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보육교직원의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태도 연구
A Study on the Childcare Teachers' Attitudes Toward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3, 2021년, pp.244 - 257  

이서영 (인하대학교 아동복지학전공) ,  양성은 (인하대학교 아동심리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보육교직원의 태도를 질적방법으로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수도권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와 원장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고, 총 227명을 모집하였다. 자료수집은 시각방법론에 근거하여 젠더감수성 교육과 관련된 그림책을 이용한 프로토콜서술로 실시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중심주제 분석에 따라 이루어졌다. 젠더감수성 교육은 성역할 유연성과 성지향 개방성에 대한 내용으로 나눌 수 있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연구참여자 대부분이 성역할 유연성 교육에 대해서는 긍정적 태도를 나타냈다. 연구참여자들은 성역할 유연성이란 주제가 이미 사회적으로 포용되었고, 유아의 발달에 적합하며, 보육현장에서 실행하기에 용이하다고 인식하였다. 교육의 효과도 아동의 개별성 존중에 긍정적일 것으로 기대하였다. 한편, 성지향 개방성 교육에 대해서는 연구참여자의 53.3%가 부정적 태도를 보였다. 성지향 개방성에 대한 쟁점이 아직 사회적으로 합의되지 않았고, 발달적으로 유아보다는 청소년기 이상의 연령에 적합하며, 실제로 보육현장에 적용하기에는 관련 정보가 부족하다는 점이 지적되었다. 하지만, 연구참여자들의 40.5%가 향후 성지향 개방성에 대한 사회적 포용이 이루어질 것으로 예상하며, 보육현장에 적합한 교재와 교수방법이 개발되면 결국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성지향 개방성 교육이 이루어질 것이라는 긍정적 태도를 보였다.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쟁점으로 부각된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함께 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젠더감수성 교육에 대한 보육교직원들의 태도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여 향후 유아 젠더감수성 교육의 실천적 담론화에 이바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qualitatively explore childcare teachers' attitudes toward gender sensitivity education for early childhood. The study recruited 227 teachers and directo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around the Seoul metropolitan areas. The study utilised the interpretive sci...

주제어

표/그림 (3)

참고문헌 (43)

  1. 충청북도 음성군, "음성군 여성단체협의회, 여성친화 젠더감수성 심화교육 실시," 충청북도 음성군 보도자료, 2020.6.29. 

  2. 경기도, "경기도가족여성연구원, 경찰공무원 대상 성인지교육 실시," 경기도 보도자료, 2020.8.20. 

  3. 경상남도, "경남도, 2020 공무원 성인지 역량강화 교육 실시," 경상남도 보도자료, 2020.6.3. 

  4. 박윤경, "덴마크선 상받은 성교육 교재, '선정성' 논란속 회수," 한겨레, 2020.8.27. 

  5. 교육부, "교육부 사이트에서 사라진 성교육표준안 보도관련," 교육부 설명자료, 2016.7.7. 

  6. L. Spinner, L. Cameron, and R. Calogero, "Peer Toy Play as A Gateway to Children's Gender Flexibility: The Effect of (Counter)stereotypic Portrayals of Peers in Children's Magazines," Sex Roles, Vol.79, pp.314-328, 2018. 

  7. 이서영, 양성은, "유아 젠더감수성 교육에 관한 대학생의 태도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제29권, 제3호, pp.311-324, 2020. 

  8. L. Derman-Sparks and J. O. Edward, Anti-Bias Education for Young Children and Ourselves, NAEYC, 2010. 

  9. 이연선, 김태경, 연희정, "예비유아교사의 동성애에 대한 이미지 유형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지, 제11권, 제4호, pp.211-237, 2015. 

  10. 영유아보육법 제2조(정의). 

  11. 조현정, 장애아전문 보육 효율화 방안 연구: 장애아전문 보육교직원의 보육컨설팅 인식과 요구를 중심으로,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5. 

  12. 송현숙, 3-5세 누리과정에 대한 어린이집 보육교직원의 인식,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3. 

  13. 한국산업사회학회, 사회학, 한울, 2005. 

  14.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국립국어원, 2020. 

  15. N. Aksornkool, Gender Sensitivity: A Training Manual, UNESCO, 2002. 

  16. 김정은, "설화창작을 통한 젠더 감수성의 이해와 확장," 한국구비문학회, 제53호, pp.165-201, 2019. 

  17. 이진영, 젠더감수성(Gender Sensitivity) 측정도구 개발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11. 

  18. D. Ruble and C. L. Martin, "Gender Development," Handbook of Child Psychology: Social, Emotion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Vol.3, pp.933-1016, 1998. 

  19. https://www.apa.org/topics/lgbtq/orientation, 2020.10.28. 

  20. 한국성폭력상담소, 젠더감수성교육 매뉴얼: 지금 시작하는 젠더감수성, 한국성폭력상담소, 2013. 

  21. UNESCO, International Technical Guidance on Sexuality Education: An Evidence-informed Approach, UNESCO, 2018. 

  22. 강현진. 비폭력대화(NVC)모델에 근거한 포괄적 성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및 평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20. 

  23. E. B. Swadener, "Implementation of Education that Is Multicultural in Early Childhood Setting: A Case Study of Two Daycare Programs," The Urban Review, Vol.20, pp.8-27, 1988. 

  24. 교육부, 보건복지부, 2019 개정 누리과정 해설서, 교육부, 보건복지부, 2020. 

  25. 양미선, 조용남, 윤유나, 양성평등 어린이집 시범사업 모델 연구, 육아정책연구소, 2020. 

  26. 김경희, 김선희, "보육교사의 자기분화, 자기효능감이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289-300, 2016. 

  27. 성영실, 유아 반편견 교육과정 개발 및 적용 효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20. 

  28. G. Rose, Visual Methodologies: An Introduction to Researching with Visual Materials (3rd Ed.), Sage, 2011. 

  29. M. Van Manen, Researching Lived Experience: Human Science of An Action Sensitive Pedagogy, Routledge, 1990. 

  30. V. Braun and V. Clarke, "Using Thematic Analysis in Psychology," Qualitative Research in Psychology, Vol.3, No.2, pp.77-101, 2006. 

  31. 박소윤, 김민정, "만6세와 만9세 아동이 선호하는 그림책의 장르에 대한 질적 연구,"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6호, pp.9-21, 2017. 

  32. 윤은경, 이미나, "유아용 그림책에 나타난 유아과학교육 내용분석,"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8호, pp.588-597, 2015. 

  33. https://www.theconsciouskid.org. 2020.10.28. 

  34. R. Pearlman, Pink Is for Boys, Running Press Kids, 2018. 

  35. L. Newman, Heather Has Two Mommies, Candlewick Press, 2015. 

  36. R. E. Boyatzis, Transforming Qualitative Information: Thematic Analysis and Code Development, Sage Publications, 1998. 

  37. J. W. Cresswell, Qualitative Inquiry and Research Design: Choosing Among Five Traditions, Sage, 1998. 

  38. 한창근, "한국사회복지정책의 평가와 미래: 사회적 포용성을 중심으로," 한국사회복지학, 제69권, 제4호, pp.9-33, 2017. 

  39. 안관옥, "영화 상영 교사.....정직 3개월," 한겨레, 2020.12.18. 

  40. M. Derks, Constructions of Homosexuality and Christian Religion in Contemporary Public Discourse in The Netherlands, Utrecht University, 2019. 

  41. UNESCO, Good Policy and Practice in HIV and Health Education - Booklet 8: Education Sector Responses to Homophobic Bullying. UNESCO, 2012. 

  42. 김호현, 김충일, "누리과정에 함의된 유아교육의 주요 개념과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유아교육계의 역할," 열린유아교육연구, 제23권, 제5호, pp.55-76, 2018. 

  43. 장영인, 정민자, "어린이집 학대예방지침과 매뉴얼의 기본원칙 논의," 한국영유아보육학, 제100호, pp.25-55, 201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