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조직문화 특성이 종업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 :창의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에 관한 연구
The Influence of Organizational Culture Characteristics on Employees' Innovation Behavior : A study on the mediating effect of creative self-efficacy 원문보기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JCCT = 문화기술의 융합, v.7 no.1, 2021년, pp.406 - 415  

김지웅 (국립목포대학교 경영학과) ,  강민정 (국립목포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조직문화 특성이 종업원의 혁신행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고찰하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본 연구는 조직문화 특성을 하위 요인으로 발전성, 안정성, 합리성으로 나누어 각각 혁신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또한 창의적 효능감이 조직문화 특성과 혁신행동 간의 매개를 하는지에 대해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료 수집은 기업에 재직 중인 조직구성원 80명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집 자료 분석을 위해서 SPSS와 PL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가설검증 결과, 조직문화 특성 중 안정성만이 혁신행동에 직접적 영향을 유의하게 미쳤다. 이러한 결과는 조직문화 특성과 종업원의 혁신행동 간의 연구에서 의미 있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창의적 효능감은 조직 문화 특성 (발전성, 안정성, 합리성)이 종업원의 혁신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유의하게 매개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업이 종업원이 지각하는 조직 내부 안정성 측면의 조직문화를 형성하는데 역점을 두고 종업원의 혁신행동을 이끌어 조직성과 창출을 해야함을 시사한다. 또한, 기업은 조직문화 특성 (발전성, 안정성, 합리성)이 종업원의 창의적 효능감을 높여 종업원의 혁신행동으로 이어지도록 조직 문화를 조성해야 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In this study, a research model was established and analyzed in order to examine how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affect the innovation behavior of employees. This study divided the characteristics of organizational culture into development, stability, and rationality as sub-factors...

주제어

표/그림 (7)

참고문헌 (28)

  1. J. S. Kim, "The Effect of an Organization's Culture and Characteristics on its Effectiveness,". Policy Studies in Korea, Vol. 15, No. pp.1-17. 2015. UCI(KEPA) : I410-ECN-0101-2016-350-001396370. 

  2. V. K. Robbins, "Exploring the Texture of Texts: A Guide to Socio-rhetorical Interpretation. Valley Forge, Pa: Trinity Press International. 1996. 

  3. H. J. Lee, the Corporate Culture of Korea, Seoul. Park Yeong-sa, 1999. 

  4. X. F. Xian, and M. C. Choi, "A study on the corporate culture of BYD," International Journal of Advanced Culture Technology, Vol. 8, No. 1, pp.135-140, 2020. https://doi.org/10.17703/IJACT.2020.8.1.135. 

  5. E. H. Schein, "Organizational Culture,"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Vol.45, No.2, 109-119, 1990. https://doi.org/10.1037/0003-066X.45.2.109. 

  6. J. cH. Yeoul, National Competency Standards, Young Min, 2015. 

  7. Y. M. Kwon, and H. J. Shin, "A Study on the Effect of Ethical Decision Making on Organizational Performance,"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Vol. 28, No. 1, pp.893-911. 2009. 

  8. R. T. Pascale, and A. G. Athos, The Art of Japanese Management, New York, Penguin Books, 1981. https://doi.org/10.1002/smj.4250030413. 

  9. T. E. Deal. and A. A. Kennedy, Corporate Culture: The Rites and Rituals of Corporate Life, Readings, MA: Addison-Wesley, 1982. 

  10. R. E. Quinn, and J. R. Kimberly, "Paradox, Planning and Perspective: Guidelines for Managerial Practice," Research in organizational Changes and Development, Vol. 5, JAI Press. pp.295-313. 1984. 

  11. R. E. Quinn, and M. R. McGrath, The Transformation of Organizational Cultures: A Competing Value Approach. in Frost, Peter et al.(eds), Organizational Culture, CA : Sage, Benerly Hills. 315-334. 1985. 

  12. R. Parker, and L. Bradley, "Organisational culture in the public sector: evidence from six organisa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Public Sector Management, Vol. 13, pp.125-141, 2000. DOI: 10.1108/09513550010338773. 

  13. H. Y. Kim, and T. Kim, "The Effect of Clan Culture on Market Culture of Public Organization Focusing of Mediating Effect of Women Leader's Position and Carrier,"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JCCT), Vol. 6, No. 2, pp.271-280, 2020. https://doi.org/10.17703/JCCT.2020.6.2.271. 

  14. R. M. Kanter, "When a Thousand Flowers Bloom: Structural, Collective, and Social Conditions for Innovation in Organization," Research in Organizational Behaviour, Vol. 10, pp.169-221, 1988. 

  15. J. Farr, and C. Ford, Individual innovation. In West, M. & Farr, J. (Ed.), Innovation and creativity at work: Psychological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pp.63-80, 1990. 

  16. Y. M. Paek, "Empirical Study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Problem Solving Style, LMX, Attitude, Competitive Pressure and Innovative Behavior," Korean Journal of Management, Vol. 8, No.1, pp.105-163, 2000. 

  17. R. A. Burgelman, C. M. Christensen, and S. C. Wheelwright, Strategic Management of Technology and Innovation. New York: McGraw Hill, 2004. 

  18. J. W. Ok, A Study on the Influence of Creativity on Innovation Behavior. a Master's Thesi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2010. 

  19. B. K. Bok, P. J. Ho, and C. W. Jae, "A Study on the Impact of Team Leader's Issue Leadership on Team Member's Innovation Behavior," Korean Management Association. Vol.48, No.2, pp.407-434 2019. DOI: https://doi.org/10.17287/kmr.2019.48.2.407 

  20. O. Janssen, "Job Demands, Perceptions of Effort-reword Fairness and Innovative Work Behavior," Journal of Occupational and Organizational Psychology, Vol. 73, No. 1, pp. 287-302, 2010. https://doi.org/10.1348/096317900167038 

  21. A. Bandura, "Self-efficacy: Toward a unifying theory of behavioral change," sychological Review, Vol. 84, No. 2, pp. 191-215, 1977. https://doi.org/10.1037/0033-295X.84.2.191. 

  22. A. Bandura, and D. Cervone, "Differential Engagement of Self-creative Influence in Cognitive Motivation," Organizational Behavior & Human Decision Process, Vol.38, No.3, pp.92-113, 1986. DOI: 10.1016/0749-5978(86)90028-2. 

  23. G. E. Mathisen, and K. S. Bronnick, " Creative self-efficacy: An intervention study," International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Vol. 48, No. 1, pp. 21-29, 2009. https://doi.org/10.1016/j.ijer.2009.02.009 

  24. H. S. Kim, "Gender Difference in Creative Thinking Ability, Creative Disposition, Creative Product and Creative Self-efficacy of the Korean College Students," The Korean Journal of Woman Psychology. Vol.16, No.4. pp.595-611. 2011. DOI : 10.18205/kpa.2011.16.4.010 

  25. P. Tierney, and S. M. Farmer, "Creative Self-efficacy: Its Potential Antecedents and Relationship to Creative Performanc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45, No. 6, pp.1137-1148, 2002. doi:10.2307/3069429 

  26. A. Carmeli, and J. Schaubroeck, "The Influence of Leaders' and Other Referents' Normative Expectations on Individual Involvement in Creative Work," The Leadership Quarterly, Vol. 18, No. 1, pp.35-48, 2007. https://doi.org/10.1016/j.leaqua.2006.11.001 

  27. Gong, Y., Huang, J. C., and Farh, J. L., "Employee Learning Orientation, Transformational Leadership, and Employee Creativity: The Mediating Role of Employee Creative Self-efficac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 52, No. 4, pp. 765-778, 2009. https://doi.org/10.5465/amj.2009.43670890 

  28. U. Lichtenthaler, "Open Innovation: Past Research, Current Debates, and Future Directions," The Academy of Management Perspectives, Vol. 25, No. 1, pp.75-93, 2011. https://doi.org/10.5465/amp.25.1.75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