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공공정책의 통제수단으로서 형량명령의 이해
The Understanding of "Abwägungsgebot" (the Obligation to Balance Private and Public Interests) as a Means for Public Policy Control 원문보기

LHI journal of land, housing, and urban affairs, v.12 no.1, 2021년, pp.31 - 43  

한상훈 (중원대학교 교양학부)

초록

정책은 바람직한 사회상태를 이룩하려는 정책목표를 달성하는 데에 필요한 정책수단을 정부가 공식적으로 선정하는 일이라는 점에서 우리 사회는 정책수용의 의무를 지닌다. 이런 이유에서 볼 때 금번 2.4 부동산정책 역시 과열된 부동산시장을 안정화하고 이를 통해서 바람직한 사회상태를 이루려는 정책목표를 가지고 있는 만큼 우리 사회는 금번 정책을 수용해야 할 의무가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현재의 부동산시장이 재개발과 재건축, 주거지개발 등 사업을 공공주도로 추진하여 사업속도를 높이고 공급을 획기적으로 늘려야만 할 만큼 불안정하거나 무질서한 상태라고 판단을 내리는 일은 쉽지 않다. 왜냐하면, 금번 부동산대책의 핵심이 되는 공공주도의 공공사업의 당위성에 관한 정부의 설명이 매우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금번 정책이 제시한 정책수단의 정당성에 관해서도 우려의 목소리가 적지 않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연구에서는 독일 연방행정법원의 판례를 통해 도출된 형량명령의 원칙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하여 공공정책의 통제수단으로서 형량명령의 활용 가능성에 관한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였다. 고찰결과 형량명령 원칙은 이익형량의 과정에 적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이익형량의 결과에 대한 평가에 대하여서도 적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공익과 개인적 이익 그리고 다양한 이익들 상호 간에는 갈등이 존재하고 있음을 기본적인 전제로 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바로 이런 점에서 형량명량의 원칙은 계획분야에 있어서 공공정책의 통제수단으로서 충분히 활용될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Society has an obligation to embrace public policy because the government is leading the society to accomplish policy objectives for societal improvements. In the same way, it is necessary to willingly accept the recently announced 4 February 2021 Real Estate Policy that aimed to stabilize the overh...

주제어

참고문헌 (26)

  1. 강현호(1996), "형량명령의 원칙에 관하여", 성균관법학, 7(1): 219. 

  2. 국토교통부(2021), 공공주도 3080+, 대도시권 주택공급 획기적 확대방안, 6-14. 

  3. 김세훈 외(2008), "공공성에 대한 사회학적 이해", 공공성에 대한 다양한 접근, 미메시스, 25-26. 

  4. 김현준(2001), "계획법에서의 형량명령", 공법연구, 30(2): 363-364. 

  5. 박진수.김기수(2013), "공공성측면에서 본 현행 도시재생정책 및 제도에 관한 비판적 고찰", 한국도시설계 학회지, 14(2): 35-52. 

  6. 송동수(2002), "독일에 있어 토지에 관한 공익과 사익의 조정: 형량명령을 중심으로", 토지공법연구, 16(1): 47. 

  7. 신봉기(2000), "행정계획에 대한 사법적 통제", 토지공법연구, 10: 197. 

  8. 이계만.안병철(2011), "한국의 공익개념 연구: 공익관련 법률내용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정책과학학회보, 15(2): 1-27. 

  9. 이상돈(2001), 법학입문, 박영사, 5. 

  10. 이승훈(2008), "근대와 공공성 딜레마", 민주사회와 정책연구, 통권13호, 23. 

  11. 최송화(1999), "공익 개념의 법문제화: 행정법적 문제로서의 공익", 법학, 47(2): 33. 

  12. 최송화(2002), 공익론, 서울대학교 출판부, 242. 

  13. 최송화(2006), "공익의 법문제화", 법학, 47(3): 10-27. 

  14. 최희원(2000), "설계자의 의식에 근거한 공개공지 평가지표설정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15. 헌법재판소 2002. 8. 29. 2000헌마556 전원재판부. 

  16. 대법원 1996. 11. 29. 선고 96누8567 판결. 

  17. 대법원 1997. 6. 24. 선고, 96누1313 판결. 

  18. 대법원 1998. 4. 24. 선고, 97누1501 판결. 

  19. 대법원 2000. 9. 8. 선고, 98두11854 판결. 

  20. Alexy, R. (1994), Theorie der Grundrechte, S.72. 

  21. Brohm, W. (1999), Offentliches Baurecht, 2. Aufl., S. 229. 

  22. Durig, G. (1949), Die konstanten Voraussetzungen des Begriffs "Offentliches Interesse", Diss. Munchen, S. 33f & S. 41. 

  23. Dworkin, R. (1977), Taking Rights Seriously, Harvard University Press. 14 & 81. 

  24. Haberle, P. (1970), Offentliches Interesse als juristisches Problem, S. 21. 

  25. Hoppe, W. (1974), "Zur Struktur von Normen des Planungsrechts", DVBl. 641 & 643 f. 

  26. Wolff, H. J. (1933), Organschaft und Juristische Person, Band I: Juristische Person und Staatsperson, S. 470ff. 

관련 콘텐츠

저작권 관리 안내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