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수학적 주목하기에 관한 예비 중등교사들 간의 차이 발생 요인 분석 및 실천적 지식 함양 방안
A study on Analyzing the Difference Factors Occurred in the Pre-service Secondary Teachers on the Mathematical Noticing 원문보기

韓國學校數學會論文集 = Journal of the Korean school mathematics society, v.24 no.1, 2021년, pp.127 - 150  

황혜정 (조선대학교) ,  유지원 (조선대학교 대학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수학적 주목하기란 교사가 수학 수업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 중 의미 있는 현상을 알아차리고 이를 적절히 해석하는 능력을 의미하며, 최근 수학교육 분야에서 교사 전문성의 한 요소로 인정받고 있다. 본 연구는 예비 중등수학교사들의 수학적 주목하기를 비교하여 차이를 확인하고, 이들 간의 차이 발생 요인을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예비 중등교사의 수학적 주목하기를 확인할 수 있는 수업비평문을 마련하였으며, 예비 중등수학교사 18명을 대상으로 각자 모의 수업을 실연하고 이를 녹화한 동영상을 보면서 수업비평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수업비평문에 나타난 예비교사의 수학적 주목하기를 주체, 주제, 견지의 세 차원에서 분석한 결과, 주제 차원과 견지 차원에서 예비교사들 간에 수학적 주목하기의 차이가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예비교사들 간에 수학적 주목하기의 차이가 발생한 요인을 살펴본 결과, 이는 교사가 보유한 수학 내용 지식, 교수학적 내용 지식, 교육과정 지식, 신념, 경험, 목표, 실천적 지식으로 나타났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Recently, in the field of mathematics education, mathematical noticing has been considered as an important element of teacher expertise. The meaning of mathematical noticing is the ability of teachers to notice and interpret significant events among various events that occur in mathematics class. Th...

주제어

참고문헌 (40)

  1. 권나영, 이민희. (2019). 중등예비수학교사의 활동 일지에서 살펴본 노티싱의 특징.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2(1), 63-80. 

  2. 김동중, 최상호, 이주희. (2020). 담론적 역량 개발을 위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에서 예비수학교사의 인식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34(2), 41-68. 

  3. 김슬비, 이종희. (2019). 일차함수의 그래프에서 교사와 학생의 수학적 주목하기 차이에 관한 설명적 사례 연구. 이화여자대학교교과교육연구소, 23(5), 422-434. 

  4. 김승정, 이수정, 신정철, 김재근, 유준희, 이경화, 홍훈기, 강은정, 권정희, 김은경, 김지애, 김현숙, 이일, 정태실. (2015). 수학, 과학 교과 중등교원양성 교육과정의 현장 적합성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16(4), 1-30. 

  5. 김영천 (2014). 질적연구방법론.I: Bricoleur(제2판). 경기: 아카데미프레스. 

  6. 김은주. (2010). 실천적 지식의 탐색: 교사교육에의 함의와 문제. 한국교원교육연구, 27(4), 27-46. 

  7. 박미미, 김연. (2020). 수학적 논의 수업의 설계와 실행에서 교사의 주목하기. 학교수학, 22(3), 763-790. 

  8. 방정숙. (2014). 예비 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기술과 비평의 변화.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8(3), 339-424. 

  9. 방정숙, 권민성, 선우진. (2017). 수학 교육에서 노티싱(Noticing) 연구의 동향과 과제. 학교수학, 19(4), 795-817. 

  10. 방정숙, 선우진. (2015). 예비 교사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수준 분석.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19(4), 625-647. 

  11. 방정숙, 선우진. (2016). 교육실습 및 수업 논의를 통한 예비 교사들의 초등 수학 수업에 대한 비평 변화. 한국초등수학교육학회지. 20(2), 259-281. 

  12. 심상길, 이강섭. (2015). 학교현장실습이 중등 예비수학교사들의 교사의 지식에 대한 인식 변화에 미친 영향. 수학교육, 54(4), 351-363. 

  13. 유지원, 황혜정. (2020). 수학 교과에서의 교과 역량을 반영한 수업비평문 개발연구. 영남수학회, 36(4), 475-492. 

  14. 윤장호. (2019). 소수 연산에 관한 초등 교사의 학생 이해 지식과 노티싱의 상관관계.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청주. 

  15. 윤혜경, 박지선, 송영진, 김미정, 정용재. (2018). '수업을 보는 눈'으로서 교사의 전문적 시각에 대한 기준 연구의 특징과 쟁점 분석. 대한과학교육학회지, 38(6), 765-780. 

  16. 이선. (2017). 녹화된 모의수업 동영상과 동료협의를 통한 초등영어 예비교사들의 수업성찰에 대한 분석. 영상영어교육, 18(1), 233-253. 

  17. 이수진, 박종희. (2018). 과제 대화록에 나타난 중등수학 예비교사들의 수학적 주목하기: 함수 그래프 그리기 지도 상황에서. 학교수학, 20(3), 425-443. 

  18. 이윤미, 이수진. (2018). 수업평가와 수업성찰에서 나타나는 예비 중등 수학교사의 주목하기(Noticing). 학교수학, 20(1), 185-207. 

  19. 이은정, 이경화. (2016). 교사의 사전 주목하기와 수학수업에서 실제 주목하기에 대한 연구. 학교수학, 18(4), 773-791. 

  20. 이진아, 이수진. (2019). 중등 수학 예비교사의 수업 과정에서 보여지는 '수학적 주목하기(Mathmatical Noticing)'. 학교수학, 21(3), 561-589. 

  21. 이혁규. (2007). 수업 비평의 필요성과 방법에 대한 탐색적 논의. 교육인류학연구, 10(1), 155-185. 

  22. 한채린, 김희정, 권오남. (2018). 학생의 통계적 변이성 이해에 대한 수학 교사의 노티싱 변화 양상 사례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21(2), 183-206. 

  23. 황혜정, 최승현, 조성민, 박지현. (2020). 수학교육학신론2. 용인: 문음사. 

  24. Ball, D. (2011). Foreword. In M. G. Sherin, V. R. Jacobs & R. A. Philipp (Eds.), Mathematics teacher noticing. 35-50. New York: Routledge. 

  25. Barnhart, T., & van Es, E. (2015). Studying teacher noticing: Examining the relationship among pre-service science teachers' ability to attend, analyze and respond to student think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45, 83-93. 

  26. Elbaz, F. (1981). The teacher's practical knowledge: Report of a Case study. Curriculum Inquiry, 11(1), 43-71. 

  27. Huang, R., & Li, Y. (2012). What matters most: A comparison of expert and novice teachers' noticing of mathematics classroom event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12(7), 420-432. 

  28. Jacobs, V. R., Lamb, L. L. C., & Philipp, R. A. (2010). Professional noticing of children's mathematical thinking. Journal for Research in Mathematics Education, 41(2), 169-202. 

  29. Jacobs, V. R., Lamb, L. L., Philipp, R. A., & Schappelle, B. P. (2011). Deciding how to respond on the basis of children's understandings. In M. G. Sherin, V. R. Jacobs, & R. A. Philipp (Eds.), Mathematics teacher noticing: Seeing through teachers' eyes (pp. 97-116). New York: Routledge. 

  30. Lobato, J., Rhodehamel, B., & Hohensee, C. (2012). "Noticing" as an alternative transfer of learning process, Journal of the Learning Sciences, 21(3), 433-482. 

  31. Orlova, N. (2009). Video recording as a stimulus for reflection in pre-service EFL teacher training. English Teaching Forum, 47(2), 30-35. 

  32. Santagata, R., & Yeh, C. (2014). Learning to teach mathematics and to analyze teaching effectiveness: evidence from a video- and practice-based approach.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7, 491-514. 

  33. Sherin, B., & Star, J. (2011). Reflections on the study of teacher noticing. In M. G. Sherin, V. R. Jacobs, & R. A. Philipp (Eds.). Mathematics teacher noticing: Seeing through teachers' eyes. 66-78. New York: Routledge. 

  34. Sherin, M. G., & van Es, E. A. (2009). Effects of video club participation on teachers' professional vis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60(1), 20-37. 

  35. Sherin, M. G., Russ, R. S., & Colestock, A. A. (2011). Assessing mathematics teachers' in-the-moment noticing. In M. G. Sherin, V. R. Jacobs, & R. A. Philipp (Eds.). Mathematics teacher noticing: Seeing through teachers' eyes, 80-94. New York: Routledge. 

  36. Stockero, S. L., & Zoest, L. R. (2013). Characterizing pivotal teaching moments in beginning mathmatics teachers' practic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6(2), 125-147. 

  37. Star, J. R., & Strickland, S. K. (2008). Learning to observe: Using video to improve preservice mathematics teachers' ability to notice. Journal of Mathematics Teacher Education, 11, 107-125. 

  38. van Es, E. A., & Sherin, M. G. (2002). Learning to notice: Scaffolding new teachers' interpretations of classroom interactions. Journal of Technology and Teacher Education, 10(4), 571-596. 

  39. van Es, E. A., & Sherin, M. G. (2006). How different video club designs support teachers in "learning to notice". Journal of computing in teacher education, 22(4), 125-135. 

  40. van Es, E. A., & Sherin, M. G. (2008). Mathematics teachers' "learning to notice" in the context of a video club.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4(2), 244-276. 

저자의 다른 논문 :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