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남부지역 논의 밀 이모작에서 하계 곡실작물 도입의 적합성
Compatibility of Double Cropping of Winter Wheat - Summer Grain Crops in Paddy Field of Southern Korea 원문보기

Korean journal of crop science = 韓國作物學會誌, v.66 no.1, 2021년, pp.18 - 28  

서종호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논이용작물과) ,  황정동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논이용작물과) ,  오성환 (국립식량과학원 남부작물부 논이용작물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남부지역 논에서 식량작물을 최대로 생산하기 위해 밀양시 국립식량과학원 시험포장에서 2015~2018년의 4년 동안 겨울밀-벼, 겨울밀-콩 및 겨울밀-곡실용옥수수의 이모작 체계의 생육기간 및 생산성을 비교하였다. 밀의 수확적기는 6월 중순으로 하작물은 6월 하순에 파종(이앙)이 가능하였다. 벼의 6월 하순 이앙 시 안전출수와 벼의 수량성 확보에는 지장이 없었지만 가을에 성숙기가 늦어 뒷그루 밀 파종에는 지장이 많았으며, 특히 중만생종 벼의 경우 수확기가 11월 상순으로 늦추어져 밀의 적기파종이 어려웠다. 콩은 6월 하순이 파종적기이므로 작기상 큰 문제가 없었으며 성숙기도 10월 중순으로 11월 상순의밀 파종에 큰 무리가 없었다. 곡실용옥수수는 6월 하순 파종 시 성숙기가 가장 빨라 밀과의 이모작에서 작기상 가장 유리하였다. 겨울밀-하작물 이모작에서 밀은 콩과 곡실용옥수수 후작에서는 안정적인 수량성을 얻을 수 있었지만 벼의 후작에서는 강우가 많은 해에는 수량이 감소할 위험성이 있었다. 벼, 콩, 곡실용옥수수의 수량성은 각각 600, 350, 800 kg/10a로 높은 수량성 확보가 가능하였고 중생종과 중만생종간의 수량성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아 중생종이 만생종보다 이모작에 유리하였다. 토양 물리성에서도 콩과 옥수수 등 밭작물의 도입 시 물리성이 좋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남부지역 논에서 밀-콩/곡실용옥수수 이모작은 작기 연결성 및 토양개선, 소득성(콩)에서 밀-벼 이모작보다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growth period and productivity of cropping system of winter wheat-rice, winter wheat-bean and winter wheat-grain corn for 4 years from 2015 to 2018 were compared at the experimental field of National Institute of Crop Science in Miryang city. The harvest period of winter wheat was in mid-June, a...

주제어

표/그림 (12)

참고문헌 (10)

  1. Hattori, M., Y. Nagumo, T. Sato, Y. Fujita, Y. Higuchi, T. Ohyama, and Y. Takahashi. 2013. Effect of continuous cropping and long-term paddy-upland rotation on yield reduction of soybean in Niigata Perfecture. Jpn J. Crop Sci. 82(1) : 11-17. 

  2. Ju, J. I., Y. G. Seung, C. G. Kim, and H. B. Lee. 2010. Planting date and hybrid influence on silage corn yield and quality at paddy field in middle region. J. Kor. Grassl. Forage Sci. 30(1) : 1-8. 

  3. Kim, M. T., J. H. Seo, H. S. Cho, K. Y. Seong, J. K. Lee, S. P. Eom, W. T. Jeon, and J. Y. Lee. 2007. Annul variation of soil properties and yield of soybean in paddy field. Korean J. Crop Sci. 52(4) : 370-374. 

  4. Kim, S. Y., J. H. Seo, H. K. Bae, C. D. Hwang, and J. M. Ko. 2018. Rice cultivars adaptable for rice based cropping systems in a paddy field in the Yeongnam plain area of Korea. Korean J. Agri. Sci. 45(3) : 355-363. 

  5. Ministry of Agriculture, Food and Rural Affair. 2019. Support for cultivating crops other than rice in paddy fields. www.mafra.go.kr/subview.do 

  6. Nishda, M. 2016. Decline in fertility of paddy soils induced by paddy rice and upland soybean rotation, and measure against the decline. JARQ 50(2) : 87-94. 

  7. Oshita, T., E. Nemoto, Y. Aoki, Y. Ueda, and M. Aoki. 2016 Comparison of chemical composition, nutritive value and production yield between high moisture shelled corn and ear corn silage. Jpn. J. Grassl. Sci. 62 : 140-145. 

  8. Seo, J. H., B. Y. Son, J. E. Lee, Y. U. Kwon, G. H. Jung, S. B. Back, J.H. Sung, and W.H. Kim. 2010. Change of growth and yield of late-planted maize cultivar for double cropping with barley. Korean J. Crop Sci. 55(3) : 232-238. 

  9. Seo, J. H., J. K. Moon, G. H. Jung, M. J. Seo, J. H. Gu, C. H. Park, W. H. Bae, S. H. Shin, and Y. U. Kwon. 2014. Change of growth stage and yield of maize according to planting time in the central districts. J. Agr. Sci. Chungbuk Nat'l Univ. 30(2) : 120-128. 

  10. Sun, H. Y., X. Y. Zhang, S. Y. Chen, D. Pei, and C. M. Liu. 2007. Effect of harvest and sowing time on the performance of the rotation of winter wheat-summer maize in the North China Plain. Industrial Crops and Products 25 : 239-24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