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국내논문] 일부 지역 노인의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상태가 치매에 미치는 영향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on dementia in the elderly in some areas 원문보기

JKSDH : Journal of Korean Society of Dental Hygiene = 한국치위생학회지, v.21 no.2, 2021년, pp.151 - 158  

김유린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  허성은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  장경애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  강현경 (신라대학교 치위생학과)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general and oral health status on dementia. Methods: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KDSQ-C (Korean Dementia Screening Questionnaires-Cognition) and to investigate the oral health status of the participants. An independent t-test ...

주제어

표/그림 (4)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 AI 자동 식별 결과로 적합하지 않은 문장이 있을 수 있으니, 이용에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문제 정의

  • 본 연구는 노인들의 치매의심에 따라 전신건강상태와 구강건강상태의 차이를 확인하고, 전신건강상태와 구강건강상태가 치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 본 연구는 치매의 예방과 조기 진단, 진행 속도 완화에 도움이 되고자 인지장애와 전신건강상태, 구강 건강상태의 관련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치매검사를 통해 치매의 예방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치매 예방프로그램에 전신건강 뿐만 아니라 구강건강관련 프로그램은 반드시 필요하며, 치과위생사는 치매 노인환자 구강관리에 매우 적합한 인력이어서 향후 국가적 정책에서 치과위생사 직군의 반영은 필수적이라 생각된다.
  • 치매가 진행되면서 전반적으로 신체적인 증상이 악화되어 욕창이나 초조함, 연하 곤란이 흔히 발생하고, 면역 기능이 손상되어 폐렴이나 요로 감염 및 기타 감염 증상 등의 합병증이 동반하게 됨에 따라[12] 전반적인 신체 · 심리적인 문제를 유발하여 결국 완전한 의존상태나 죽음으로 이어지게 된다[13]. 이에 본 연구는 노인들의 전신건강과 구강건강상태가 치매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여 치매를 예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19)

  1. Martinez MF, Flores JC, de Las Heras, Susana Perez, Lekumberri AM, Menocal MG, et al.Risk factors for dementia in the epidemiological study of munguialde county (basque country-spain). BMC Neurol 2008;8(39):1-8. https://doi.org/10.1186/1471-2377-8-39 

  2. Ferri CP, Prince M, Brayne C, Brodaty H, Fratiglioni L, Ganguli M, et al. Alzheimer's disease international. global prevalence of dementia: a delphi consensus study. Lancet 2005;366(9503):2112-7. https://doi.org/10.1016/S0140-6736(05)67889-0 

  3. Go HB, Kim MG, Kim JY, Kim HS, Park YS, Seo SH, et al. The relationship between dementia and oral health in some elderly in Daejeon. J Dent Hyg Sci 2016;16(6):481-7. https://doi.org/10.17135/jdhs.2016.16.6.481 

  4. Lee IS, Lee KO, Ko Y. Evaluation of KDSQ-C's reliability and validity between the subject elderly and caregiver. J Korean Acad Community Health Nurs 2012;23(4):446-50. 

  5. Yang DW, Cho BL, Chey JY, Kim SY, Kim BS. The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dementia screening questionnaire(KDSQ). J Korean Neurol Assoc 2002;20(2):1-8. 

  6. Elsig F, Schimmel M, Duvernay E, Giannelli SV, Graf CE, Carlier S, et al. Tooth loss, chewing efficiency and cognitive impairment in geriatric patients. Gerodontology 2015;32(2):149-56. https://doi.org/10.1111/ger.12079 

  7. Kang HK. A stud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al activity, mental health, oral health and quality of life according to chewing difficulty. J Korean Oral Health Sci 2019;7(2):1-8. 

  8. Lee BH, Park JS, Kim NR. The effect of physical activity program on cognitive function, physical performance, gait, quality of life and depression in the elderly with dementia. Journal of Special Education & Rehabilitation Science 2011;50(2):307-28. 

  9. Delwel S, Binnekade TT, Perez RS, Hertogh CM, Scherder EJ, Lobbezoo F. Oral hygiene and oral health in older people with dementia: a comprehensive review with focus on oral soft tissues. Clin Oral Investig 2018;22(1):93-108. https://doi.org/10.1007/s00784-017-2264-2 

  10. Daly B, Thompsell A, Sharpling J, Rooney YM, Hillman L, Wanyonyi KL, et al. Evidence summary: the relationship between oral health and dementia. Br Dent J 2017;223(11):846-53. https://doi.org/10.1038/sj.bdj.2017.992. 

  11. Kang KL. Association between dementia and oral health. The Journal of the Korean Dental Association 2018;56(3):218-30. 

  12. Livingston G, Sommerlad A, Orgeta V, Costafreda SG, Huntley J, Ames D, et al. Dementia prevention, intervention, and care. Lancet 2017;390(10113):2673-734. https://doi.org/10.1016/S0140-6736(17)31363-6 

  13. Dementia Australia National. Alzheimer's disease [Internet]. Dementia Australia National;2019. [cited 2021 Jan 16]. Available from: http://www.dementia.org.au/about-dementia/types-of-dementia/alzheimers-disease 

  14. Sadock BJ, Sadock VA, Ruiz P. Kaplan & Sadock's concise textbook of clinical psychiatry. 4th ed. New York: Wolter Kluwer; 2003:1-712. 

  15. Kim ES, Hong MH. Perceived oral health awareness in dementia and dementia- suspected depending on KMME. J Korean Soc Dent Hyg 2015;15(2):217-23. 

  16. Jones JA, Lavallee N, Alman J, Sinclair C, Garcia RI. Caries incidence in patients with dementia. 1993;10(2):76-82. 

  17. Kamer AR, Craig RG, Dasanayake AP, Brys M, Glodzik-Sobanska L, de Leon MJ. Inflammation and Alzheimer's disease: possible role of periodontal diseases. Alzheimer's Dementia 2008;4(4):242-50. https://doi.org/10.1016/j.jalz.2007.08.004 

  18. Okamoto N, Morikawa M, Okamoto K, Habu N, Iwamoto J, Tomioka K, et al. Relationship of tooth loss to mild memory impairment and cognitive impairment: findings from the Fujiwara-kyo study. Behav Brain Funct 2010;6(77):1-8. https://doi.org/10.1186/1744-9081-6-77 

  19. Tangerman A, Winkel EG. Intra-andextra-oralhalitosis: finding of a new form of extra-oralblood-borne halitosis caused by dimethyl sulphide. J Clin Periodontol 2007;34(9):748-55. https://doi.org/10.1111/j.1600-051X.2007.01116.x 

저자의 다른 논문 :

관련 콘텐츠

오픈액세스(OA) 유형

GOLD

오픈액세스 학술지에 출판된 논문

이 논문과 함께 이용한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