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quire{mediawiki-texvc}$

연합인증

연합인증 가입 기관의 연구자들은 소속기관의 인증정보(ID와 암호)를 이용해 다른 대학, 연구기관, 서비스 공급자의 다양한 온라인 자원과 연구 데이터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이는 여행자가 자국에서 발행 받은 여권으로 세계 각국을 자유롭게 여행할 수 있는 것과 같습니다.

연합인증으로 이용이 가능한 서비스는 NTIS, DataON, Edison, Kafe, Webinar 등이 있습니다.

한번의 인증절차만으로 연합인증 가입 서비스에 추가 로그인 없이 이용이 가능합니다.

다만, 연합인증을 위해서는 최초 1회만 인증 절차가 필요합니다. (회원이 아닐 경우 회원 가입이 필요합니다.)

연합인증 절차는 다음과 같습니다.

최초이용시에는
ScienceON에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로그인 (본인 확인 또는 회원가입) → 서비스 이용

그 이후에는
ScienceON 로그인 → 연합인증 서비스 접속 → 서비스 이용

연합인증을 활용하시면 KISTI가 제공하는 다양한 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사회복지조직의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 구성원 민첩성의 매개효과
The Influence of Participatory Decision Making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on Job Performance : Mediating Effect of Member Agility 원문보기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v.21 no.4, 2021년, pp.463 - 472  

서대석 (서원대학교 미래대학 사회복지학과) ,  조상윤 (국제사이버대학교 노인복지학과)

초록
AI-Helper 아이콘AI-Helper

본 연구의 목적은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했을 때 업무성과가 향상된다는 업무조정이론에 따라 사회복지조직이 코로나 사태와 같은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방안을 찾기 위함이다. 즉,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구성원 민첩성의 매개효과를 파악하였다. 조사대상은 수도권 및 충청지역 복지관 종사자이며 310부의 설문지를 분석하였고, 가설검증을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 연구모형분석, 매개효과검증을 실시했다. 연구결과, 참여적 의사결정은 구성원 민첩성과 직무성과에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쳤다. 그리고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성과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는 경로와 구성원 민첩성에 먼저 영향을 준 후 다시 직무성과에 연결되는 간접효과를 포함시킨 부분매개 모형이 적합하다는 것을 확인했다.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에 필요한 참여적 의사결정과 민첩성의 효과를 검증했다는 점에서 학술적 의의가 있으며, 사회복지조직의 직원 채용, 평가, 교육에서 참여적 의사결정과 민첩성 향상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실천적 측면에서도 의의를 찾을 수 있다.

Abstract AI-Helper 아이콘AI-Hel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for social welfare organizations to actively cope with environmental changes such as the corona incident according to the work coordination theory that work performance improves when actively coping with environmental changes. In other words, the mediating ...

주제어

표/그림 (7)

AI 본문요약
AI-Helper 아이콘 AI-Helper

문제 정의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경영학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참여적 의사결정과 민첩성이 사회복지조직에 적용 가능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참여적 의사결정이 구성원의 민첩성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에서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그 과정에서 구성원 민첩성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밝히는 것이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에서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고 그 관계에서 구성원 민첩성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밝히는 것이다. 참여적 의사결정은 구성원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고(H1), 구성원 민첩성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며(H2),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준다면(H3),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구성원 민첩성이 매개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 경영학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있는 참여적 의사결정과 민첩성이 사회복지조직에 적용 가능한지 살펴보고자 한다. 즉, 참여적 의사결정이 구성원의 민첩성을 매개로 직무성과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이는 사회복지조직의 새로운 위기관리전략을 모색하는 차원에서 이론과 실천 모두에서 매우 의미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가설 설정

  • 연구가설2. 사회복지조직의 참여적 의사결정은 구성원 민첩성에 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다.
  • 연구가설3. 사회복지조직의 구성원 민첩성은 참여적 의사결정과 직무성과간의 관계를 매개할 것이다.
  • 본 연구는 사회복지조직에서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를 파악하고 그 관계에서 구성원 민첩성이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밝히는 것이다. 참여적 의사결정은 구성원 민첩성에 영향을 미치고(H1), 구성원 민첩성은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며(H2),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준다면(H3),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관계에서 구성원 민첩성이 매개 효과를 나타낸다고 볼 수 있다.
본문요약 정보가 도움이 되었나요?

참고문헌 (39)

  1. 성규탁, 사회복지행정론, 법문사, 1990. 

  2. https://newsis.com/view/?idNISX20201111_01229802&cID10201&pID10200, 2020.09.20. 

  3. 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20111315354180266", 2020.09.20. 

  4. 김미경, 김미경의 리부트 : 코로나로 멈춘 나를 다시 일으켜 세우는 법, 웅진지식하우스, 2020. 

  5. Z. Cai, Q. Huang, H. Liu, and X. Wang, "Improving the agility of employee through enter prise social media : The mediating role of psychological condi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38, No.1, pp.52-63, 2018. 

  6. 이충배, 양재훈, "물류민첩성이 기업의 물류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국제상학, 제23권, 제3호, pp.25-47, 2008. 

  7. 김정욱, 박정훈, 남기찬, 박수용, 김병욱, "실시간 기업구현을 위한 비즈니스 민첩성의 결정요인에 관 한 실증적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0권, 제4호, pp.83-97, 2005. 

  8. M. Ahearne, J. Mathieu, and A. Rap, "To empower or not empower your sales force? An empirical examination of the influence of leadership empowerment behavior on customer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90, pp.945-955, 2005. 

  9. R. V. Dawis and L. H. Lofquist, A psychological theory of work adjustment: An individual-differences model and its application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January 1), 1984. 

  10. 탁제운, 정영재, 신재운, "참여적 의사결정과 구성원 민첩성(agility)의 관계 : 역할확장 자기효능감과 성장 마인드셋의 역할," 대한경영학회지, 제32권, 제10호, pp.1727-1757, 2019. 

  11. 허명숙, 천명중, "구성원 민첩성과 업무성과 간의 관계에 대한 실증연구 : 민첩성의 영향요인과 지식지향 리더십," 지식경영연구, 제16권, 제2호, pp.139-172, 2015. 

  12. S. S. Kahai, J. J. Sosik, and B. J. Avolio, "Efects of leadership style and problem structure on work group proces and outcomes in an electronic meting system environment," Personal Psychology, Vol.50, No.1, pp.121-146, 1997. 

  13. J. A. Arnold, S. Arad, J. A. Rhoades, and F. Drasgow, "The Empowering Leadership Questionaire: The construction and validation of a new scale for measuring leader behavior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21, No.3, pp.249-269, 2000. 

  14. M. Pardo-del-Val and B. Lloyd, "Measuring empowerment," Leadership and Organization Development Journal, Vol.24, No.2, pp.102-108, 2003. 

  15. M. A. West, "The social psychology of innovation in groups," In: West, M. A. and Farr, J. L. (Eds) Innovation and Creativity at Work: Psychological and Organizational Strategies, Wiley, Chichester, pp.4-36, 1990. 

  16. 김종수, "초등교사의 의사결정참여도 측정, 분석에 관한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12권, 제3호, pp.103-129, 2012. 

  17. M. Sashkin, "Changing toward particpative mangement aproaches: A model and methods," Academy of Mangemnt Reviw, Vol.1, No.3, pp.75-86, 1976. 

  18. 이현국, "참여적 의사결정이 직무만족과 학교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행정논총, 제51권, 제4호, pp.73-102, 2013. 

  19. D. V. Knipenberg, C. D. Dreu, and A. Homan, "Work group diversity and group performance: An integrative model and research agenda," Journal of Applied Psychology, Vol.89, No.2, pp.1008-1022, 2004. 

  20. X. Huang, J. Iun, A. Liu, and Y. Gong, "Does participative leadership enhance work performance by inducing empowerment or trust? The differential effects on managerial and non-managerial subordinates," Journal of Organizational Behavior, Vol.31, No.1, pp.122-143, 2009. 

  21. S. S. K. Lam, X. Chen, and J. Schaubroeck, "Participative decision making and employee performance in different cultures: The moderating effects of allocentrism/idiocentrism and efficacy,"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5, No.5, pp.905-914, 2017. 

  22. S. Alavi, D. Abd. Wahab, N. Muhamad, and B. Arbab Shirani, "Organic structure and organizational learning as the main antecedents of workforce ag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Vol.52, No.21, pp.6273-6295, 2014. 

  23. F. S. Plonka, "Developing a lean and agile workforce," Human Factors and Ergonomics in Manufacturing, Vol.7, No.1, pp.11-20, 1997. 

  24. B. Sherehiy and W. Karwowski,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 organization and workforce agility in small manufacturing enterprises," International Journal of Industrial Ergonomics, Vol.44, No.3, pp.466-473, 2014. 

  25. S. Alavi, D. Wahab, N. Muhamad, and B. Arbab Shirani, "Organic structure and organisational learning as the main antecedents of workforce agility," International Journal of Production Research, Vol.52, No.21, pp.6273-6295, 2014. 

  26. W. J. Hopp and M. P. Oyen, "Agile workforce evaluation: a framework for cross-training and coordination," Iie Transactions, Vol.36, No.10, pp.919-940, 2004. 

  27. R. M. Ryan and E. L. Deci,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s: Classic definitions and new directions," Contemporary Educational Psychology, Vol.25, No.1, pp.54-67, 2000. 

  28. 김홍수, 김달곤, 장로, "경영전략이 재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관리회계연구, 제16권, 제3호, pp.1-23, 2016. 

  29. 양재훈, "민첩성역량이 고객만족과 충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e-비즈니스연구, 제11권, 제4호, pp.103-128, 2010. 

  30. 김정욱, 박정훈, 남기찬, 박수용, 김병욱, "실시간 기업구현을 위한 비즈니스 민첩성의 결정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한국경영과학회지, 제30권, 제4호, pp.83-97, 2005. 

  31. 정현석, 홍관수, "행동유도시스템과 혁신행동에서 민첩성의 매개효과 및 인지욕구의 조절 효과: 서비스 기업을 중심으로," e-비즈니스연구, 제19권, 제1호, pp.21-38, 2018. 

  32. K. M. Kahnweiler and M. A. Thompson, "Level of desired, actual, and perceived control of employee involvement in decision making: an empirical investigation," Journal of business and psychology, Vol.14, No.3, pp.43-61, 2000. 

  33. 황정하, 참여적 의사결정이 사회복지사의 직무성과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003. 

  34. Z. Cai, Q. Huang, H. Liu, and X. Wang, "Improving the agility of employee through enter- prise social media: The mediating role of psycho- logical conditions," International Journal of Information Management, Vol.38, No.1, pp.52-63, 2018. 

  35. 김경희, 사회복지기관 책무성에 미치는 변인연구,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1. 

  36. 김선표, 노인장기요양서비스기관의 창의적 조직풍토, 흡수능력, 민첩성 및 조직성과 간의 관계, 계명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37. 김정식, 차동욱, "리더의 참여적 의사결정이 조직구성원들의 창의적 행동과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심리적 임파워먼트와 직무몰입의 역할을 중심으로," 인사조직연구, 제21권, 제2호, pp.31-370, 2013. 

  38. J. F. Hair, W. C. Black, B. J. Babin, R. E. Anderson, and R. L. Tatham, Multivariate Data Analysis, Pearson Prentice Hall, Upper Saddle River, Vol.6, 2006. 

  39. C. Fornell and D. F. Larcker, "Evaluating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unobservable variables and measurement error," Journal of Marketing Research, Vol.18, pp.39-50, 1981. 

섹션별 컨텐츠 바로가기

AI-Helper ※ AI-Helper는 오픈소스 모델을 사용합니다.

AI-Helper 아이콘
AI-Helper
안녕하세요, AI-Helper입니다. 좌측 "선택된 텍스트"에서 텍스트를 선택하여 요약, 번역, 용어설명을 실행하세요.
※ AI-Helper는 부적절한 답변을 할 수 있습니다.

선택된 텍스트

맨위로