specialized practices and knowledge. Journal?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2(9), 965-986.? 

  27. Beijaard, D., & Verloop, N.(1996). Assessing teachers'?practical knowledge. Studies in Educational Evaluation,?22, 275-286.? 

  28. Carlson, J., & Dachler, K. (2019). The Refined Consensus?Model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Education. In: Hume, A., Cooper, R ., Borowski, A.?(eds), Repositio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Science. Singapore:?Springer.? 

  29. Chan, K., & Hume, A. (2019). Towards a Consensus Model: Literature Review of How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s Investigated in Empirical?Studies. In: Hume, A., Cooper, R., Borowski, A. (eds),?Repositio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Teachers' Knowledge for Teaching Science. Singapore:?Springer.? 

  30. Connelly, F. M., & Clandinin, D. J. (1988). Teachers as?curriculum planners.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31. Elbaz, F. (1981).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Report of a case study. Curriculum Inquiry, 11, 43-47.? 

  32. Elbaz, F. (1983). Teacher thinking: A study of practical?knowledge. London: Croom Helm.? 

  33. Enochs, L., & Riggs, I. (1990). Further development of an?elementary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A preservice elementary scale. School Science and?Mathematics, 90(8), 694-706.? 

  34. Friedrichsen, P. J., Abell, S. K., Pareja, E. M., Brown, P.?L., Lankford, D. M., & Volkmann, M. J. (2009). Does?teaching experience matter? Examining biology teachers'?prior knowledge for teaching in an alternative certification program.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46(4), 357-383.? 

  35. Friedrichsen, P., Driel, J. H. V., & Abell, S. K. (2011).?Taking a closer look at science teaching orientations.?Science Education, 95(2), 358-376.? 

  36. Gess-Newsome, J.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An Introduction and Orientation. In J. Gess-Newsome?& N. G. Lederman (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p. 3-17). Boston: Kluwer Academic?Publisher.? 

  37. Gess-Newsome, J. (2015). A Model of Teacher Professional Knowledge and Skill Including PCK: Results of the?Thinking from the PCK Summit. In Re-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Education (pp.?38-52). Routledge.? 

  38. Gough, D., Oliver, S., & Thomas, J. (2012). An Introduction to Systematic Reviews. London: Sage Publications.? 

  39. Grossman, P.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College Press.? 

  40. Kwak, Y. (2017). Research on the characteristics of science subject matter knowledge (SMK) and pedagogical?content knowledge (PCK) of primary school teachers?in classroom teaching. Journal of Korean Earth Science?Society, 38(5), 367-377.? 

  41. Loughran, J., Milroy, P., Berry, A., Gunstone, R., & Mulhall, P. (2001). Documenting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rough PaP-eRs. Research in?Science Education, 31(2), 289-307.? 

  42. Loughran, J., Mulhall, P., & Berry, A. (2004). In search of?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science: Developing?ways of articulating and documenting professional practice.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1(4),?370-391.? 

  43.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Teaching. In Examining Pedagogical?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for Science Education (pp. 95-132). Dordrecht: Springer.? 

  44. National Research Council. (1996). The National Science?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National Academy Press.? 

  45. Nelson, M. M., & Davis, E. A. (2012). Preservice elementary teachers' evaluations of elementary students' scientific models: An aspec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tific modeling. International Journal of?Science Education, 34(12), 1931-1959.? 

  46. Park, S., & Oliver, J. (2008b). Revisiting the conceptualis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CK): PCK?as a conceptual tool to understand teachers as professional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8, 261-284.? 

  47. Settlage, J. (2013). On acknowledging PCK's shortcomings.?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4, 1-12.? 

  48.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2), 4-14.? 

  49.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57(1), 1-22.?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