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개정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 개발(Ⅰ): 검사 타당화 기초연구
Development of a Revised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R-KGES) 원문보기

보고서 정보
주관연구기관 한국여성정책연구원
Korean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연구책임자 안상수
참여연구자 김인순 , 김금미
보고서유형최종보고서
발행국가대한민국
언어 한국어
발행년월2016-12
과제시작연도 2016
주관부처 여성가족부
Ministry of Gender Equality & Family(MOGEF)
등록번호 TRKO201700005772
과제고유번호 1105011258
사업명 한국여성정책연구원
DB 구축일자 2019-11-16
DOI https://doi.org/10.23000/TRKO201700005772

초록

1. 연구목적

현재 한국에서 성평등의식을 측정하는 검사도구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것이 한국여성정책연구원(구. 한국여성개발원)에서 개발된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 (김양희・정경아, 1999)이다.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KGES)는 1999년에 개발된 이후 17년이 경과하였으며, 그 동안 양성평등 정책 및 학술 연구 등의 목적으로 사람들이 가진 ‘성차별의식/성평등’ 태도를 측정 하는 가장 일반화된 검사도구로 활용되어 왔다. 그러나 시대가 변화하듯이 그 시대를

Abstract

4. Results

A. Structure of measurement tool
- Composed of items which are relatively less impacted by changes in time
- 11 items from existing KGES included. Five items included in abridged version.
- Composed into four domains like the existing KGES
- Complete version consists of

목차 Contents

  • 표지 ... 1
  • 발간사 ... 4
  • 연구요약 ... 6
  • 목차 ... 16
  • 표목차 ... 19
  • 그림목차 ... 22
  • Ⅰ. 서 론 ... 24
  • 1. 연구목적 및 필요성 ... 26
  • 2. 연구내용 및 방법 ... 29
  • 가. 연구내용 ... 29
  • 나. 연구방법 ... 31
  • Ⅱ. 남녀평등의식 관련 국내외 척도개발 동향 ... 34
  • 1. 척도개발에서 맥락특수성의 영향 논의 ... 36
  • 가. 시간적 맥락의 영향 ... 37
  • 나. 인종 문화 맥락의 영향 ... 39
  • 다. 국가 맥락의 영향 ... 40
  • 2. 성평등/성차별주의 검사 개발 동향 ... 41
  • 가. 성역할 측정 중심의 성평등주의 척도들 ... 43
  • 나. 성차별주의를 측정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들 ... 45
  • 3. 최근의 성평등/성차별 척도 검사 개발 방향 ... 49
  • 가. 남성 성평등 척도로 ... 49
  • 나. 남녀 비분할/초월 방향의 척도로 ... 50
  • 다. 성평등 판단 준거의 제안으로 ... 53
  • 라. 직장생활영역과 가정생활영역을 넘어서 ... 57
  • 4. 척도 개정의 방향 ... 58
  • Ⅲ. 개정 남녀평등의식 검사 개발의 문항 원집합 검토 ... 60
  • 1. 구인의 정의 및 척도 구인의 설정 ... 62
  • 가. 구인의 정의 ... 62
  • 나. 척도 구인의 설정 ... 64
  • 다. 예비조사 2 ... 68
  • Ⅳ. 척도의 타당도 및 신뢰도: 예비 타당화조사의 결과 ... 92
  • 1. 예비 타당화조사의 실시 ... 94
  • 가. 예비 타당화조사의 목적 ... 94
  • 나. 본조사의 방법 ... 95
  • 2. 본조사 결과분석 ... 99
  • 가. 기초문항분석 ... 99
  • 나. 문항-척도 상관관계 ... 104
  • 다. 확인적 요인분석 ... 109
  • 라. R-KGES의 수렴 및 변별 타당도 ... 124
  • 마. R-KGES의 신뢰도 ... 129
  • 바. R-KGES의 전체 및 하위척도 간 관계 ... 131
  • 사.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R-KGES의 점수 비교 ... 133
  • Ⅴ. 개정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의 활용 및 향후 과제 ... 178
  • 1. 개정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 최종 산출물 ... 180
  • 2. 검사의 활용 및 향후 과제 ... 184
  • 가. 가족패널조사에 개정 검사를 추가함으로써, 장기적인 의식변화 추이 파악 ... 184
  • 나. 양성평등 관련 주요 정책 이슈별 성별갈등집단 파악을 통한 맞춤형 정책산출의 기초자료로 활용 ... 184
  • 다. 양성평등교육 콘텐츠 개발 및 교육효과 측정 ... 185
  • 라. 중앙・지방 공무원교육원에서 공무원대상 교육효과 측정도구로 활용 ... 186
  • 마. 성폭력, 가정폭력상담의 기초자료로 활용 ... 187
  • 바. 여성가족부 및 한국여성정책연구원의 홈페이지를 이용한 온라인 검사 도구로 활용 ... 187
  • 사. 학술연구를 위한 도구로서의 활용 ... 188
  • 참고문헌 ... 190
  • 부록 ... 194
  • 부록 1. 예비조사 1의 설문지 ... 196
  • Abstract ... 220
  • 끝페이지 ... 224

표/그림 (62)

연구자의 다른 보고서 :

참고문헌 (25)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