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가상현실 기반 중재가 지적장애학생의 일상생활 기술 및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
Effects of VR based Intervention on Daily Living Skills and Class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2, 2021년, pp.155 - 162  

이태수 (전남대학교 특수교육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이 연구의 목적은 가상현실 기반 중재가 지적장애 학생의 일상생활 기술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 것이었다. 전남지역에 거주하는 중학교 2-3학년 지적장애학생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중재방법에 따라 세 집단으로 배치하였다. A집단은 가상현실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중재, B집단은 직접 체험 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중재, C집단은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직접 체험 활동을 결합한 중재에 참여하였다. 중재는 7월 4주부터 8월 3주까지 4주 동안 진행되었고, 일주일에 4회씩 총 16회기의 중재가 이루어졌다. 평가는 사전 평가와 사후 평가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일원분산분석으로 분석하였고, 사후 분석으로는 scheffe'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C집단이 A집단과 B집단보다 일상생활 기술을 유의미하게 향상시켰고, C집단은 B집단보다 수업태도를 유의미하게 향상시켰다. 이를 통해 가상현실 프로그램과 체험활동을 결합한 중재가 일상생활 기술 및 수업태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 중에 하나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effects of VR-based intervention on daily living skills and class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do this, 30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e second and third grades of middle school were selected for this study and pl...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마지막으로 A, B, C집단 모두 중재가 끝난 후 얼마나 일상생활 기술과 수업태도가 변화하였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사후 평가를 하였다.
  • 이 연구는 VR 기반 중재가 지적장애 학생의 일상생활기술과 수업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파악하는데 주요한 목적이 있었다. 연구 결과에 따른 논의는 다음과 같다.
  • 이 연구에서는 VR 기반 중재가 지적장애학생의 가정에서의 일상생활 기술 및 수업 태도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하였다.
  • 중재가 끝난 후에는 얼마나 일상생활 기술과 수업 태도가 변화하였는지 파악하기 위하여 사후 평가를 하였다. 사후 평가는 일상생활 기술 평가와 수업태도 평가로 진행되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Ministry of Education. (2014), Basic curriculum, Sejong: Ministry of Education. 

  2. Y. B. Lee. (2018). The perception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on the need of virtual reality contents for improvement of daily living skills in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Master's dissertation. Dankook university, Gyeonggi. 

  3. M. L. M. Camacho. (1998). Virtual reality, a new tool for a new educational paradigm. Educational Media International, 35(4), 226-271. 

  4. T. S. Lee & Y. P. Kim. (2017). Developing and exploring the possibility of virtual reality based communication training program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7(11), 342-353. 

  5. F. Ke, T. Im, X. Xue, X. Xu, N. Kim & S. Lee. (2015). Experience of adult facilitators in a virtual reality based social interaction program for children with autism.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48(4), 290-300. 

  6. P. J. Standen & D. J. Brown. (2006). Virtual reality and its role in removing the barriers that turn cognitive impairments into intellectual disability. Virtual Reality, 10, 241-252. 

  7. J. S. Kom. (2020). The effects of immersive virtual reality-based simulation learning program on the communication competence and learning attitude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cusing on a convenience store situation.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20(1), 553-561. 

  8. M. Beirne-Smith, R. F. Ittenbach & J. R. Patton, Mental Retardation (6th). Pearson Education. 

  9. S. W. Oh. (2004). The effect of integrative subject program for improving daily living skills of students with developmental delay according to supports intensity scale.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Theory and Practice, 5(4), 229-249. 

  10. M. S. Jang & E. K. Kim. (2012). The effects of self-management training on eating behavior of a student with asperger syndrome. Journal of Emotional & Behavioral Disorders, 28(3), 59-81. 

  11. H. J. Yoo & Y. C. Lee. (2012). The effects of self monitoring strategy with picture and explanation cues on the learning of sweeping skills for children with mild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13(4), 313-337. 

  12. Y. P. Jeong. (2018). The effects of VR-based script interven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n contextual speak & class attitude. Master's dissert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Gwangju. 

  13. Y. J. Kim. (2016). The effects of virtual reality based experience job training in group home on the coffee shop juice cooking skills of individual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special & Gifted Education, 3(1), 15-53. 

  14. T. S. Lee. (2019). The effect of virtual reality based intervention program on communication skills in cafe and class attitude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3), 157-165. 

  15. P. Mitchell, S. Parsons & A. Leonard. (2007). Using virtual environments for teaching social understanding to 6 adolescents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37, 589-600. 

  16. N. Josman, M. H. Ben-Chaim, S. Friedrich & P. L. Weiss. (2008). Effectiveness of virtual reality for teaching street crossing skills to children and adolescents with autism. International Journal on Disability and Human Development, 7, 49-56. 

  17. S. Parsons & P. Mitchell. (2002). The potential of virtual reality in social skills training for people with autistic spectrum disorders. Journal of Intellectual Disability Research, 46(5), 430-443. 

  18. K. B. Choi & S. H. Cho. (2020). Convergence effect of virtual reality program on activities of daily living ability in stroke patients: Meta-analysi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8), 63-70. 

  19. E. Y. Cheon. (2019). English conversation system using artificial intelligent of based on virtual reality.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11), 55-61. 

  20. J. Y. Jeong, S. S. Jong, Y. J. Han & H. Jeong. (2020). A study on language anxiety and learning achievement through immersive virtual reality english conversation program.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1(1), 119-130. 

  21. T. S. Lee & K. Y. Joo. (2019). Comparative analysis on special teachers' perception toward virtual reality based intervention program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10(6), 113-12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