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게임과 인간 정체성의 진화 - MMORPG를 중심으로
Game and evolution of human identity - focused on MMORPG 원문보기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20 no.6, 2020년, pp.89 - 98  

최두열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  박진완 (중앙대학교 첨단영상대학원 영상학과)

초록

기술적 상상력에 기반을 둔 컴퓨터 시뮬레이션 기술의 발전은 가상과 현실 사이에 놓여 있던 보이지 않는 벽을 무너뜨리고, 이용자가 현실과 가상의 혼재적 상황에 직면하게 만든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곧 인간 정체성을 진화시킨다. 게임은, 디지털 총체 예술의 대표적인 형태로 점차 그 영역을 확대해, 나아가 그 역시 현실의 일부로 여겨지는 혼합적 형태로 진화하고 있다. 이것은 곧 게임의 가치를 승격시킬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으며, 게임의 진화를 논할 수 있는 계기로 볼 수 있다. MMORPG를 중점으로 한 본 연구에서, 온라인 게임의 다양한 가치와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인간 정체성의 진화에 대하여 논할 것이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Computer simulations based on technical imagination break down invisible walls placed between the virtual and reality and causes users to face situations mixed with reality and the virtual.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embraces evolves human identity. This can serve as an opportunity that increases...

주제어

표/그림 (3)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현대 디지털 미디어를 수용한 인간의 속성을 찾아보고, 혼재적 현실의 게임이용자로부터 나타나는 인간화의 가능성을 모색해보려고 한다. 본 고에서 언급하는 온라인 게임의범위는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대규모 다중사용자 온라인 롤플레잉 게임(Massive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장르로 한정하나, 문맥 흐름에 따라 포괄적인 의미로도 쓰일 수 있다.
  • 한다. 이에 본 연구자는 디지털 총체 예술로써 진화한온라인 게임의 가치를 따져보고, 아울러 그에 반응하여 역시 진화한 인간의 정체성에 대한 논의의필요성을 언급하고자 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자가 굳이 ‘변화’가 아닌 ‘진화’란 단어를 이용한데에는 그 형태가 앞으로 “점진적으로 발달하며 이루어진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48)

  1. jeremy Rifkin, "The age of access: the new culture of hypercapitalism, where all of life is a paid-for experience", New York: J.P. Tarcher/Putnam, pp. 11-15, 2001. 

  2. Hye-won Han, Halla Jeeae Ko, "Study on Digital Diaspora in MMORP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27, No.2, pp. 17-28, 2014. 

  3. Pierre Levy, "Becoming virtual: reality in the digital age", London: Plenum Trade, pp. 23-34, 1998. 

  4. Jesper Juul, "A casual revolution: Reinventing video games and their players", Cambridge, MA: MIT Press, 2009, pp. 1-24. 

  5. Janet H. Murray, "Hamlet on the holodeck the future of narrative in cyberspace", Cambridge, MA: The MIT Press, pp. 51-79, 1998. 

  6. Chul-gyun Lyou, Bo-yun Kwon, "Findings of the politics of aesthetics in digital games", Korea Humanities Content Society, Vol.37, pp. 91-114, 2015. 

  7. Woon-ha Myung, "Barts Historia", Seoul: Saeum, pp. 65-263, 2008. 

  8. Jong-soo Lim, "The Mode of Life in ActualVirtual Convergence Age",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28, No.2, pp. 53-98, 2011. 

  9. Edward Castronova, Thomas Malaby, "Exodus to the virtual world: how online fun is changing reality".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7. 

  10. Edward Castronova, Thomas Malaby, "Exodus to the virtual world: how online fun is changing reality". New York: Palgrave Macmillan, 2007. p. 12. 

  11. Arjun Appadurai, "Modernity at Large: Cultural Dimensions of Globaliz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 1-47, 1996. 

  12. Arjun Appadurai, "Modernity at Large: Cultural Dimensions of Globalizatio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pp. 139-199, 1996. 

  13. Hye-won Han, Halla Jeeae Ko, "Study on Digital Diaspora in MMORP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27, No.2, pp. 17-28, 2014. 

  14. Bo-Ra An, "A Study on Body and Habitation of MMORP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 16, pp. 45-53, 2009. 

  15. Nick Yee, "The demographics, Motivations and Derived Experiences of User of Massively Multi-User Online Graphical Environments", Teleoperators and Virtual Environments, Vol. 15, pp. 309-329, 2006. 

  16. Johan Huizinga,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element in culture", London: Routledge & Kegan Paul, 1980. 

  17. Chul-gyun Lyou, "A Study in the Temporality in Interactive Storytelling",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ol.93, pp. 383-411, 2006. 

  18. Chul-gyun Lyou, Jin-kyung Ahn, "Research of Digital Storytelling in the Virtual World - Comparison between the Secondlife and MMORPG", Journal Of Game Industry & Culture, Vol.16, pp. 30-47, 2007. 

  19. Janet H. Murray, "Hamlet on the holodeck the future of narrative in cyberspace", Cambridge, MA: The MIT Press, pp. 51-79, 1998. 

  20. Darwin R. CHARLES, "On the Origin of Species by Means of Natural Selection or the Preservation of Favoured Races in the Struggle for Life", London: John Murray, 1859. 

  21. Se-kyun Kim, Sang-shin Lee, "Power in DNA: Physiological Approaches to Political Behavior", Peace Studies, Vol.21, No.2, pp. 5-36, 2013. 

  22. Michale S. Gazzaniga, "Human: The Science Behind What Makes Us Unique", Ecco, 2008. 

  23. Gyung-ran Jeon, "A study on the Actualization of Interactive Text: Analysis of the Massively Multiplayer Online Role Playing Game Playing", Korean Journal of Journalism & Communication Studies, Vol.48, No.5, pp. 188-213, 2004. 

  24. Jong-soo Lim, "The Mode of Life in ActualVirtual Convergence Age", Journal of Cybercommunication Academic Society, Vol. 28, No. 2, pp. 53-98, 2011. 

  25. Gonzalo Frasca, "Ludology meets narratology: Similitude and difference between (video)Games and narrative", 1999. 

  26. Hye-won Han, "Digital Game Storytelling", Paju, Korea: Sallimbooks, pp. 3-24, 2005. 

  27. Roger Ebert, "Video Games Can Never Be ART", 2010. 

  28. Jin-wan Park., Dong-su Seo, "Game Art Curriculum in Fine Arts Major",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13, pp. 53-58, 2008. 

  29. Friedrich Schiller, "On the aesthetic education of man", London: Penguin Books, 2016. 

  30. Jun-ho Park, Sang-hee Lee, "Study on co-relation of the leadership between reality and virtual world: focused on 'Goonzu Special' game", The HCI Society of Korea, Vol.2, 1437-1442, 2008. 

  31. Kelly Bergstorm, Carter M., Darryl Woodford, Christopher A. Paul, "Constructing the Ideal EVE Online Player", Processings from DiGRA 2013 , pp. 2-4, 2013. 

  32. Hye-won Han, Ji-ae Ko, "Study on Digital Diaspora in MMORPG",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27, No.2, pp. 17-28, 2014. 

  33. Bo-ra An, "A Study on Body and Habitation of MMORPG",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Computer Game, Vol. 16, pp. 45-53, 2009. 

  34. Gyong-ran Jeon, "The Aesthetics of Digital Game: Online Game Storytelling" Paju: Sallimbooks, pp. 44-45, 2005. 

  35. Seo-young Kim, Tae-soon Park,(2006). "Contents Analysis Frame of MMORPG",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6, No.10, pp. 80-88, 2006. 

  36. Do-sam La, "Panorama of Virtual space and Life's shorts storie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ol.14, pp. 115-149, 2000. 

  37. NCsoft Cultural Foundation. "Game Dictionary", Seoul: Hainaem, pp.985-986, 2016. 

  38. NCsoft Cultural Foundation. "Game Dictionary", pp.985-986, 2016., Do-sam La, NCsoft Cultural Foundation. 

  39. Song-woo Nam, Julia Kwon, "The dual political discourse inherited in Lineage", Journal Of North-East Asian Cultures, Vol.18, pp. 471-490, 2009 

  40. Sung-eun Seo, "The World View of the Middle Ages Fantasy Gam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ol.9, No.9, pp. 114-124, 2009. 

  41. Wikipedia. "Middle Ages", https://en.wikipedia.org/wiki/Middle_Ages. 

  42. Jacque Le Goff, Barrow., J., "Medieval civilization, 400-1500", New York: Barnes & Noble Books, 2000. 

  43. Hong-kyu Hong, "Western medieval imperialism". Person and Idea, Vol.247, pp. 105-123, 2018. 

  44. Ferdinand Seibt, "Glanz und Elend des Mittelalters: eine endliche Geschichte", Berlin: Siedler, pp. 87-144, 1987. 

  45. Kyung-keun Song, "Is the Crusading War of Medieval Europe the Expedition or the Invasion?", Mediterranean review, Vol.9, No.1, pp. 83-106, 2007. 

  46. Do-sam La, "Panorama of Virtual space and Life's shorts stories",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 Information, Vol.14, pp. 115-149, 2000. 

  47. Jong-hyun Wi, In-soo Song, "An Empirical Study on Community Effect of MMORPG Guild", Journal of Korea Game society, Vol.10, No.4, pp. 49-61, 2010. 

  48. Eun-Ah Seo, (2007). "Speaking in Writing or Linguistical Research on Quote, Comment, Best Comment, Malicious Comment ID and Emoticon of Netizen", Seoul: CommunicationBooks, pp. 14-21, 2007.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FREE

Free Access. 출판사/학술단체 등이 허락한 무료 공개 사이트를 통해 자유로운 이용이 가능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