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벼 수량 자료의 추세분석을 통한 MODIS NDVI 및 기상자료 기반의 벼 수량 추정 모형 개선
Detrending Crop Yield Data for Improving MODIS NDVI and Meteorological Data Based Rice Yield Estimation Model 원문보기

대한원격탐사학회지 =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v.37 no.2, 2021년, pp.199 - 209  

나상일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평가과) ,  홍석영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농촌환경자원과) ,  안호용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평가과) ,  박찬원 (농촌진흥청 연구정책국) ,  소규호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평가과) ,  이경도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기후변화평가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장기적인 시계열 수량 평균이 기술적인 발전 요인에 의해 증가하는 추세를 제거하여, 기존 MODIS NDVI 및 기상자료를 이용한 우리나라 벼 수량 추정 모형을 개선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2년부터 2019년 까지의 NDVI (MYD13Q1)와 기상자료를 사용하여 다중 선형 회귀 분석을 수행하였다. 벼 수량 추세를 분석하고 이를 제거하여 모형을 보완하였다. 개선된 모형을 이용하여 추정한 벼 수량과 수량 통계 값 간의 상관 분석을 통해 추세 제거에 따른 정확도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 추세가 제거된 벼 수량 추정 모형에 의해 예측된 수량이 통계 수량의 연간 변동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추세 제거 전의 모형과 비교하여 통계 수량과의 상관계수와 결정계수도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추세 제거 방법이 벼 수량 추정 모형을 효과적으로 보정하는 방법임을 확인하였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By removing the increasing trend that long-term time series average of rice yield due to technological advancement of rice variety and cultivation management, we tried to improve the rice yield estimation model which developed earlier using MODIS NDVI and meteorological data. A multiple linear regre...

주제어

표/그림 (12)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그러나기술구성요인은정량적으로측정이불가능하고 대상지역이국가단위일경우지역내공간변이를추정 하는것이매우어렵다. 따라서본연구에서는벼수량이품종및재배기술적요인에의하여자연스럽게증 가되는추세를제거(detrending)함으로서기술구성요 인이벼수량에미치는영향을최소화하였다. 즉시간에따라자연스럽게증가하는수량의추세를기술의발 전으로인한영향이라고가정하고연도와수량간의회 귀분석을통해얻어지는증가추세를제거함으로서Eq.
  • 본연구는Aqua위성으로부터얻어진시계열MODIS NDVI(x1)와기상요인(x2)을독립변수로하여벼수량 을추정하는기존의단순다중회귀모형을개선하고자 장기적인시계열수량평균변화의추세를분석하고제 거함으로써모형의정확도를높이는것을목적으로하였다.
  • 본연구에서는기존에Honget al. (2012)이개발했던 MODISNDVI및기상자료기반의원격탐사모형의입 력변수시계열범위를확장하고모형으로추정한벼수 량값의추세를분석하여제거함으로써모형의정확도 를높이는것을목적으로하였다.
  • 이와같은결과를바탕으로위성영상과기상요인을이용한경험적통계모형을이용한우리나라벼수량추 정을위해서는장기적인시계열수량평균변화추세를 제거한모형을사용하고, 벼생육을결정하는일장과온도와같은기상요인중하나를선택하는것보다는 온도, 강수량, 일사량등의요인으로다각적으로추정하여종합화해나가는방향으로관리할것을제안하고 자한다. 또한금후에는해당모형을비롯한다양한방법으로위성영상을활용한우리나라시·군단위벼수 량추정모형의개발이요구될것으로판단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21)

  1. Ahn, J.B., J. Hur, and K.M. Shim, 2010. A simulation of agro-climate index over the Korean peninsula using dynamical downscaling with a numerical weather prediction model, Korean Journal of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2(1): 1-1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 Campbell, J.B., 1996. Introduction to Remote Sensing 2nd ed, The Gilford Press, 4(5): 550-551. 

  3. Cockm J.H. and S. Yoshida, 1972. Accumulation of 14C-labelled carbohydrate before flowering and its subsequent redistribution and respiration in the rice plant, Proceeded of the Crop Science Society of Japan, 41: 226-234. 

  4. Cressman, G.P., 1959. An operational objective analysis system, Monthly Weather Review, 87: 367-374. 

  5. Data Portal Homepage, http://www.data.go.kr/, Accessed on Sep. 25, 2020. 

  6. Goldblum, D., 2009. Sensitivity of corn and soybean yield in Illinois to air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the potential impact of future climate change, Physical Geography, 30(1): 27-42. 

  7. Hong, S.Y., 1999. Analysis on rice growth information and estimation of paddy field area by using remotely sensed data, Dissertation,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Daegu, KOR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8. Hong, S.Y., J.T. Lee, S.K. Rim, and J.S. Shin, 1997. Radiometric estimates of grain yields related to crop aboveground net production(ANP) in paddy rice, Proc. of 1997 International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ymposium, SG, Aug. 3-8, Vol. 4, pp. 1793-1795. 

  9. Hong, S.Y., J. Hur, J.B. Ahn, J.M. Lee, B.K. Min, C.K. Lee, Y. Kim, K.D. Lee, S.H. Kim, G.Y. Kim, and K.M. Shim, 2012. Estimating rice yield using MODIS NDVI and meteorological data in Kore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8(5): 509-520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0. Hong, S.Y., S.I. Na, K.D. Lee, Y.S. Kim, and S.C. Baek, 2015. A study on estimating rice yield in DPRK using MODIS NDVI and rainfall data,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31(5): 441-4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1. Korean Statistical Information Service Homepage, http://www.kosis.kr/, Accessed on Sep. 12, 2020. 

  12. Kim, Y.H. and, S.Y. Hong, 2008. Estimation of rice grain protein content using optical ground sensor,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4(6): 551-55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3. Lee, K.D., S.Y. Hong, S.G. Kim, C.W. Park, H.Y. Ahn, S.I. Na, and K.H. So, 2020. Estimation of rice cultivation area using Sentinel-1 imagery in South Korea, Korean Journal of Soil Science and Fertilizer, 53(3): 345-354.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4. Lizumi, T., M. Kotoku, W. Kim, P.C. West, J.S. Gerber, and M.E. Brown, 2018. Uncertainties of potentials and recent changes in global yields of major crops resulting from census- and satellite-based yield datasets at multiple resolutions, PLoS ONE, 13(9): 1-15. 

  15. Lu, J., G.J. Carbone, and P. Gao, 2017. Detrending crop yield data for spatial visualization of drought impacts in the United States, 1895-2014,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237-238: 196-208. 

  16. Mishra, V. and K. Cherkauer, 2010. Retrospective droughts in the crop growing season: Implications to corn and soybean yield in the Midwestern United States, Agricultural and Forest Meteorology, 150: 1030-1045. 

  17. Na, S.I., J.H. Park, and J.K. Park, 2012. Development of Korean paddy rice yield prediction model (KRPM) using meteorological element and MODIS NDVI,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Agricultural Engineers, 54(3): 141-148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8. Na, S.I., S.Y. Hong, Y.H. Kim, and K.D. Lee, 2013. Prediction of rice yield in Korea using paddy rice NPP index - Application of MODIS data and CASA model, Korean Journal of Remote Sensing, 29(5): 461-476 (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19. Rojas, O., 2007. Operational maize yield model development and validation based on remote sensing and agro-meteorological data in Kenya, International Journal of Remote Sensing, 28(17): 3775-3793. 

  20. Sadras V.O., K.G. Cassman, P. Grassini, A.J. Hall, W.G.M. Bastiaanssen, A.G. Laborte, A.E. Milne, G. Sileshi, and P. Steduto, 2015. Yield Gap Analysis of Field Crops: Methods and Case Studies,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the United Nations, Rome, IT. 

  21. Wu, Z., N.E. Huang, S.R. Long, and C.K. Peng, 2007. On the trend, detrending, and variability of nonlinear and nonstationary time series, Proceeded of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104(38): 14889-14894.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