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Tumor necrosis factor α - induced protein3의 발현과 NF-κB 활성 억제를 통한 동과자의 염증반응 억제 효과
Donggwaja Suppresses Inflammatory Reaction Via Tumor Necrosis Factor α-induced Protein3 and NF-κB 원문보기

동의생리병리학회지 = Journal of physiology & pathology in Korean Medicine, v.35 no.1, 2021년, pp.15 - 21  

김균하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한방내과) ,  최준용 (부산대학교 한방병원 한방내과) ,  주명수 (부산대학교 한의학전문대학원)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Donggwaja (Benincasae Semen), the seed of Benincasa hispida (Thunb.) Cogn., has been used in Korean traditional medicine to control the body heat and water retention caused by various diseases. Both the symptoms targeted by the herbal medicine in clinic and studies with disease mouse models support ...

주제어

표/그림 (5)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Nrf2는대표적인 염증 억제인자이다. 따라서 이 실험에서는 동과자 추출물이 염증억제 인자 Nrf2의 발현을 촉진함으로써 염증을 억제할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RAW 264.
  • 비록 이 연구 결과들이 동과자의 항염증 효과를 비롯하여 다양한 효능을 가지고 있을 가능성을 제시하지만, 구체적이고 다양한 항염증 기전을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동과자가 A20의 발현을 유도하고 NF-kB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을 억제할 가능성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 본 연구는 동과자가 염증억제인자 A20의 발현을 유발하고 염증 촉진인자 NF-κB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대식세포의 주요 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발현을 억제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이 결과는 동과 자가 적어도 대식세포의 염증반응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질환 치료에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 본 연구에서는 동과자의 항염증 효과를 세포 실험으로 확인하고, 구체적인 염증억제 기전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대식세포인 RAW 264.
  • 그러나 동과자가 어떤 기전으로 사이토카인과 염증 촉진 인자의 생성을 억제하는 지에 대해 잘 알려져 있지 않다. 본연구에서는 동과자 에탄올 추출물을 이용하여 동과자가 TNFAIP3 의 발현을 유도하고, NF-κB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조절에 기여할 가능성에 대한 실험적 근거를 제시하고, 이를 통해 고전에 기록된 동과자 약효에 대해 실험적 근거를 마련하고자 한다.
  • 위 결과에서 동과자 추출물이 NF-kB의 활성을 억제하였으므로 이번 실험에서는 동과자 추출액이 상위 억제 signal을 활성하여 NF-kB 활성을 억제할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TNFAIP3 (A20)는 TLR4에 결합하는 adaptor molecule을 조절하여 NF-kB 활성을 억제하므로 동과자 추출물이 A20의 발현을 조절할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 활성화 된 NF-kB는 세포질에서 핵으로 이동하여 염증반응에 관여하는 다양한 유전자를 전사 한다19). 이 실험에서는 동과자추출물이 NF-kB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을 억제할 가능성을 조사하였다. RAW 264.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4)

  1. Fujiwara N, Kobayashi K. Macrophages in Inflammation. Curr Drug Targets Inflamm Allergy. 2005;4(3):281-6, 

  2. Kimbrell DA, Beutler B. The evolution and Genetics of Innate Immunity. Nat Rev Genet. 2001;2(4):256-67. 

  3. Zhang H, Wu ZM, Yang YP, Shaukat A, Yang J, Guo YF, Zhang T, Zhu XY, Qiu JX, Deng GZ, Shi DM. Catalpol Ameliorates LPS-induced Endometritis by Inhibiting Inflammation and TLR4/NF-kappaB Signaling. J Zhejiang Univ Sci B. 2019;20(10):816-27. 

  4. Israel A. The IKK Complex, a Central Regulator of NF-kappaB Activation. Cold Spring Harb Perspect Biol. 2010;2(3):a000158. 

  5. Wertz IE, O'Rourke KM, Zhou H, Eby M, Aravind L, Seshagiri S, Wu P, Wiesmann C, Baker R, Boone DL, Ma A, Koonin EV, Dixit VM. De-ubiquitination and Ubiquitin Ligase Domains of A20 Downregulate NF-kappaB Signalling. Nature. 2004;430(7000):694-9. 

  6. Catrysse L, Vereecke L, Beyaert R, van Loo G. A20 in Inflammation and Autoimmunity. Trends Immunol. 2014;35(1):22-31. 

  7. Lin SC, Chung JY, Lamothe B, Rajashankar K, Lu M, Lo YC, Lam AY, Darnay BG, Wu H. Molecular Basis for the Unique Deubiquitinating Activity of the NF-kappaB Inhibitor A20. J Mol Biol. 2008;376(2):526-40. 

  8. Robledinos-Anton N, Fernandez-Gines R, Manda G, Cuadrado A. Activators and Inhibitors of NRF2: A Review of Their Potential for Clinical Development. Oxid Med Cell Longev. 2019;2019:9372182. 

  9. Yan C, Zhang X, Miao J, Yuan H, Liu E, Liang T, Li Q. Farrerol Directly Targets GSK-3beta to Activate Nrf2-ARE Pathway and Protect EA.hy926 Cells against Oxidative Stress-Induced Injuries. Oxid Med Cell Longev. 2020;2020:5967434. 

  10. Hwang DY. Banyakhapeon. Seoul:Yonglim Books, 2010. p. 548-9. 

  11. 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The Korean Herbal Pharmacopoeia. Republic of Korea:Ministry of Food and Drug Safety; 2020. 

  12. Al-Snafi AE. The Pharmacological Importance of Benincasa hispida. A re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harma Sciences and Research (IJPSR). 2013;4(12):165-70. 

  13. Lee KH, Choi HR, Kim CH. Anti-angiogenic Effect of the Seed Extract of Benincasa Hispida Cogniaux. J Ethnopharmacol. 2005;97(3):509-13. 

  14. Choi JY KS, Kwun MJ, Kim K.H., Joo M, Han C. Effects of Ethanol Extract of Benincasa Seeds on the Experimental Cellular Model of Nonalcholic Fatty Liver Disease. Korean J Orinet Int Med. 2012;33(4):438-47. 

  15. An SM, Kim HG, Choi EJ, Hwang HH, Lee E, Baek JH, Boo YC, Koh JS. Screening for Anti-inflammatory Activities in Extracts from Korean Herb Medicines. J Soc Cosmet Scientists Korea. 2014;40(1);95-108. 

  16. Park Gi, Lee JA. Anti-oxidant, Anti-inflammatory and Whitening Effect of Benincasa hispida Seed Extract. Journal of Convergence for Information Technology. 2020;10(7):249-56. 

  17. Park SK, Kim JJ, Sung SMi, Lee MY. Suppressive Effects of Benincasae hispida on Allergic Inflammation. Molecular & Cellular Toxicology 2009;5(4):304-9. 

  18. Kim KH, Kim DH, Jeong N, Kim KI, Kim YH, Lee M, Choi JY, Jung HJ, Jung SK, Joo M.: Therapeutic Effect of Chung-Pae, an Experimental Herbal Formula, on Acute Lung Inflammation Is Associated with Suppression of NF-κB and Activation of Nrf2, Evid Based Complement Alternat Med. 2013;2013:659459. 

  19. Zhang Q, Lenardo MJ, Baltimore D.30 Years of NF-kappaB: A Blossoming of Relevance to Human Pathobiology. Cell. 2017;168(1):37-57. 

  20. Sinnongbonchogyeong. Seoul: Euisungdang; 2012. 

  21. Kumazawa Y, Nakatsuru Y, Yamada A, Yadomae T, Nishimura C, Otsuka Y, Nomoto K. Immunopotentiator Separated from Hot Water Extract of the Seed of Benincasa cerifera Savi (Tohgashi). Cancer Immunol Immunother. 1985;19(2):79-84. 

  22. Broad A, Jones DE, Kirby JA. Toll-like Receptor (TLR) Response Tolerance: a Key Physiological "Damage Limitation" Effect and an Important Potential Opportunity for Therapy. Curr Med Chem. 2006;13(21):2487-502. 

  23. Miller SI, Ernst RK, Bader MW. LPS, TLR4 and Infectious Disease Diversity. Nat Rev Microbiol. 2005;3(1):36-46. 

  24. M Bhatia, S Moochhala. Role of Inflammatory Mediators in the Pathophysiology of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J Pathol. 2004;202:145-56.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