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재택수업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효능, 학습참여와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lf-efficacy, Learning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in Home-based Course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2, 2021년, pp.337 - 345  

김경아 (혜전대학교 간호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재택수업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고자 수행되었다. 자료는 H 대학에 재학 중인 간호 대학생 324명으로부터 설문지를 통하여 수집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WIN 20.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재택수업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유의한 설명력을 갖는 요인은 학습참여(t=2.368, p=.019)이고, 이 요인의 결정계수인 R2은 .218로 21.8%의 설명력을 보여주었다. 결론적으로 재택수업 간호대학생의 학습참여를 통해 학업성취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새로운 지식과 기술을 반영하는 융·복합 교수-학습 전략과 다양한 비교과프로그램의 개발이 필요하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factors that affect the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in home-based course. Data were collected from 324 nursing students attending H university through a questionnaire. Using SPSS/WIN statistics 20.0, the data was analyzed by t-test, ANOVA, Pearson Co...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또한 학업성취도는 대학생활에 잘 적응하고, 자기 주도적으로 진로를 계발하며, 활발히 취업을 준비하는 등의 전체적인 대학생활의 성공과 연관되어 있다[7]. 따라서 재택수업 간호 대학생에게 영향력이 클 학업 성취도와 관련이 있는 요인들을 선행연구들을 통해 고찰하였다. 선행연구에서 자기가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 필요한 행위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며, 지적 행동에 영향을 주는 자기효능과 학업성취도와의 연관성을 논하고 있다.
  • 본 연구는 재택수업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효능, 학습참여,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결과에서 재택수업 간호대학생의 자기효능과 학습참여, 학업성취도는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재택수업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학습참여로 파악되었다.
  • 본 연구는 재택수업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효능, 학습참여,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또한 연구는 대학생활에서의 충실도와 학습량이 많은 간호 대학생의 학점에 중요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해 보고자 하였으며, 구체적인 목적은 다음과 같다.
  • 본 연구는 재택수업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효능, 학습참여, 학업성취도와의 관계와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 본 연구는 재택수업 간호대학생의 자기주도 학습능력, 자기효능, 학습참여,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파악하였고,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였다.
  • 이러한 관계 파악은 앞으로도 계속될 가능성이 높은 재택수업에서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비교과프로그램과 교수-학습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 이런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는 코로나19의 유행상황에서 재택수업을 받고 있는 간호대학생의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러한 관계 파악은 앞으로도 계속될 가능성이 높은 재택수업에서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비교과프로그램과 교수-학습전략을 개발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함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3)

  1. Y. W. Im & O. H. Lee. (2008). A study on relations among the learning participation, learning satisfac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cyber learners. The Journal of Yeolin Education, 16(2), 177-200. 

  2. S. H. Kim & S. H. Lee. (2015). The influence of job-seeking stres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self-esteem and academic achievement on nursing students' happiness. Korean Journal of Adult Nursing, 27(1), 63-72. DOI: 10.7475/kjan.2015.27.1.63 

  3. S. M. Ahn. (2020). The influence of academic self-efficac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problem solving ability on nursing freshmen' college adjustment in the distance education during COVID-19.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10), 315-323. DOI: 10.14400/JDC.2020.18.10.315 

  4. S. K. Chung. (2014). Effects of nursing stud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academic achievement.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5(12), 7160-7169. DOI: 10.5762/KAIS.2014.15.12.7160 

  5. M E Kim, M. J. Kim, Y. I. Oh & S. Y. Jung. (2020). The effect of online substitution class caused by COVID-19 on learning motivation, instructor-learner interaction, and class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20(17), 519-541. DOI: 10.22251/jlcci.2020.20.17.519 

  6. Y. S. Seo & C. Y. Jeong. (2017). The relations between self-efficacy, college life adapt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Korean Clinical Health Science, 5(4), 1040-1047. DOI: 10.15205/kschs.2017.12.31.1040 

  7. J. W. You. (2020). An analysis of changes in academic achievement according to university students' participation in learning communities; the case of A university. Journal of Educational Studies, 51(1), 29-52. DOI: 10.15854/jes.2020.3.51.1.29 

  8. H. S. Cho. (2007). A study on the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elf-directed learning, academic achievement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Health Information and Health and Statistics, 32(2), 57-72. 

  9. J. C. Shin, T. S. Shin & J. S. Jung. (2008). Causal relations between colleg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its factors.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26(1), 287-313. 

  10. Chen G, Gully MS & Eden D. (2001). Validation of a new general self-efficacy scale. Organizational Research Methods, 4(1), 62-83. 

  11. M. Y. Moon. (2019).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tyl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9(4), 665-675. DOI: 10.21742/AJMAHS.2019.27.04.63 

  12. M. Y. Moon. (2018).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ademic achievement, learning attitude and learning style of nursi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18(21), 929-948. DOI: h10.22251/jlcci.2018.18.21.929 

  13. H. J. Kim & O. B. Kim. (2016). Analysis of the factors affecting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participating in learning community. Asia-pacific Journal of Multimedia Services Convergent with Art, Humanities, and Sociology, 6(6), 195-206. DOI: 10.14257/AJMAHS.2016.06.23. 

  14. S. J. Lee, Y. K. Jang, H. N. Lee & K. Y. Park. (2003). A study on development of measuring tools for life capability: focusing on communication ability, problem solving ability, and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Seoul :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15. J. J. Lee. (2016). Development of engagement scale in E-learning environment. Masters Thesis. Chung-Ang University, Seoul. 

  16. M. H. Jeong. (2017). Effects of character, nursing professionalism and self-efficacy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in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18(9), 302-314. DOI: 10.5762/KAIS.2017.18.9.302 

  17. M. S. Kim & S. Y. Yun. (2017). Effects of eating habits and self-efficacy on nursing students' health promotion behaviors: in convergence era.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7(2), 111-117. DOI: 10.22156/CS4SMB.2017.7.2.111 

  18. C. S. Park & Y. J. Ko. (2019). Relationship betwee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nursing process confidence of nursing students. Journal of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20(10), 68-75. DOI: 10.5762/KAIS.2019.20.10.68 

  19. S. Kang. (2018). A study on learning attitude, class participation, and learning satisfaction of nursing students in fundamental nursing curriculum.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6(4), 289-297. DOI: 10.14400/JDC.2018.16.4.289 

  20. E. J. Kim, D. H. Seo & E. J. Ki. (2020). Influence of task value and academic self-efficacy on learning engagement in nursing education using smart learning.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18(7), 229-236. DOI: 10.14400/JDC.2020.18.7.229 

  21. J. R. Kim. (2014).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intrinsic motivation, learning strategies, academic engag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focusing on gender differences of high school students. Asian Journal of Education, 15(1), 93-113. 

  22. Y. C. Cho. (2020). A study on how to develop korean online course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constraints. KOED, 124, 297-324. DOI: 10.15734/koed.124.202009.297 

  23. H. J. Lee, Y. S. Kim & Y. W. Kim. (2012). Utility and application of e-sports in UDL-based inclusive physical education. The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Theory and Practice, 21(2), 215-234. DOI: 10.19049/JSPED.2020.21.2.09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