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사의 복지테크놀로지 개념 인식과 적용 사례
Social Workers's View Regarding the Concept of Welfare Technology and Its Application 원문보기

디지털융복합연구 =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19 no.3, 2021년, pp.387 - 399  

박동진 (한영대학교 사회복지과) ,  김혜성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최희철 (강남대학교 사회복지학부) ,  최권택 (강남대학교 소프트웨어응용학부)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복지국가들은 사회복지를 위해 과학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다양한 시도를 하고 있으며, 이러한 맥락에서 복지테크놀로지는 노인, 장애인 등을 비롯하여 일반 시민들의 삶의 질을 높이는 방향으로 활용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에서는 사회복지현장의 사회복지사들이 복지테크놀로지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그리고 사회복지 분야에 복지테크놀로지를 어떻게 적용할 수 있을지, 향후 발전전망은 어떠한지 등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2018년 1월 한 달 간, 서울, 경기지역 사회복지관에서 근무하는 13명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인터뷰를 실시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수집된 자료에 대해 주제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 '복지테크놀로지의 개념', '복지테크놀로지의 필요성', '복지테크놀로지의 활용현황', '복지테크놀로지의 향후 전망'이라는 4개의 범주 및 12개의 하위범주, 24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사회복지현장에서의 복지테크놀로지 발전 및 활성화를 위한 논의 및 제언을 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Welfare countries are making various attempts to actively use science and technology for social welfare, in this context, welfare technology can be us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not only the elderly and the disable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social workers perceive welfa...

주제어

표/그림 (1)

참고문헌 (28)

  1. T. E. Kim. (2017). Use of welfare technology in Nordic countries and their implications, Health and Welfare Forum, 246, 77-87. 

  2. S. Y. Park., Y. S. Lee., C. W. Kang., H. O. Park., S. K. Bae., J. W. Lee. & S. S. Choi. (2017) Current Trends Analysis of Welfare Technology in Korea for Older Adults and People with Disabilities,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8(1), 295-304. DOI : 10.15207/JKCS.2017.8.10.295 

  3. S. W. Kim., J. H. Choi. & D. J. Park. (2017). A Qualitative Study on Use of Welfare Technology in the Long-term Care Service Provision,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2(4), 29-60. DOI : 10.21194/kjgsw.72.4.201712.29 

  4. H. Y. Kim., K. S. Kim., J. K. Ko. & S. M. Seo. (2013). Welfare meets technology: a new strategy for welfare innovation, Issue & Assesement, Suwon : Gyeonggi Research Imstitute. UCI : I410-ECN-0101-2015-300-002803338 

  5. S. K. Park. (2014). Challenges and Tasks of Convergence of Welfare Technology: Focusing o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Health and Welfare Forum, 209, 28-35. 

  6. C. W. Kang., H. W. Kang., S. W. Kim., E. H. Kim., H. Y. Kim., H. S. Kim., S. Y. Park., S. K. Bae., J. H. Ahn., J. W. Lim., Y. S. Lee., J. W. Lee., K. T. Choi., S. S. Choi. & H. C. Choi. (2018). Welfare and Technology(2nd Edition), Paju :Yangseowon. 

  7. Danish Government. (2013). Digital Welfare 2013-2020. 

  8. J. A. Lee. (2018). Trends and Challenges of Using Welfare Technology in Elderly Care, International Journal of Contents, 14(2), 30-34. 

  9. S. W. Kim. & J. H. Choi. (2018) Long-term Care Service Policy and Welfare Technology in South Korea : How Does Long-term Care Insurance Restrict the Quasi-Market for Welfare Technology?, Korea Social Policy Review, 25(1), 287-320 DOI : 10.17000/kspr.25.1.201803.287 

  10. S. C. Shin. (2014). On the aging society and issues for science and technology based welfare policy, korean policy sciences review, 8(1), 67-90. UCI : G704-000863.2004.8.1.011 

  11. Sondergard, D. (2014). Future Challenges and the Role of Welfare Technology, in Sourcebook for International Conference on Welfare Technology 'Future Challenges for Social Welfare and the Role of Welfare Technology', KIHASA, STEPI & Nordic Centre for Welfare and Social Issues. 

  12. S. H. Ahn., Y. R. Park., N. Sasaki., S. W. Kim., W. J. Shim. & K. S. Park. (2014). A study on planning a new welfare service model, a type of technological innovation, Institute of Social Welfare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Ministry of Science, ICT and Future Planning. 

  13. G. C. Ryu., (2014). Three perspectives on future welfare and technology convergence: instrumental aspects of science and technology, welfare finance, and appropriate technology, Health and Welfare Forum, 209, 5-15. 

  14. G. C. Ryu. J. Y. Seo., J. I. Kim., T. E. Kim., Y. H. Choi., J. W. Jung., S. H. Kim., D. W. Lee., J. S. Lee. & K. J. Cho. (2014). A Study on the System Building for Successful Application of Welfare Technology to Welfare System, Sejong :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15. Pollitt. C. (2012). New Perspectives on Public Services: Place and Technoloy,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16. S. K. Park. (2014). Welfare Technology Convergence: Focused on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 Health and Welfare Forum, 209, 28-35. 

  17. J. H. Choi. & S. W. Kim. (2017). A Study on Public Social Workers' Attitudes toward social security information system('Haengbok-eUm') in Public Welfare Delivery System, Social Welfare Policy, 44(4), 181-213. DOI : 10.15855/swp.2017.44.4.188 

  18. S. Y. Kim. (2018). The Influe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on the Power Dynamics between Social Welfare Bureaucrats and Recipients, Korean Journal of Social Welfare Studies , 49(1), 335-374. DOI : 10.16999/kasws.2018.49.1.335 

  19. S. W. Shim. (2002). Welfare Science and Technology Responsive to Ageing, Journal of Science & Technology Studies, 2(2), 145-189. 

  20. J. Y. Seo. (2014). Conditions of welfare-technology linkage, Health and Welfare Forum, 209, 16-27. 

  21. Reamer, F. (2012). Social Work in a digital age: ethical and risk management challenges, Social Work, 58(2), 163-172. DOI: 10.1093/sw/swt003 

  22. Gillingham. P. (2015). Electric Information System in Human Service Organisation : The What, Who, and How of Information, British Journal of Social Work, 45(5), 1598-1613. DOI: 10.1080/23303131.2014.987412 

  23. S. H. Ahn., S. W. Kim., & J. Y. Park. (2018) Preliminary Study on a Social-Enterprise-centered Model of Welfare Technology Ecosystem, Social Enterprise Studies, 10(2), 167-195. DOI : 10.32675/ses.2017.10.2.006 

  24. J. K. Kang. (2016). A study on acceptanc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based welfare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 focusing on emergency safety care service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Doctorate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Seoul. 

  25. M. Y. Kim. & H. J. Jun. (2017). The Effects of Smartphone Use on Life Satisfaction in Older Adults : The Mediating Role of Participation in Soci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2(3), 343-370. DOI : 10.21194/kjgsw.72.3.201709.343 

  26. J. K. Kim. (2018). Study on Welfare Technology and Welfare Technology Assessment for Older Adults,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8(5), 156-166. DOI : 10.5392/JKCA.2018.18.05.156 

  27. M. Cozza., L. Crevani., A. Hallin. & J. Schaeffer. (2019). Future ageing : Welfare technology practices for our future older selves, Futures, 109, 117-129 DOI :10.1016/j.futures.2018.03.011 

  28. J. G. Lim. (2019). Introduction of Welfare Technology, Summer Conference(pp.1472-1473). Seoul : The Institute of Electronics and Information Engineers.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