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MMORPG의 자아-캐릭터 동일시와 관계 내재화가 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
A Study on the Marketing Performance of Self-character Identification and Relation Internalization in MMOPRPGs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21 no.2, 2021년, pp.111 - 122  

이용국 (상명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  홍성태 (상명대학교 글로벌경영학과) ,  이원준 (청주대학교 경영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MMORPG 게임은 COVID-19 사태를 통하여 더욱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산업이다. 이에 본 연구는 MMORPG 게임의 자아-캐릭터 동일시와 사회적 관계의 내재화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확인하고, 이를 통하여 게임 아이템 유료 구매와 게임 지속의도의 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였다. 자아동일시와 내재화는 게임 몰입에 영향을 미치는 핵심 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PLS 분석 결과에 따르면, MMORPG의 캐릭터 특성과 사회적 특성이 자아-캐릭터 동일시와 관계 내재화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게 확인되었다. 또한 이들 변수들을 매개로 게임 기업의 마케팅 성과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향후 MMORPG 캐릭터 연구의 중요성을 제시하였으며, MMORPG 게임 기업의 경쟁력 향상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MMORPG game is an industry that is growing fast through COVID-19. This study confirmed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self-character identification and social relation internalization of MMORPG games and identified the factors that affect the intention to purchase items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주제어

표/그림 (6)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급속한 성장을 경험하고 있는 MMORPG에 대하여 학문적 연구 방향을 제시하고, 실무적인 발전 전략에 대한 방향을 제안한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 본 연구는 또한 MMORPG 업계에 종사하는 관련 기업들에게 수익성과 성장을 강화할 수 있는 다양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첫째, MMORPG 게임 기업이 추구하는 이용자 행동의 선행 요인이 게임 내 사회화와 캐릭터 동일시임을 확인하였다.
  • 이에 본 연구는 온라인 게임 중에서도 협업 플레이와 아이템 판매 등 다양한 수익모델의 실현으로 주력 게임 콘텐츠로 부상한 MMORPG의 이용자 분석을 통해 이들의 게임 콘텐츠 소비 행동을 분석하고, 이를 통하여 유관 기업의 이용자 경험 증대와 수익 창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가설 설정

  • 가설 10. 게임 아이템 구매의도는 게임이용 지속 의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1. 게임 캐릭터에 대한 소유권은 자아-캐릭터 동일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가설4. 동료 간 길드 소속감은 관계 내재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 3. 동료 간 혈맹관계는 관계 내재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7)

  1. Lee, H. G. and Kim, T. K, "A proposal for the application of multi-platform convergence for intrllectual property-based games", Journal of Digital Convergence, Vol. 18, No. 2, pp. 421-426, 2020. 

  2. Laato, S., Laine, T. H. and Najmul Islam, A. K. M., "Location-based games and the COVID-19 pandemic: An analysis of responses from game developers and players", Multimodal Technologies and Interaction, Vol. 4, No. 2, pp. 1-25, 2020. 

  3. Ryan, R. M. and Deci, E. I.,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Vol. 25, No. 1, pp. 54-67, 2000. 

  4. Dindar, M., "Do people play MMORPGs for extrinsic or intrinsic rewards?", Telematics and Informatics, Vol. 35, pp. 1877-1886, 2018. 

  5. Guay, F., Vallerand, R. J. and Blanchard, C., "On the assessment of situational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The situational motivation scale (SIMS)", Motivation and Emotion, Vol. 24, No. 3, pp. 175-213, 2000. 

  6. Walker, C. O., Greene, B. A, and Mansell, R. A., "Identification with academics, intrinsic/extrinsic motivation, and self-efficacy as predictors of cognitive engagement",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 16, No. 1, pp. 1-12, 2006. 

  7. Yee, N., "Motivations of play in MMORPGs: Results from a factor analytic approach", The Daedalus Project, available at http://www.nickyee.com/daedalus/motivations.pdf, 2018. 

  8. Kim, H. W., Gupta, S. and Koh, J., "Investigating the intention to purchase digital items in social networking communities: A customer value perspective", Information & Management, Vol. 48, pp. 228-234, 2011. 

  9. Lee, W-J., "A dual-path model for the game's motiv for subjective happiness and solitude",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ol. 20, No. 3, pp. 55-64, 2020. 

  10. Hung, K-H., Kinzer, C. and Chan, C-L. A., "Motivational factors in educational MMORPGs: Some implications for education", Transactions on Edutainment III, pp. 93-104, 2009. 

  11. Moon, J., Hossain, M. D., Sanders, G. L., Garrity, E. J. and Jo, S., "Player commitment to massively mutiplayer online role-paying Games(MMORPGs): An integrated model",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Commerce, Vol. 17, No. 4, pp.7-38, 2013. 

  12. Chan, T. K. H., Cheung, C. M. K. and Lee, Z. W. Y., "Investigating the continuance intention to play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games", International Journal of Business and Information, Vol. 9, No. 2, pp. 160-186, 2014. 

  13. Tajfel, H. and Turner, J. C., "The social identity theory of intergroup behavior", In Worche S, and Austin, W. G. (Eds.), Psychology of Intergroup Relations (pp. 7-24). Chicago: Nelson-Hall, 1985. 

  14. Badrinarayanan, V. A., Sierra, J. J. and Martin, K. M., "A dual identification framework of online multiplayer video games: The case of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s (MMORPG)",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68, No. 5, pp. 1045-1052, 2014. 

  15. Lee, M C., "Understanding the behavioural intention to play online games", Online Information Review, Vol. 33, No. 5, pp. 849-872, 2009. 

  16. Livingstone, S., "Relationships between media and audiences: Prospects for future audience reception studies", In Liebes, T. and Curran, J. (Eds.), Media, Ritual and Identity: Essays in Honor of ElihuKatz. London: Routledge, 1998. 

  17. Oliver, R. L.. "Whence consumer loyalty?", Journal of Marketing, Vol. 63, pp. 33-44, 1999. 

  18. Crosby, L. A. and Taylor, J. R., "Psychological commitment and its effects on post-decision evaluation and preference stability among voters", Journal of Consumer Research, Vol. 9, No. 4, pp. 413-431, 1983. 

  19. Cohen, J., "Defining identification: A theoretical look at the identification of audiences with media characters". Mass Communication & Society, Vol. 4, No. 3, pp. 245-264, 2001. 

  20. Li, D., Liau, A. K. and Khoo, A., "Player-avatar identification in video gaming: Concept and measurement",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9, No. 1, pp. 257-263, 2013. 

  21. Ang, C. S., Zaphiris, P. and Mahmood, S., "A model of cognitive loads in massively mu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s", Interactive with Computers, Vol. 13, No. 4, pp. 592-614, 2007. 

  22. Domina, T., Lee, S-E. and macGillvrary, M., "Understanding factors affecting consumer intention to shop", Journal of Retailing and Consumer Services, Vol. 19, No. 6, pp. 613-620, 2012. 

  23. Hopp, T., Barker, V. and Weiss, A. S., "Interdependent self-construal, self-efficacy, and community involvement as predictors of perceived knowledge gain among MMORPG players", Cyberpsychology, Behavior, and Social Networking, Vol. 18, No. 8, pp. 468-473, 2015. 

  24. Wu, S-L. and Hsu, C-P., "Role of authenticity in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s (MMORPGs): Determonants of virtual item purchase intention",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Vol. 92, pp. 242-249, 2018. 

  25. Lee, Yong Kuk. "A study on RPG usage and game item purchase behavior", Doctoral Thesis, Sangmyung University, Korea, 2019. 

  26. Fisher, R. J. and Wakefield, K., "Factors leading to group identification: A field study of winners and losers", Psychology & Marketing, Vol. 15, pp. 23-40, 1998. 

  27. Banyte, J. and Gadeikiene, A., "The effect of consumer motivation to play games on video game-playing engagement", 4Th World Conference on Business, Economics and Management, Procedia Economics and Finance, Vol. 26, pp. 505-514, 2015. 

  28. Lafreniere, M-A, K., Jeremie, V-F. and Vallerand, R. J.,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gaming motivation scale (GAMS)", Personality and Individual Differences, Vol. 53, pp. 827-831, 2012. 

  29. Ho, C-H. and Wu, T-Y., "Factors affecting intent to purchase virtual; goods in online games", International Journal of Electronic Business Management, Vol. 10, No. 3, pp. 204-212, 2012. 

  30. Park, B-W, and Lee, K-C., "Exploring the value of purchasing online game item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Vol. 27, No. 6, 2178-2185, 2011. 

  31. Morgan, R. M., and Hunt, S. D., "The commitment-trust theory of relationship marketing", Journal of Marketing, Vol. 58, July, pp. 20-38,. 1994. 

  32. Yang, Z. and Peterson, R. T., "Customer perceived value, satisfaction, and loyalty: The role of switching costs", Psychology & Marketing, Vol. 21, No. 10, pp. 799-822, 2004. 

  33. Karakay, F., "Market exit and barriers to exit: Theory and practice", Psychology & Marketing, Vol. 17, No. 8, pp. 651-668, 2000. 

  34. Huang, E., "Online experiences and virtual goods purchase intention", Internet Research Vol. 22, No. 3, pp. 252-274, 2012. 

  35. Churchill, G. A. Jr., "A paradigm for developing better measure of marketing constructs",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 16, No. 1, pp. 64-73, 1979. 

  36. Bagozzi. R. and Yi, Youjae, "On the evaluation of structural equation models", Journal of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Vol. 16, No. 1, pp. 74-94, 1988. 

  37. Pintrich, P. R. and de Groot, E. V.,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s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Vol. 82, No. 1, pp. pp. 33-40, 1990.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