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숙잠 함유 복합물의 알코올 대사 및 숙취개선 효능평가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Hangover-releasing agent containing freeze-dried mature silkworm larval powder (SMSP) on alcohol metabolism and hangover improvement 원문보기

한국식품과학회지 = Korean journal of food science and technology, v.53 no.1, 2021년, pp.72 - 77  

우미선 (종근당건강(주) R&D본부) ,  차지현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  김용환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강희택 (충북대학교 의과대학 가정의학교실) ,  김현덕 (종근당건강(주) R&D본부) ,  조경원 (종근당건강(주) R&D본부) ,  박성선 (종근당건강(주) R&D본부) ,  이종훈 (가천대학교 식품생물공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숙취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숙취를 직접적으로 유발하는 물질인 아세트알데하이드의 조절이 가장 중요한 인자로 작용한다. 숙잠을 함유하는 복합물인 시험식품(CKDHC)의 섭취로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가 대조식품 대비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여 숙취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특히, 30분부터 각 시간별(mg/L),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 최고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Cmax)의 감소를 통해 30분부터 빠른 숙취개선 효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주원료로 사용된 숙잠은 Ji 등(2016a)에 따르면 18종의 아미노산 및 무기질을 모두 함유하며, 고단백 식용곤충으로 간에 좋은 주요 아미노산인 Alanine, Arginine 등을 많이 함유하여 간의 효소활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알수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숙잠을 함유하는 시험식품이 숙취해소제로 작용할 수 있으며, 특히 음주 전 섭취시 아세트알데하이드를 빠르게 분해하여 30분부터 숙취 개선에 효과가 있음을 입증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ilkworms have traditionally been used to produce silk and textiles. However, steamed and freeze-dried mature silkworm larval powder (SMSP) contain large amounts of amino acids, vitamins, and essential mineral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the potential of SMSP as a hangover-relieving agent. Thir...

주제어

표/그림 (8)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제안 방법

  • 5h), 1, 2, 4, 8h에 혈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분석 농도를 측정하여 각 시간 별 측정값을 통해 체내 흡수 그래프를 얻었다. 그래프를 통해 체내 흡수된 물질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인정되는 최고 혈중농도 (Cmax), 최고 혈중농도 도달시간(Tmax), 전체시간동안의 생체 흡수율을 나타내는 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 Area Under the Curve)을 구하였다.
  • 방문이 이뤄지는 동안 시험대상자는 동일한 식단을 유지하였다. 방문 2, 3에 알코올 섭취 30분 전에 시험식품 또는 대조식품을 섭취한 30분 후부터 알코올(20도 소주 1병, 약 5 unit)을 적당량의 안주와 함께 섭취하였다. 알코올은 정해진 시간에 동일 용량을 일정한 간격으로 1시간에 걸쳐 섭취하였다.
  • 방문1 이후 방문 2는 7일 이상, 10일 이하의 휴식기를 가졌다. 방문1에 무작위배정, 방문 2에 CP군 14명은 명은 시험식품(CKDHC 숙취해소제), PC군 16명은 대조식품(Placebo)을 복용하도록 하였다. 방문3에는 CP군 14명은 대조식품(Placebo), PC군 16명은 시험식품(CKDHC 숙취해소제)을 복용하도록 하였다(Fig.
  •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숙잠을 함유하는 복합물의 알코올 대사 및 숙취개선 효능을 평가하였고, 이를 검증하기 위하여 무작위배정, 이중맹검, 위약대조, 교차실험 설계 인체적용시험을 수행하였다. 시험결과, 숙잠을 함유하는 복합물은 음주 후 발생하는 아세트알데하이드의 혈중 농도를 저하시켜 숙취증상 개선에 효능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 인체적용시험대상자의 선정, 제외기준에 적합한 30명을 확보하고,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위약 대조, 교차설계 인체적용시험으로 설계하였다. 선정평가 당일 무작위배정 하였고, CP군(방문1: CKDHC 숙취해소제, 방문2: Placebo) 혹은 PC군(방문1: Placebo, 방문2: CKDHC 숙취해소제)중 한 군에 배정하고 이중눈가림 절차를 따라 복용했다. 방문1 이후 방문 2는 7일 이상, 10일 이하의 휴식기를 가졌다.
  •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혈액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시험대상자의 팔 또는 손등의 정맥에 커테터를 삽입하고, 매 시점에서 5mL를 채혈한 후, 혈액을 그 자리에서 원심분리(3, 000rpm, 15분, 4 C)하여 혈청을 분리하여 분석 센터로 이동하여 실시간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GC HPLC (Agilent 7890A GC system, Agilent, CA, USA)로 분석하였다.
  • 시험식품

    시험식품(CKDHC 숙취해소제)은 효능원료인 숙잠을 함유하는 정제(1, 000mg*2정) 및 음료(100mL), 대조식품(Placebo)은 숙잠원료를 대체한 정제(1,000mg*2정) 및 동일한 음료(100mL)를 섭취하게 하였다. 숙잠을 함유하는 정제의 효능을 평가하기 위하여, 시험군 및 대조군이 동일한 정량의 음료를 섭취하였다.

  • 시험자의 판단에 따라 비정상적인 검사결과가 나온 대상자는 제외하였다. 시험에 참여하기 위한 안전성 평가는 혈액학적검사로 간기능효소검사(AST, ALT, γ-GTP)를 통해 간기능이 정상적인지 확인하였다.
  • 혈중 알코올 농도는 혈액 및 호기검사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혈액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시험대상자의 팔 또는 손등의 정맥에 커테터를 삽입하고, 매 시점에서 5mL를 채혈한 후, 혈액을 그 자리에서 원심분리(3, 000rpm, 15분, 4 C)하여 혈청을 분리하여 분석 센터로 이동하여 실시간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 음주 전 및 음주 후 30분(0.5h), 1, 2, 4, 8h에 혈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중 알코올 농도는 혈액 및 호기검사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 음주 전 및 음주 후 30분(0.5h), 1, 2, 4, 8h에 혈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분석 농도를 측정하여 각 시간 별 측정값을 통해 체내 흡수 그래프를 얻었다. 그래프를 통해 체내 흡수된 물질의 동태를 파악하기 위한 파라미터로 인정되는 최고 혈중농도 (Cmax), 최고 혈중농도 도달시간(Tmax), 전체시간동안의 생체 흡수율을 나타내는 농도-시간곡선하 면적(AUC, Area Under the Curve)을 구하였다.
  • 본 연구는 차의과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과제번호: 1044308-201904- H- 018-02)을 받아 진행하였다. 인체적용시험대상자의 선정, 제외기준에 적합한 30명을 확보하고, 이중눈가림, 무작위배정, 위약 대조, 교차설계 인체적용시험으로 설계하였다. 선정평가 당일 무작위배정 하였고, CP군(방문1: CKDHC 숙취해소제, 방문2: Placebo) 혹은 PC군(방문1: Placebo, 방문2: CKDHC 숙취해소제)중 한 군에 배정하고 이중눈가림 절차를 따라 복용했다.
  • 5h), 1, 2, 4, 8h에 혈중 알코올과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를 측정하였다. 혈중 알코올 농도는 혈액 및 호기검사를 통하여 측정하였다.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는 혈액검사를 통해 측정하였다.
  •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 농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혈중 아세트알데하이드 및 혈중 알코올 농도를 음주 전(0h), 음주 후 30분(0.5h), 1, 2, 4, 8h에 측정하여 PP Set으로 시험 식품(CKDHC)과 대조식품(Placebo)의 차이를 분석하여 Fig. 3, 4에 나타냈다.
  • 시험대상자의 팔 또는 손등의 정맥에 커테터를 삽입하고, 매 시점에서 5mL를 채혈한 후, 혈액을 그 자리에서 원심분리(3, 000rpm, 15분, 4 C)하여 혈청을 분리하여 분석 센터로 이동하여 실시간으로 분석을 진행하였다.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GC HPLC (Agilent 7890A GC system, Agilent, CA, USA)로 분석하였다. GC system 측정 표준품 시약으로 Acetaldehyde (Cat.

대상 데이터

  • 혈중 알코올 및 아세트알데하이드의 농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하여 GC HPLC (Agilent 7890A GC system, Agilent, CA, USA)로 분석하였다. GC system 측정 표준품 시약으로 Acetaldehyde (Cat.00070, Sigma- Aldrich, MO, USA) 및 Ethyl alcohol (Cat.459836, Sigma-Aldrich) 를 사용하였다. 호기 알코올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기화학식 음주측정기(Creative Applications of Sensor, Korea)를 사용하였다.
  • 본 실험의 연구 대상자는 만 19세 이상, 만 40세 이하의 음주 후 숙취경험이 있는 자로, 시험시작 1주 이내에 시험에 지장을 줄 우려가 있을 만큼의 음주를 한 자 및 알코올 대사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되는 약물 복용자는 제외하였다. 본 연구는 차의과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과제번호: 1044308-201904- H- 018-02)을 받아 진행하였다.
  • 인체적용시험대상자는 방문1에 채혈하기 전 8시간 금식 상태로 내원하여 다음의 항목을 검사하였다. 시험자의 판단에 따라 비정상적인 검사결과가 나온 대상자는 제외하였다.

데이터처리

  • 05로 설정하여 양측검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항목의 결과는 평균(Mean)±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로 표기하였고, 군간 평균 차이는 p-value가 <0.05이면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 통계분석은 SAS (Version 9.4, SAS Institute, Cary, NC, USA)를 이용하여 유의수준 0.05로 설정하여 양측검정을 실시하였다. 측정 항목의 결과는 평균(Mean)±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로 표기하였고, 군간 평균 차이는 p-value가 <0.

이론/모형

  • 459836, Sigma-Aldrich) 를 사용하였다. 호기 알코올을 측정하기 위하여 전기화학식 음주측정기(Creative Applications of Sensor, Korea)를 사용하였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0)

  1. Cho MR, Cho YW. A study of folk remedies in Type II diabetic patients. Korean J. Nutr. 31: 1151-1157 (1998) 

  2. Cho MR, Cho YW, Chung SH, Ryu JH. Effects of silkworm powder on blood glucose and lipid levels in NIDDM (Type II) patients. Korean J. Nutr. 31: 1139-1150 (1998) 

  3. Chung SH, Kim MS, Ryu KS. Effect of silkworm extract on intestinal α-glucosidase activity in mice administered with a high carbohydrate-containing diet. Korean J. Seri. 39: 86-92 (1997) 

  4. Hawkins RD, Kalant H. The metabolism of ethanol and its metabolic effects. Pharmacol. Res. 24: 67-157 (1972) 

  5. Ji SD, Kim NS, Kweon HY, Choi BH, Yoon SM, Kim KY, Koh YH. Nutrient compositions of Bombyx mori mature silkworm larval powders suggest their possible health improvement effects in humans. Journal of Asia-Pacific Ent. 19:1027-1033 (2016a) 

  6. Ji SD, Kim NS, Kweon HY, Choi BH, Kim KY, Koh YH. Nutrition composition differences among steamed and freeze-dried mature silkworm larval powders made from 3 Bombyx mori varieties weaving different colored cocoons. Int. J. Indust. Entomol. 33: 6-14 (2016b) 

  7. Kim KY, Sung KB, Kim YS. Health functional food and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ilkworm products having silk protein. Korea Patent 10-1546446 (2015) 

  8. Lieber CS. Metabolism of ethanol. Vol. I, pp. 1-35. In: Medical and Nutritional Complications of Alcoholism. Lieber CS. Kluwer Academic Publishers, Norwell, MA, USA (1992) 

  9. Lin RC, Li TK. Effects of isoflavones on alcohol pharmacokinetics and alcohol-drinking behavior in rats. Am. J. Clin. Nutr. 68: 1512s-1515s (1998) 

  10. Park EM, Ye EJ, Kim SJ, Choi HI, Bae MJ. Eliminatory effect of health drink containing Hovenia Dulcis thunb extract on ethanol-induced hangover in rats. Korea J. Food Culture 21: 71-75 (2006)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