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문화적 특성을 고려한 공공도서관 도서 대출수요 분석 : 대구광역시 시립도서관을 사례로
Analysis of Borrows Demand for Books in Public Libraries Considering Cultural Characteristics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3, 2021년, pp.55 - 64  

오민기 (경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  김경래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  정원웅 (경북대학교 컴퓨터학부) ,  김건욱 (대구디지털산업진흥원 빅데이터활용센터)

초록

공공도서관은 거주민들의 광범위한 지식과 이념을 학습하는 공간이며, 삶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만큼 관련된 연구들이 다양하게 수행되어 왔다. 대부분의 선행연구에서 인구, 교통, 접근성, 환경 등의 변수가 도서관 이용에 관련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도서대출 이력(1,820,407건)과 회원정보(297,222명) 자료를 기반으로 문화적 특성의 변수를 반영하여 도서 대출수요와 관련성을 분석한 점이 선행연구와의 차별성이라 할 수 있다. 분석결과 기술과학 도서 대비 사회과학, 문학 도서 대출이 증가할수록 도서 대출수요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도서관 충성고객들이 도서 대출수요의 주요한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그 외 다양한 기술통계분석을 활용하여 도서관 도서대출 수요 특성을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과 연구의 한계도 제시하였다. 그리고 문화적 특성이 장소, 시점 등에 따라 변화됨을 감안하면 앞으로 관련연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Public libraries are a space where residents learn a wide range of knowledge and ideologies, and as they are directly connected to life, various related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most previous studies, variables such as population, traffic accessibility, and environment were found to be highly...

주제어

표/그림 (11)

참고문헌 (15)

  1. Y. S. Kim. (2007). A Study on the Effective Enhancement of the Public Library Infrastructure in Korea.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38(1), 29-48. DOI : 10.16981/kliss.38.1.200703.29 

  2. I. Kim & J. K. Park. (2016). An Analysis of Geographical Accessibility to Public Libraries in Metropolitan Area and Related Implications: The Case of Busan. The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Studies, 20(3), 191-221. DOI : 10.20484/klog.20.3.10 

  3. Y. Y. Kim & K. H. Yeo. (2014). Location Evaluation and Optimal Location Selection of Public Library Using a Local Space Search Approach - Focusing on the Case of Seoul City -. Journal of The Residential Environment Institute of Korea, 12(4), 55-71. DOI : 10.20484/klog.20.3.10 

  4. J. J. Won & K. H. Ahn. (2010). The Effect of Locational and Facility Characteristics on Public Library Use - Focused on Public Libraries in Seoul -.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26(2), 79-86. 

  5. S. Heo & Y. K. Chung. (2014). A Study on Public Libraries' User Behaviors Based upon Circulation Data in Gangseo and Yangcheon Region. Journal of the Korean Biblia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25(4), 187-207. DOI : 10.14699/KBIBLIA.2014.25.4.187. 

  6. H. J. Kim, J. G. Lee & K. H. Yeo. (2015). Regional Disparities and Determinants of Spatial Accessibility of Public Libraries in Seoul. The Seoul Institute, 16(4), 109-127 

  7. B. C. Park & S. W. Seo. (2015). Service Effect and Propriety Area Analysis of Public Library in Incheon Metropolitan City. Incheon Development Institute. Urban Research, (9), 217-241 

  8. J. W. Yoo & S. Y. Kim. (2015). A Study on the Assessment of Location Environment of a Regional Central Library - The Case of Daegu Metropolitan City -.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4), 427-450. DOI : kliss.46.201512.427 

  9. J. W. Yoo, B. J. Ko & D. H. Chang. (2015). A Research on the Site Selection of a Metropolitan Library : The Case of City of Busan.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49(3), 291-309. DOI : 10.4275/KSLIS.2015.49.3.291 

  10. C. H. Yu, W. M. Lee, S. H. Park & S.S.Shin. (2017). A Study on the Appropriate Location of Public Facilities. Journal of The Korean Cadastre Information Association, 19(3), 151-162. DOI : 10.46416/JKCIA.2017.12.19.3.151 

  11. S. J. Yim & C. H. Kim. (2020). Analysis of Selecting an Appropriate Location for Infrastructure Considering the Range of Service Area and Accessibility : Focusing on Public Librarie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32(3), 45-66. DOI : 10.46416/JKCIA.2017.12.19.3.151 

  12. F. J. Zakrajsek & V. Vodeb. (2020). Agent-based geographical modeling of public library locations.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42(2). DOI : 10.1016/j.lisr.2020.101013 

  13. N. S. Saman, V. Ahmadreza, K. F. Mohammad, N. Fatemeh & N. S. Najme. (2020). Spatial modeling of areas suitable for public libraries construction by integration of GIS and multi-attribute decision making: Case study Tehran, Iran.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Research, 42(2). DOI : 10.1016/j.lisr.2020.101017 

  14. T. Y. Kim, J. Y. Baek & H. J. Oh. (2018). An Analysis of Library User and Circulation Status based on Bigdata Logs A Case Study of National Library of Korea, Sejong. 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9(2), 357-388. DOI : 10.16981/kliss.49.201806.357 

  15.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2019). A Manual on Construction and Management for Public Library.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