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이 만성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에 미치는 융복합적 효과: 메타분석
Convergenc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Dynamic Balance in Chronic Stroke : A Meta-Analysis 원문보기

한국융합학회논문지 = Journal of the Korea Convergence Society, v.12 no.4, 2021년, pp.275 - 284  

박세주 (하나로 의원) ,  이소인 (자생한방병원) ,  정호진 (자생한방병원)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을 시행한 연구를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선정기준을 연구대상 (뇌졸중 환자), 중재 방법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 비교집단 (중재 또는 비 중재방법), 연구 결과 (동적 균형) 및 연구 설계 (무작위 배정 임상실험) 유형에 맞춰 정리하였다. 총 7개의 데이터베이스에서 문헌을 검색하여 본 연구의 선정기준에 적합한 문헌 17편을 선정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R 4.0.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개별연구의 효과크기를 산출하였다. 연구의 질 평가는 코크란 그룹이 개발한 무작위배정 임상실험 연구를 평가하는 척도를 사용하였다.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의 동적 균형에 대한 전체 효과크기는 0.59 (95% 신뢰구간 : 0.41-0.77)로 중간 이상의 효과크기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동적 균형에 대한 하위항목들을 분석하였고, 버그 균형척도 (0.50), 일어나 걷기 검사 (0.78), 기능적 뻗기 검사 (0.51)의 효과크기로 나타났다. 이처럼 고유수용성신경근촉진법은 만성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 능력의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제공한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study attempted to systematically and comprehensively analyze individual studies in which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NF) was performed with chronic stroke patients. Selection criteria included type of participants (stroke patients), intervention (PNF), comparison (intervention g...

Keyword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뇌졸중 환자에 대한 PNF의 중재 방법이 동적 균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메타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는 PNF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를 제시하여 근거 중심의 중재 방법에 대한 임상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메타분석을 하고자 한다. 이를 통하여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는 PNF에 대한 객관적인 증거를 제시하여 근거 중심의 중재 방법에 대한 임상자료를 마련하고자 한다.
  • 본 연구는 PNF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균형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메타분석은 다양한 학문분야에서 개별 연구들의 결과에 대해 과학적인 검증을 위해 사용되고 있으며, 물리치료 분야에서도 특정질환에 대한 중재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다[25].
  • 생각한다. 또한 PNF가 만성 뇌졸중 환자의 동적 균형에 미치는 효과를 정량적이고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물리 치료적 중재 방법에 대한 임상적인 근거를 도출하기 위해 처음 시도된 연구라는 점에 학문적 의의가 있다고 생각한다. PNF를 더욱 효과적인 중재 방법으로 적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질환에 대한 PNF의 효과를 검증하는 후속 메타분석 연구가 계속하여 진행되길 희망한다.
  • 50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다양한 임상 현장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에게 적용하고 있는 PNF 중재 방법에 대한 표준화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처럼 개별연구의 결과들을 체계적이고 과학적으로 분석해 주는 메타분석 연구는 보건의료기술과 융합이 되어 4 차산업을 향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만들 수 있는 획기적인 변화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3)

  1. O. D. Adebayo & G. Culpan. (2019). Diagnostic accuracy of computed tomography perfusion in the predication of haemorrhagic transformation and patient outcome in acute ishaemic stroke: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European Stroke Journal, 5(1), 4-16. DOI : 10.1177/2396987319883461 

  2. R. W. Bohanon. (2007). Muscle strength and muscle training after stroke. Journal of rehabilitation Medicine, 39(1), 14-20. DOI : 10.2340/16501977-0018 

  3. V. Akuthota & S. F. Nadler. (2004). Core strnngthening. Archives of Physical Medicine and Rehabilitation, 85, 86-92. 

  4. J. Mehrholz, S. Thomas & B. Elsner. (2017). Treadmill training and body weight support for walking after stroke. Cocharane Database of Syttematic Reviews, (8). DOI : 10.1002/14651858.CD002840.pub4 

  5. C. Kisner & L. Colby. (2017). Therapeutic exercise. Philadelphia : FA.DAVIS. 

  6. A. S. Aruin. (2016). Ehnancing anticipatory postural adjustments: a novel approach to balance rehabilitation. J Nov Phsiother, 6(2), e144. DOI : 10.4172/2165-7025.1000e144 

  7. Y. Laufer, R. Dickstein, S. Resnik & E. Marcovitz. (2000). Weight-bearing shifts of hemiparetic and healthy adults upon stepping on stairs of various heights. Clinical Rehabilitation, 14(2), 125-129. DOI : 10.1191/02632150067423138 

  8. A. Sonavane & A. Limaye. (2020). Ptrvalnace of knee pain chronic stroke patient with weight asymmetry. Indian Journal of Physiotherapy & Occupational Therapy, 14(4), 1-6. DOI : 10.37506/ijpot.v14i4.11288 

  9. T. Carver, S. Nadeau & A. Leroux. (2011). Relation between physical exertion and postural stability in hemiparetic participants secondary to strlke. Gait & Posture, 33(4), 615-619. DOI : 10.1016/j.gaitpost.2011.02.001 

  10. S. W. Wood, N. Adams & R. Kerry. (2010). The use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in physiotherapy practice. Physical Therapy Reviews, 15(1), 23-28. DOI : 10.1179/174328810X12647087218677 

  11. D. A. Klein, W. J. Stone, W. T. Phillips, J. Gangi & S. Hartman.(2002). PNF training and physical function in assisted-living older adults. Journal of Aging and Physical Activity, 10(4), 476-488. DOI : 10.1123/japa.10.4.476 

  12. S. Haripriya, S. Eapen & S. R. Raghu. (2020). Improving upper limb function in a person with stroke us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appoach: a case study. Indian Journal of Physiotherapy & Occupational Therapy, 13(1). DOI : 10.1016/j.jbmt.2018.05.003 

  13. S. S Adler, D. Beckers & M. Buck. (2013). PNF in practice: an illustrated guide. London :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14. H. S. Cho, H. K. Cha & D. H. Bang. (2017). The effects of PNF upper- and-limb coordinated exercise on the balancing and walking abilities in stroke patients. PNF & Movement, 15(1), 27-33. DOI : 10.21598/JKPNFA.2017.15.1.27 

  15. H. S. Song & S. H. Kim. (2014). The effect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n lower extremity functionic stroke patients. PNF & Movement, 15(1), 27-33. DOI : 10.21598/JKPNFA.2014.12.4.225 

  16. J. Y. Lee. (2008). Meta-analysis. Endocrinology and Metabolism, 23(6), 361-378. DOI : 10.3803/jkes.2008.23.6.361 

  17. A. Rubin. (2008). Practitioner's guide to using research for evidence-based practice. New Jersey : John Wiley & Sons. 

  18. J. H. Littell, J. Corcoran & V. Pillai.. (2008). 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New York : Oxford University Press. 

  19. N. Denson & M. Seltzer. (2011). Meta-analysis in higher education: an illustrative example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52, 215-244. DOI : 10.1007/s11162-010-9196-x 

  20. W. J. Park, S. J. Park & S. D. Hwang. (2015). Effect of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on attention deficit hyperactivity disorder among school-aged children in korea : a meta-analysis. J Korean Acad Nurs, 45(2), 169-182. 

  21. M C. David. (2013). Clinicians's guide to [31]systematic reviews and meta-analysis. Nutrition in clinical Practice, 28(4), 459-462. DOI : 10.1177/0884533613490742 

  22. J. P. Higgins & S. G. Thompson. (2002). Quantifying heterogeneity in a meta analysis. Statistics in medicine, 21(11), 1539-1558. DOI : 10.1002/sim.1186 

  23. M. W. L. Chueng. (2008). A model for integrating fixed-, random-, and mixed-effects meta-analysis into structural equation mideling. Psyshological methods, 13(3), 182. 

  24. M. Borenstein, L. V. Higgins & H. R. Rothstein. (2011). Introduction to meta-analysis. New York : John Willy & Sons, Ltd. 

  25. B. R. Kim & T. W. Kang. (2019). Effectiveness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of chronic low back pain -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f studies in korea. PNF & Movement, 17(1), 157-166. DOI : 10.21598/JKPNFA.2019.17.1.157 

  26. R. W. Bohannon & D. Tinti-Wald. (1991). Accuracy of weight bearing estimation estimation by stroke versus subjects. Perceptual and motor skill, 72(3), 935-941. DOI : 10.2466/pms.1991.72.3.935 

  27. L. D. Alexander, S. E. Black, K. K. Patterson, F. Gao, C. J. Danells & W. E. Mcllroy. (2009). Association between gait asymmetry and brain lesion location in stroke patients. Stroke, 40(2), 537-544.. DOI : 10.1161/STROKEAHA.108.527374 

  28. S. Westwater-Wood, N. Adams & R. Kerry. (2010). The use of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in physiotherapy practice. Physical Therapy Reviews, 15(1), 23-28. DOI : 10.1179/174328810X12647087218677 

  29. M. W. L. Cheung. (2008). A model for integrationg fixed-, random-, and mixed-effects meta-analyses into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Psychological methods, 13(3), 182. DOI : 10.1037/a0013163 

  30. J. Cohen. (1988). Statistical power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Hillsdale, NJ : Erlbaum.abili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J Kor Phys Ther, 31(4), 236-241. DOI : 10.18857/jkpt.2019.31.4.236 

  31. D. K. Lee & T. H. Hwang. (2019). Effects of aquatic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pattern exercise on balance, gait ability and depression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J Kor Phys Ther, 31(4), 236-241. DOI : 10.18857/jkpt.2019.31.4.236 

  32. J. M. Yang, J. H. Lee & S. W. Kang. (2018). The effect of foot pressure on the irradiation of PNF upper arm pattern on standing posture with an elastic band: a randomized control trial. PNF & Movement, 16(3), 425-432. DOI : 10.21598/JKPNFA.2018.16.3.425 

  33. J. Munn, R. D. Herbert & S. C. Gandevia. (2004). Contralateral effects of unilateral resistance training: meta-analysis.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96(5), 1861-1866. DOI : 10.1152/japplphysiol.00541.2003 

활용도 분석정보

상세보기
다운로드
내보내기

활용도 Top5 논문

해당 논문의 주제분야에서 활용도가 높은 상위 5개 콘텐츠를 보여줍니다.
더보기 버튼을 클릭하시면 더 많은 관련자료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BRONZE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한시적으로 특별한 프로모션 또는 일정기간 경과 후 접근을 허용하여, 출판사/학술단체 등의 사이트에서 이용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